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왼돌이배꼽털달팽이

Aegista diversa Kuroda & Miyanaga, 193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왼돌이배꼽털달팽이

Aegista diversa Kuroda & Miyanaga, 193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왼돌이배꼽털달팽이

Aegista diversa Kuroda & Miyanaga, 193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왼돌이배꼽털달팽이 Aegista diversa Kuroda & Miyanaga, 1936

분류체계
Animalia > Mollusca (연체동물문) > Gastropoda (복족강) > Heterobranchia (이새아강) > Euthyneura > Eupulmonata > Stylommatophora (병안목) > Helicina > Helicoidei > Helicoidea (달팽이상과) > Bradybaenidae (달팽이과) > Aegista (배꼽달팽이속) > diversa (왼돌이배꼽털달팽이)
이명정보
[원기재명]
Aegista (Plectotropis) diversa Kuroda & Miyanaga, 1936 (왼돌이배꼽털달팽이)

패각은 낮은 원반형이다. 각고는 11mm이며 나탑은 6~7층으로 왼쪽으로 감겨져 있다. 체층은 주연부 2/3 정도에 날카로운 각이 있다. 패각은 고운 가시들로 덮여 있다. 각피는 암갈색이다. 제공은 매우 넓고 깊어 각정이 보인다. 각구는 신장된 반원형이다. 숲속의 습기가 있는 낙엽 밑이나 돌 밑에 서식한다. 자웅동체이며 수정된 난은 한 번에 산란하고 발생은 직접 이루어진다. 경기도 소요산이 모식산지이고 중북부 산악 지역에 서식한다. 한국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 경기도, 강원도 [2]

    중북부 산악지역 [4]

    오대산, 창촌, 춘천, 청평사, 삼방, 설봉, 내금강 [3]

  • 자웅동체이며 수정된 난은 한 번에 산란하고 발생은 직접 이루어진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반도고유종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4]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