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무산쇠족제비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Mammalia (포유동물강) > Carnivora (식육목) > Mustelidae (족제비과) > Mustela (족제비속) > nivalis (무산쇠족제비)
이명정보
[국명이명]
무산흰족제비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몸길이는 16cm, 꼬리 길이는 4cm 정도로 식육류 중에서 가장 작다. 머리에서 꼬리 기부까지 굵기가 같으나 배만 조금 가늘다. 다리와 꼬리가 짧다. 체색은 여름에는 윗면은 적갈색이고, 뒷다리 안쪽의 몸 아랫면은 흰색이다. 겨울에는 북방족제비와 같이 갈색 털이 순백색으로 바뀐다. 밀림이나 초원 지대에 서식하나 인가 근처에도 나타난다. 작은 설치류와 개구리, 도마뱀, 뱀, 곤충, 게 등을 잡아먹는다. 상당히 큰 야생조류도 습격한다. 1마리가 1년에 설치류 2천~3천 마리를 잡아먹는다. 동작이 민첩하여 점프하면서 잘 달리고 점핑 폭은 20~30cm이다.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러시아, 일본, 유럽, 중국, 미국, 캐나다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러시아, 일본, 유럽, 중국, 미국, 캐나다 등 널리 분포하고 있다. [2]

    한반도에는 북한 지역의 함경북도 무산을 포함하여, 제주도와 울릉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분포한다. 강원도 오대산과 설악산, 경상북도 청도, 경기도 성남, 그리고 지리산 등지에서 서식이 확인된 바 있다. [2]

  • 고산에서 인가 주변에 이르기까지 은신할 식생이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한 마리가 1년에 2,000~3,000마리의 설치류를 잡아먹으며, 큰 야생 조류도 습격한다. 또한 개구리, 도마뱀, 뱀, 곤충, 게 등도 잡아먹는다. 동작이 민첩하여 점프하면서 잘 달리며, 점핑의 폭은 20~30cm이다. 후각, 청각, 시각 등의 감각이 발달되었다. 짝짓기 시기는 4~7월이며, 임신 기간은 34~37일로 한배에 평균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린 새끼들은 가을까지 어미 옆에 머물러 생활한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