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솜대 bookmark_add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중국 원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식재하는 목본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마디가 촘촘하며 길게 뻗는다. 원줄기는 높이 4~8m이고, 굵기 5cm에 달한다. 줄기는 짙은 누런색으로 변하고, 마디는 튀어나오고, 포는 일찍 떨어진다. 가지는 마디에서 2~3개 달리고, 잎은 1~5개씩 달린다. 잎몸은 긴 피침형이고 길이 7~10cm, 너비 12mm이다. 꽃은 5~7월에 피지만 관찰하기 힘들다. 꽃차례는 3.5~5.0cm이다. 작은이삭은 1.5~2.0cm이고, 2~3개의 꽃이 들어 있다. 제1포영은 1.2cm, 제2포영과 함께 털이 있다. 내영은 1.2~1.5cm로 가장자리에 많은 털이 있다. 꽃밥은 8mm이고, 암술머리는 세 개로 갈라진다. 중국 원산으로 남부지방에서 재배한다. 세계적으로 중국 동남부, 일본, 인도, 필리핀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마디가 두 개의 고리로 나타나며, 줄기가 처음에는 분백색으로 덮여 있다. 본 변종은 오래되면 줄기가 자갈색으로 변한 것을 오죽이라고 한다. 조경용으로 식재하며, 건축용, 공예품 제작에 쓴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분죽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논문 (2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Inhibition of interleukin-12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B binding activity by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eung Hyun Kim,Tae Sung Kim,Sung Jun Kim,Chi Nam Seong,Oh Hyung Lee,Hyo Jung Lee,Jin Cheol Yoo Immunopharmacology and immunotoxicology 2007 조회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in vitro. C Hu,Y Zhang,D D Kit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0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12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계절에 상관없이 야산, 마을, 개울가에 나는 인동덩굴(인동), 검은콩, 시누대(솜대)과 함께 달여서 감기 걸린 사람이 마신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열담(熱痰)으로 배가 불러 오르면서 숨이 찬 경우는 황금(黃芩)ㆍ황련(黃連)ㆍ치자(梔子)ㆍ활석(滑石)ㆍ석고(石膏)ㆍ과루인(瓜蔞仁)ㆍ죽력(竹瀝)을 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노인이 피가 마르고 담화(痰火)나 기(氣)가 뭉쳐서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열격(噎膈)을 치료한다. 당귀(當歸)ㆍ백작약(白芍藥) - 볶은 것 - ㆍ숙지황(熟地黃)ㆍ복령(茯苓) - 각 1돈 -, 패모(貝母)ㆍ과루(瓜蔞)ㆍ지실(枳實) - 밀기울에 볶은 것 - ㆍ진피(陳皮)ㆍ후박(厚朴) -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은 것 - ㆍ향부자(香附子)ㆍ무궁(撫芎)ㆍ소자(蘇子) - 볶은 것, 각 7푼 -, 침향(沉香) - 5푼 -, 황련(黃連) - 오수유(吳茱萸)와 함께 볶은 후 오수유는 버리고 황련은 쓴다, 8푼.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제(劑 1번 복용할 분량)로 만들어 생강〔薑〕 1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죽력(竹瀝)에 갈은 침향(沉香)을 타서 먹는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열격(噎膈)이나 반위(反胃)에 모두 이진탕(二陳湯)에 부추즙〔韭汁〕, 생강즙〔薑汁〕, 죽력즙(竹瀝汁), 동변즙(童便汁)을 넣어 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주방(主方) 번위(飜胃)를 치료하는 중요한 약이다. 부추즙〔韭汁〕 - 2냥 -, 소젖〔牛乳〕 - 1잔 -, 생강(生薑) - 반냥, 즙(汁)을 낸 것 -, 죽력(竹瀝) - 반잔 -, 동변(童便) - 1잔 -. 위의 다섯 가지를 고루 섞어서 한번에 먹는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인삼죽여탕(人蔘竹茹湯) 인삼(人蔘) - 5돈 -, 반하(半夏) - 1냥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 번에 3돈씩을, 탄자만한 크기의 죽여(竹茹) 1개, 생강〔薑〕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다른 처방에는 진피(陳皮) 1냥을 더하였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귤피탕(橘皮湯) 토(吐)하거나 설사(泄瀉)한 후에 위(胃)가 허(虛)하고 가슴에 열(熱)이 있어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피(橘皮) - 흰 속을 제거한 것, 2냥 -, 인삼(人蔘)ㆍ감초(甘草) - 구운 것, 각 반냥 -. 위의 약들을 한 번에 4돈씩 물 1잔에 죽여(竹茹) 작은 덩어리 1개, 생강〔薑〕 5쪽, 대추〔棗〕 2알을 함께 넣고 7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여 따뜻하게 해서 아무 때나 먹는다. -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 추위를 싫어하고 열이 몹시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흐릿하며 숨이 차고 거품이 섞인 침〔涎沫〕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黃連) - 7푼 -, 지실(枳實) - 5푼 -, 과루인(瓜蔞仁)ㆍ천남성(天南星) - 구운 것 - ㆍ반하(半夏)ㆍ진피(陳皮)ㆍ복령(茯苓)ㆍ황금(黃芩)ㆍ길경(桔梗)ㆍ백출(白朮)ㆍ인삼(人蔘) - 각 7푼 -, 감초(甘草) - 5푼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생강〔薑〕 3쪽, 대추〔棗〕 1개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죽력(竹瀝)과 생강즙(生薑汁)을 넣어 먹는다. - 《고금의감(古今醫鑑)》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백출산(白朮散) 부인이 임신하였을 때, 상한(傷寒)으로 번열(煩熱)하고 두통이 생기면서, 태기(胎氣)가 불안하거나 토역(吐逆)하기도 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백출(白朮)ㆍ귤홍(橘紅)ㆍ맥문동(麥門冬)ㆍ인삼(人參)ㆍ적복령(赤茯苓)ㆍ전호(前胡)ㆍ천궁(川芎) - 각 1냥 -, 반하(半夏)ㆍ감초(甘草) - 각 5돈 -. 매번 위의 약들 4돈을 생강〔薑〕 4쪽, 죽여(竹茹) 2돈 반과 함께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 《청낭집(靑囊集)》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갈근죽여탕(葛根竹茹湯) 위(胃)에 열사(熱邪)가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계속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술을 먹고 토하는 경우에도 매우 좋다. 갈근(葛根) - 3돈 -, 반하(半夏) - 2돈 -, 감초(甘草) - 2푼 -, 죽여(竹茹) - 1묶음 -. 위의 약들을 생강〔薑〕, 대추〔棗〕와 함께 달인 다음 맑은 즙을 짜서 차게 해서 먹는다.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2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Inhibition of interleukin-12 production in mouse macrophages via suppression of nuclear factor-kappaB binding activity by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eung Hyun Kim,Tae Sung Kim,Sung Jun Kim,Chi Nam Seong,Oh Hyung Lee,Hyo Jung Lee,Jin Cheol Yoo Immunopharmacology and immunotoxicology 2007 조회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leaf extract in vitro. C Hu,Y Zhang,D D Kit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0 조회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12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계절에 상관없이 야산, 마을, 개울가에 나는 인동덩굴(인동), 검은콩, 시누대(솜대)과 함께 달여서 감기 걸린 사람이 마신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열담(熱痰)으로 배가 불러 오르면서 숨이 찬 경우는 황금(黃芩)ㆍ황련(黃連)ㆍ치자(梔子)ㆍ활석(滑石)ㆍ석고(石膏)ㆍ과루인(瓜蔞仁)ㆍ죽력(竹瀝)을 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노인이 피가 마르고 담화(痰火)나 기(氣)가 뭉쳐서 음식을 먹을 수 없는 열격(噎膈)을 치료한다. 당귀(當歸)ㆍ백작약(白芍藥) - 볶은 것 - ㆍ숙지황(熟地黃)ㆍ복령(茯苓) - 각 1돈 -, 패모(貝母)ㆍ과루(瓜蔞)ㆍ지실(枳實) - 밀기울에 볶은 것 - ㆍ진피(陳皮)ㆍ후박(厚朴) -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은 것 - ㆍ향부자(香附子)ㆍ무궁(撫芎)ㆍ소자(蘇子) - 볶은 것, 각 7푼 -, 침향(沉香) - 5푼 -, 황련(黃連) - 오수유(吳茱萸)와 함께 볶은 후 오수유는 버리고 황련은 쓴다, 8푼. -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제(劑 1번 복용할 분량)로 만들어 생강〔薑〕 1쪽, 대추〔棗〕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인 다음 죽력(竹瀝)에 갈은 침향(沉香)을 타서 먹는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열격(噎膈)이나 반위(反胃)에 모두 이진탕(二陳湯)에 부추즙〔韭汁〕, 생강즙〔薑汁〕, 죽력즙(竹瀝汁), 동변즙(童便汁)을 넣어 쓴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주방(主方) 번위(飜胃)를 치료하는 중요한 약이다. 부추즙〔韭汁〕 - 2냥 -, 소젖〔牛乳〕 - 1잔 -, 생강(生薑) - 반냥, 즙(汁)을 낸 것 -, 죽력(竹瀝) - 반잔 -, 동변(童便) - 1잔 -. 위의 다섯 가지를 고루 섞어서 한번에 먹는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인삼죽여탕(人蔘竹茹湯) 인삼(人蔘) - 5돈 -, 반하(半夏) - 1냥 -. 위의 약들을 썰어서 한 번에 3돈씩을, 탄자만한 크기의 죽여(竹茹) 1개, 생강〔薑〕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다른 처방에는 진피(陳皮) 1냥을 더하였다. 약용 공개
    의림촬요 귤피탕(橘皮湯) 토(吐)하거나 설사(泄瀉)한 후에 위(胃)가 허(虛)하고 가슴에 열(熱)이 있어서 기침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피(橘皮) - 흰 속을 제거한 것, 2냥 -, 인삼(人蔘)ㆍ감초(甘草) - 구운 것, 각 반냥 -. 위의 약들을 한 번에 4돈씩 물 1잔에 죽여(竹茹) 작은 덩어리 1개, 생강〔薑〕 5쪽, 대추〔棗〕 2알을 함께 넣고 7부 남게 졸아들도록 달여 따뜻하게 해서 아무 때나 먹는다. - 《단계심법부여(丹溪心法附餘)》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 추위를 싫어하고 열이 몹시 나며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흐릿하며 숨이 차고 거품이 섞인 침〔涎沫〕을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黃連) - 7푼 -, 지실(枳實) - 5푼 -, 과루인(瓜蔞仁)ㆍ천남성(天南星) - 구운 것 - ㆍ반하(半夏)ㆍ진피(陳皮)ㆍ복령(茯苓)ㆍ황금(黃芩)ㆍ길경(桔梗)ㆍ백출(白朮)ㆍ인삼(人蔘) - 각 7푼 -, 감초(甘草) - 5푼 -.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생강〔薑〕 3쪽, 대추〔棗〕 1개를 함께 넣고 달인 다음, 죽력(竹瀝)과 생강즙(生薑汁)을 넣어 먹는다. - 《고금의감(古今醫鑑)》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백출산(白朮散) 부인이 임신하였을 때, 상한(傷寒)으로 번열(煩熱)하고 두통이 생기면서, 태기(胎氣)가 불안하거나 토역(吐逆)하기도 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백출(白朮)ㆍ귤홍(橘紅)ㆍ맥문동(麥門冬)ㆍ인삼(人參)ㆍ적복령(赤茯苓)ㆍ전호(前胡)ㆍ천궁(川芎) - 각 1냥 -, 반하(半夏)ㆍ감초(甘草) - 각 5돈 -. 매번 위의 약들 4돈을 생강〔薑〕 4쪽, 죽여(竹茹) 2돈 반과 함께 물에 달여서 복용한다. - 《청낭집(靑囊集)》에 나온다. - 약용 공개
    의림촬요 갈근죽여탕(葛根竹茹湯) 위(胃)에 열사(熱邪)가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계속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술을 먹고 토하는 경우에도 매우 좋다. 갈근(葛根) - 3돈 -, 반하(半夏) - 2돈 -, 감초(甘草) - 2푼 -, 죽여(竹茹) - 1묶음 -. 위의 약들을 생강〔薑〕, 대추〔棗〕와 함께 달인 다음 맑은 즙을 짜서 차게 해서 먹는다. 약용 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6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191761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 1958-04-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91762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충청남도 공주... 계룡산 / 1958-04-3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92116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충청남도 논산... /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75642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전라남도 담양... 유둔재 / 2010-01-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75643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전라남도 담양... 유둔재 / 2010-01-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75644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전라남도 담양... 유둔재 / 2010-01-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275645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전라남도 담양... 유둔재 / 2010-01-0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3194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충청남도 보령... 오서산 / 1999-05-0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3195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충청남도 보령... 오서산 / 1999-04-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303196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창녕... / 2007-03-2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2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8471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강원도 강릉시... 석병산 / 2011-06-02 조직 1건
    NIBRGR0000628281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하동... / 2020-09-11 조직 1건
    NIBRGR0000628390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사천... / 2020-09-09 조직 1건
    NIBRGR0000650767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사천... / 2020-09-09 추출물 1건
    NIBRGR0000650768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사천... / 2020-09-09 추출물 1건
    NIBRGR0000650824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하동... / 2020-09-11 추출물 1건
    NIBRGR0000650825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하동... / 2020-09-11 추출물 1건
    NIBRGR0000653647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하동... / 2022-09-22 조직 1건
    NIBRGR0000653649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사천... / 2022-09-23 조직 1건
    NIBRGR0000657099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 솜대 경상남도 하동... / 2022-09-22 건조시료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솜대 rbcL M13_rbcL1F-M13_rbcL724R 국립생물자원관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Mitford) Stapf ex Rendle 솜대 rbcL M13_rbcL1F-M13_rbcL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