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Strix aluco Linnaeus, 1758 (올빼미)
[학명이명]
Syrnium ma Clark, 1907
올빼미목 올빼미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37~39cm로 머리가 둥글다. 몸은 회색이며, 귀깃이 없다. 배와 등에는 세로줄 무늬에 가로줄이 섞여 있다. 눈은 검은색이며, 부리는 푸른빛을 띤 회색이다. 평지나 산지의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에서 단독으로 생활한다. 낮에는 나뭇가지에 앉아 움직이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 청각을 이용해 먹이를 잡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날에는 낮에도 먹이를 잡는다. 날개에 솜털이 많기 때문에 비행할 때 소리가 나지 않는다. 둥지는 까마귀나 매의 낡은 둥지와 나무 구멍 등을 이용한다. 알은 흰색이며, 3월에 3-5일 간격으로 4개를 낳는다.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독일, 영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일본, 중국, 몽골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독일, 영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일본, 중국, 몽골 등에 넓게 분포한다. [2]
국내에는 전역의 참나무와 침엽수로 구성된 산림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지역적으로는 강원도에서 가장 많은 관찰 기록이 있으며, 경상북도와 충청북도 등 우리나라 각지의 산림부에서 불규칙적으로 관찰된다. [2]
-
평지나 산지의 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 등에서 단독으로 생활한다. 낮에는 나뭇가지에 앉아 움직이지 않고, 밤에 활동한다. 올빼미류는 청각을 이용해 먹이를 잡기 때문에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한 날에는 낮에도 먹이를 잡는다. 날개에 솜털이 많기 때문에 비행할 때 소리가 나지 않는다. 둥지는 까마귀나 매의 낡은 둥지와 나무 구멍 등을 이용한다. 알은 흰색이며, 3월에 3~5일 간격으로 4개를 낳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Raptor wing morphing with flight speed. [Jorn A Cheney, Jonathan P J Stevenson, Nicholas E Durston, Masateru Maeda, Jialei Song, David A Megson-Smith, Shane P Windsor, James R Usherwood, Richard J Bomphrey]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 2021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문화용, 기타 새를 보고 예측하기 귀거조(鬼車鳥)는 북방 사람들은 구두충(九頭虫)이라고 부르는데, 밤중에 그 소리의 방향을 듣고서 날씨가 맑을지 흐릴지를 점친다. 북쪽에서 남쪽으로 들리면 이를 둥지에서 나가는 것[出窠]이라고 하고 비가 내리게 되고, 남쪽에서 북쪽으로 들리면 이를 둥지로 돌아가는 것[歸窠]이라고 하고 날씨가 맑게 된다. 고시(古詩)에 ‘달빛이 어둡고 밤은 깊은데, 귀거조 울음소리 들리네.’라고 하였다.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Strix aluco Linnaeus, 1758 올빼미 Cytb L14851/H16058 국립생물자원관 Strix aluco Linnaeus, 1758 올빼미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