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사향노루 bookmark_add Moschus moschiferus Linnaeus, 1758

종명
[학명이명]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사향노루)

우제목 사향노루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암컷과 수컷 모두 뿔이 없고, 수컷만 약 5cm 길이의 송곳니가 입 밖으로 나와 있다. 몸은 작고 튼튼하며 작은 머리를 가지고 있다. 발굽이 작고 사지가 짧으며, 매우 짧은 꼬리는 겉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털은 굵고 단단하며, 색상은 짙어 몸 윗면은 검은 갈색을 띤다. 눈 주위, 뺨, 귓등 부분의 털끝이 흰색이며, 아래턱은 회백색, 귓속의 털은 백색이다. 흰색 줄이 두 눈으로부터 목의 좌우, 앞가슴을 지나 앞다리 안쪽까지 내려가 있다. 향선과 향낭이 있어 사향이 형성된다. 배 쪽에 사향주머니가 있으며, 보통 3살 이상의 수컷에 잘 발달되어 있다. 바위가 많고 1,000m 이상 되는 높은 산의 침엽수림 또는 침엽수나 활엽수가 혼재하는 숲에 살며 시각과 청각이 발달되어 있고 겁이 많다. 대부분 홀로 생활하거나 어미와 새끼로 이루어진 2~3마리의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생활한다. 자연 상태에서의 수명은 10년 이하이지만 사육 시 평균 20년 생존한다. 지리산 일대, 경상북도, 강원도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 동북부, 몽골 등 아시아 동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중국 동북부, 몽골 등 아시아 동부에만 분포하며, 중국에서는 위기종(EN)으로 평가하고 있다. [2]

    국내에는 지리산 일대, 경북 일부 지역에 소수 개체가 서식하며, 강원도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에 비해 개체군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

  • 바위가 많고 1,000m 이상 되는 높은 산의 침엽수림 또는 침엽수나 활엽수가 혼재하는 숲에서 산다. 대부분 홀로 생활하거나 작은 집단을 형성하여 생활한다. 바위의 이끼, 초본, 관목, 교목들의 어린 싹과 잎, 각종 열매를 먹는 초식성 동물이다. 험한 바위 사이나 눈 위에서도 잘 뛰며 시각과 청각이 잘 발달되었으며 겁이 많다. 대부분 단독으로 생활하며, 발정기 이외에는 무리를 짓지 않는다. 발정 기간에 수컷은 암컷을 찾아 활발하게 활동하며, 수컷끼리는 암컷을 둘러싸고 격렬하게 싸운다. 구애 행동은 몇 주 간에 걸쳐 계속되며, 이 시기에 수컷은 먹이를 거의 먹지 않고 돌아다닌다. 발정은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집중되며, 수컷은 10월 하순부터 암컷을 추적하여 교미가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는 수컷에 사향선이 발달하여 향기가 나는데, 이는 암컷을 유인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정기가 끝나면 수컷은 본래의 세력권으로 돌아가고 암컷은 어린 새끼와 같이 산다. 사향노루의 수컷은 세력권을 강하게 지키는데 행동권 안에는 늘 이용하는 길이 있으며, 채식 장소, 은신처, 배설 장소 등이 이어진다. 임신 기간은 평균 180일(178~185일)이며, 5~6월에 1~2마리(드물게 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양육 기간은 1년 정도, 보통 1년 6개월 정도로 성적으로 성숙하지만 대개 2년이 지나서 임신한다. 수명은 10년 내외이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논문 (10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Species Delimitation in the Genus Moschus (Ruminantia: Moschidae) and Its High-Plateau Origin. Tao Pan,Hui Wang,Chaochao Hu,Zhonglou Sun,Xiaoxue Zhu,Tao Meng,Xiuxiang Meng,Baowei Zhang Species Delimitation in the Genus Moschus (Ruminantia: Moschidae) and Its High-Plateau Origin. 2015 조회
    [Cranial features and feeding types of subspecies forms of Moschus moschiferus L. (Moschidae, Cetartiodactyla)]. V I Prikhod'ko [Cranial features and feeding types of subspecies forms of Moschus moschiferus L. (Moschidae, Cetartiodactyla)]. 조회
    DNA barcoding revises a misidentification on musk deer. Chengzhong Yang,Zhen Xiao,Yuan Zou,Xiuyue Zhang,Bo Yang,Yinghong Hao,Timothy Moermond,Bisong Yue DNA barcoding revises a misidentification on musk deer. 2015 조회
    [Cranial features and feeding types of subspecies forms of Moschus moschiferus L. (Moschidae, Cetartiodactyla)]. V I Prikhodko Izvestiia Akademii nauk. Seriia biologicheskaia 2015 조회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sports drug testing: identification of natural steroid administration in doping control urine samples resulting from musk (pod) extracts. Mario Thevis,Wilhelm Sch?nzer,Hans Geyer,Detlef Thieme,Joachim Grosse,Claudia Rautenberg,Ulrich Flenker,Simon Beuck,Andreas Thomas,Ruben Holland,Jiri Dvorak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2 조회
    Mitochondrial genome of the Kore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Artiodactyla, Ruminantia, Moschidae). Kuem Hee Jang,Ui Wook Hwang Mitochondrial DNA 2010 조회
    Species and sex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by molecular analysis of non-invasive samples. Baek Jun Kim,Yun-Sun Lee,Jung-hwa An,Han-Chan Park,Hideo Okumura,Hang Lee,Mi-Sook Min Molecules and cells 2008 조회
    [Molecular genetic diversity of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L., 1758 (Ruminantia, Artiodactyla) from the northern subspecies group]. M V Kholodova,V I Prikhodko Genetika 2006 조회
    [Clinical effect and experimental study of xijian tongshuan pill]. L Zhao,Y Zhang,Z X Xu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Zhongguo Zhongxiyi jiehe zazhi =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1994 조회
    [Food specialization in ruminants: the role of endosymbiosis in its formation]. V E Sokolov,E I Naumova,G K Zharova Izvestiia Akademii nauk SSSR. Seriia biologicheskaia 1989 조회

    특허 (17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Tankangning medicine for curing hemiplegia and making method | Corning paraly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UANG H 1998-06-07 조회
    External beauty and anti-aging formula | A one external cosmetic anti-aging formulation ZHANG, Xiang-bu 2014-03-21 조회
    Medicinal liquor ZHANG, Hui-ming 2014-04-30 조회
    Stomach health care coat LIU, De-shan 2014-08-22 조회
    One of the kidney by health care coat LIU, De-shan 2014-08-22 조회
    Minnow-inebriating special-purposed bait | And one a kind of special bait for drunken fish meal LI, Bai-jian 2014-10-10 조회
    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HU, Ren-jin 2016-07-01 조회
    CANDY HAS MEDICAL STUFF | The candy in which the medicinal stuff component is contained. Kim Deok Hee 2007-08-11 조회
    METHOD FOR TREATMENT OF ASTHMA SYNDROME | METHODE DE TRAITEMENT DE L'ASTHME HOANG, Ba, X. | LEVINE, Stephen, A. 2000-07-06 조회
    Method for treatment of asthma syndrome Hoang, Ba, X. | Levine, Stephen, A. 2001-09-17 조회

    전통지식(문헌) (207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향약집성방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모든 열독(熱毒)을 없애고 사독을 풀며, 경계증(驚悸症), 황홀(恍惚: 정신이 어리둥절한 것)을 치료한다. 사향노루는 노루 비슷한데 좀 작다. 사향(麝香)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사향 사향노루의 배꼽 .춘분(春分)에 생것을 취하면 더욱 좋다. 그 향(香)은, 바로 사(麝)의 음경(陰莖) 앞 피육(皮肉)에 별도로 막(膜)이 있어 싸고 있다. 《증류본초》 사(麝)는 세 종류가 있다. 제 1의 것은 향사(香麝)가 새끼를 낳으면 추운 계절에 이르러 향이 가득해지는데, 봄에 접어들면서 급박스럽게 아프므로 발톱으로 긁어 떼내 버린다. 그러면 그것이 떨어진 근처에는 풀과 나무가 모두 누렇게 탄다. 때문에 이것은 아주 얻기가 어렵다. 그 다음은 제향(臍香)으로, 곧 잡아 죽여서 취하는 것이요, 그 다음은 심결향(心結香)으로, 곧 추격을 받아 도망하다가 저절로 죽은 것인데 품질이 좋지 않아 약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증류본초》 사향은 가짜가 많다. 그러니 한 조각을 쪼개 보면 털이 싸인 속에 함께 있는 것을 좋은 것으로 친다. 《증류본초》 무릇 사향을 사용할 때는 자일(子日)에 갈라 너무 가늘게 갈지 않고 다만 체로 쳐서 사용한다. 《증류본초》 우리나라에는 사향이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나는 것을 좋은 것으로 친다. 그러나 달자(㺚子 서북변 오랑캐)지방에서 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한다. 《동의보감》 .사향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것이 가장 좋다. 사향을 포획하거든 그 즉시 가는 노끈으로 제근(臍根)을 단단히 묶고 향을 베어내어 3일 동안을 술에 담가둔다. 그리고 구덩이를 2척 깊이로 파고 진흙으로 그 안을 바른 다음 상시(桑柴)에 불을 지폈다가 불을 제거하고 뜨거울 때 나무를 갱구(坑口)에 십자(十字)로 걸쳐 놓고는 아래로 늘어지게 달아맨다. 그 다음 질동이[瓦盆]를 엎어 놓고 하룻밤을 두었다가 마른 다음 꺼낸다. 그리하여 사태피(蛇蛻皮)로 싸서 저장해 두면 향이 특수하게 좋아진다. 《이용재경험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신선태을자금단방 당(唐) 나라의 진자명(陳自明)과 송(宋) 나라의 이신실(李迅實)은 모두 신선퇴독원(神仙退毒元), 또는 성원단(聖援丹) 또는 신선해독만병원(神仙解毒萬病元)이라고도 하였다. 그런데 명(明) 나라 함허자(涵虛子) 구선(臞仙)은 옥추단(玉樞丹)이라 했고, 지겸도인(止謙道人) 왕응의(王應椅)가 지금의 이름을 지었다. 산자고(山茨菰)의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배건한 것 2냥.천금자(千金子)는 속수자(續隨子)라고도 하는데 껍데기를 제거하고 갈아서 기름기를 뺀 것 1냥. 두문방(斗門方)에는 껍데기를 제거하고 종이로 싸서 무거운 물건으로 눌러 기름을 빼낸 다음 다시 빻아 분말을 만든다 했다.문합(文蛤)은 오배자(五倍子)라고도 한다. 방망이로 쳐서 깨어 깨끗이 씻은 것 3냥.홍아(紅芽)는, 대극(大戟)이라고도 한다. 묵은 싹은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배건한 것 1냥 반.사향(麝香) 3전을 따로 갈아서 쓴다.이상의 약 중에서 천금자(千金子)와 사향(麝香)을 제외한 세 가지 약(산자고(山茨菰)ㆍ문합(文蛤)ㆍ홍아(紅芽))을 곱게 빻아 연약(硏藥 천금자(千金子)와 사향(麝香)을 빻아 가루로 만든 것)과 고루 섞어 나미(糯米)로 죽이 되게 쑤어 풀을 만들어서 함께 나무 절구에 넣고 1천 번 찧는다. 그것을 나누어 40낱을 만들어서 사용하되 약을 합할 시기는 단오(端午)ㆍ칠석(七夕)ㆍ중양일(重陽日)이나 천덕(天德)ㆍ월덕일(月德日)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약을 만들 적에는 깨끗한 방에 분향(焚香)하고 지성을 드려 만들되 부인이나 닭과 개가 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이제 상고해 보니 가루를 합하면 무게가 7냥 8전이다. 그러나 바람에 날아가는 등의 결손이 생기므로 나머지는 7냥 5전에 지나지 않는다. 매제(每劑)에 나미(糯米) 2홉을 깨끗이 씻어 진밥을 지어 사용하는데 무게가 6냥 6전으로, 풀과 합한 약의 무게는 14냥이 좀 더되고, 찧은 다음 무게는 14냥 3~4전이다. 이것은 대개 찧을 때 공이에 붙거나 마르면 물을 첨가했기 때문이다. 진자명(陳自明)ㆍ구선(臞仙)ㆍ왕응의(王應椅)가 모두 한 제(劑)를 나누어 40개로 만든다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기력(氣力)의 강약(强弱)과 노유(老幼)를 헤아리지 않고 모두 1개씩 먹는다는 것이 마음에 걸려, 이제 나누어서 80개로 만들었다. 이는 왕응의가 이른바 ‘매번 반 개씩 먹는다.’ 한 것도 이 같은 뜻일 것이다. 음건 1개의 무게는 1전이고 한 제(劑) 80개의 무게는 8냥이다. 이것이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을 만드는 법의 대략이다.그런데 지금의 의가(醫家)에서는 이미 산자고(山茨菰)를 잘못 알고 쓰는 데다가 다시 웅황(雄黃)과 주사(朱砂)를 첨입(添入)해서 그 진성(眞性)을 어지럽혔고, 또 근량도 우리나라와 아주 다르기 때문에 약의 효력이 전혀 없으니, 계산 없는 것이 너무 심하다. 그리고 별도로 탕(湯)을 갖추어 뒤에 붙였다. 이 약은 매우 견강(堅剛)하므로 창졸간에 갈기가 쉽지 않으니, 모름지기 곱게 깎아서 물에 타 먹으면 된다.매양 1개를 빈 속에 먹되 새벽에 일찍 먹으면 더욱 신속한 효력을 본다. 통리(通利)시킬 때는 1냥을 먹어도 무방하지만 따스한 죽으로 먹어야 한다. 그리고 이 약을 가지고 다니면 손쉽게 응변(應變)할 수 있어 만에 하나도 실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임산부는 먹지 말아야 한다.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약 제조법 탕중(湯中)에 서각(犀角)ㆍ녹각(鹿角)ㆍ영양각(羚羊角)ㆍ주가(朱砂)ㆍ사향(麝香)ㆍ우황(牛黃)ㆍ포황(蒲黃)을 사용할 때는 모름지기 고운 가루로 만들어 탕약을 먹을 때 탕중(湯中)에 넣고 흔들어 먹어야 한다. 《증류본초》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약 먹을 때 금해야 할 일과 음식 사향(麝香)은 마늘 먹는 것을 금한다. 기타 비공개
    의림촬요 처음에 담(痰)이 들어 몸에 가득 차서, 구안와사가 있고, 몸을 잘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참기름〔眞淸油〕 작은 1홉을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麝蘇〕 3환과 섞어 삼키게 한다. 사향 가루〔麝香末〕 조금을 함께 섞어서 먹여도 좋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활명금단(活命金丹)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 반신불수, 사지 마비, 가래 섞인 침이 올라오는 증상〔上潮〕, 목구멍이 메이고 어금니를 꽉 깨무는 증상, 음식의 소화 불량을 치료한다. 일체의 약독(藥毒)과 주독(酒毒), 열사(熱邪)로 인한 복부팽만, 대변ㆍ소변의 어려움, 흉만(胸滿)과 기폐(氣閉), 상초는 실하고 하초는 허하여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 땀낸 후의 여열(餘熱)을 없앤다. - 양격산(凉膈散)에 청대(靑黛)와 남근(藍根)을 첨가한 것도 처방 이름은 똑같다. - 관중(貫衆)ㆍ감초(甘草)ㆍ판람근(板藍根)ㆍ첨초(甜硝)ㆍ건갈(乾葛) - 각 1냥, 혹은 〈건갈 대신〉 ‘건강(乾薑)’으로 한다. -, 용뇌(龍腦) - 별도로 간 것〔另〕 - ㆍ사향(麝香) - 별도로 간 것 - ㆍ청대(靑黛) - 각 3돈 -, 우황(牛黃) - 별도로 간 것 - ㆍ생서각(生犀角)〔生犀〕ㆍ진주 가루(珍珠末)〔珠子末〕ㆍ박하(薄荷) - 각 5돈 -, 대황(大黃) - 1냥 반 -, 진사(辰砂) - 별도로 간 것 4돈, 절반은 약재들을 감싸는 옷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절반은 약재 안에 넣는다. -, 계심(桂心) - 3돈 -. 위의 약들을 가루 내고, 별도로 간 약재들과 고루 섞은 후, 졸인 꿀〔煉蜜〕과 물에 불린 떡으로 반죽하여 약으로 만든다. 1냥으로 10환(丸)을 만들되, 주사(朱砂)로 이 약재들을 감싸는 옷을 만든다. 약이 아직 젖어 있을 때 진금박(眞金箔) 40박(箔)으로 약재들을 감싸는 옷을 만들고 납월(臘月 섣달 즉 음력 12월)에 수합(收合)한다. 자기(磁器)에 보관하면 몇 년 동안 약이 손상되지 않는다. 풍독(風毒)에는 차청(茶淸 맑은 찻물)에 타서 복용하고, 약독(藥毒)에는 새로 길어온 냉수에 타서 복용한다. 땀낸 후의 여열(餘熱), 노병(勞病), 어린이의 경열(驚熱)에는 박하 달인 물〔薄荷湯〕과 함께 복용하되, 어른과 소아에 따라 복용량을 가감하여 사용한다. - 《기효양방(奇效良方)》 〈풍문(風門)〉에 나온다. 《어약원방(御藥院方)》에는 ‘관중(貫衆)’이 없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여러 종류의 중풍〔諸風〕으로 인한 어지럼증, 중풍(中風)으로 입을 꽉 다무는 증상, 손발이 야위는 증상, 머리ㆍ눈이 혼몽〔昏暗〕한 증상, 심신(心神)이 황홀한 증상 및 여러 냉기(冷氣)를 치료한다. 목향(木香)ㆍ백부자(白附子) - 날 것 - ㆍ관계(官桂 육계(肉桂)) - 껍질을 제거한 것 - ㆍ두충(杜冲) - 껍질과 섬유질〔絲〕을 제거한 것 - ㆍ후박(厚朴)ㆍ고본(藁本)〔蒿本〕 - 털을 제거한 것 - ㆍ독활(獨活)ㆍ강활(羌活)ㆍ해동피(海桐皮) - 껍질을 제거한 것 - ㆍ백지(白芷)ㆍ우슬(牛膝) - 움을 제거하고, 술에 담갔다가 불에 말린 것 - ㆍ감국(甘菊)ㆍ백화사(白花蛇) - 술에 3일 동안 담갔다가 껍질과 뼈를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 ㆍ전갈(全蝎) - 볶은 것 - ㆍ위령선(威靈仙) - 술에 씻은 것 - ㆍ만형자(蔓荊子)ㆍ천마(天麻)ㆍ당귀(當歸) - 술에 담갔다가 움을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 ㆍ호경골(虎脛骨) - 술에 넣고 끓인 후, 기름기를 제거하고, 연유를 발라 누렇게 구운 것 - ㆍ천남성(天南星) - 물에 5~7차례 끓인 것 - ㆍ방풍(防風)ㆍ산약(山藥)ㆍ감초(甘草) - 연유를 발라 약간 노릇하게 구운 것 - ㆍ적전(赤箭) - 각 1냥 -, 사향(麝香) - 3돈, 별도로 간 것 -, 주사(朱砂) - 1냥을 준비하되, 주사의 절반은 수비(水飛)한 후 별도로 갈아서 7돈에 넣고, 주사의 나머지 절반은 약재들을 감싸는 옷으로 사용한다. -.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고루 섞은 후, 별도로 간 약재를 집어넣고 잘 버무려서, 꿀〔蜜〕과 반죽하여 탄자만한 크기의〔彈子大〕 원(圓)을 만든다. 매번 1원(圓)〔丸〕을 잘게 씹어서 술이나 뜨거운 물과 함께 복용한다. 술에 담갔다가 복용해도 좋다. - 《어약원방(御藥院方)》 〈풍문(風門)〉에는 1냥으로 8환을 만든다고 되어 있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지보단(至寶丹) 중풍(中風)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 및 여러 종류의 독, 산람장기(山嵐瘴氣), 고독(蠱毒)ㆍ육독(肉毒)ㆍ수독(水毒), 출산 후의 혈운(血運)과 민란(悶亂), 난산(難産)을 치료한다. - 난산에는 어린이 소변 1홉에 생강즙(生薑汁) 3~5방울을 떨어뜨려 3환 내지 5환을 복용한다. - 오서각(烏犀角) - 깎아서 가루 낸 것 - ㆍ주사(朱砂) - 갈아서 수비(水飛)한 것 - ㆍ웅황(雄黃) - 갈아서 수비(水飛)한 것 - ㆍ호박(琥珀) - 별도로 간 것 - ㆍ생대모설(生瑇瑁屑) - 각 1냥 -, 우황(牛黃) - 별도로 간 것, 5돈 -, 사향(麝香) - 별도로 간 것 - ㆍ용뇌(龍腦) - 각각 별도로 간 것, 2돈 반 -, 안식향(安息香) - 1냥 반, 가루 내어 무회주(無灰酒)에 넣고 휘저은 후 맑은 것만 걸러내어 여과하고 모래흙〔沙土〕은 제거한다. 대략 깨끗한 것 1냥을 얻으면, 이것을 약한 불에 졸여서 고약〔膏〕을 만든다. -, 은박(銀箔) - 50박(箔) -, 금박(金箔) - 50박(箔), 절반은 약재 안에 넣고, 나머지 절반은 약재들을 감싸는 옷으로 사용한다. -. 위의 약들에서 오서각과 생대모설을 곱게 가루 낸 후, 나머지 약재들에 넣어 고루 간다. 앞에서 만든 안식향(安息香) 고약을 중탕(重湯)으로 달여서 응고되면 여러 약들을 집어넣는다. 손으로 저어 동그란 환약을 만드는데 1냥으로 40환을 만든다. 인삼탕(人參湯)과 함께 3환 내지 5환을 복용한다. 또한 이 지보단은 어린이의 여러 간질(癎疾), 급경풍(急驚風), 갑작스런 중풍〔卒中〕, 객오(客忤), 불면증, 번조(煩燥), 풍휵(風搐 손발을 떨면서 버둥거리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 때는 2환을 쓴다. - 《화제국방(和劑局方)》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갈사백원자(蝎麝白圓子) 치료 증상은 백원자(白圓子 청주백원자(靑州白圓子))와 같다. 백원자 본래 처방에 천마(天麻)ㆍ방풍(防風) - 각 1냥 -, 전갈(全蝎) - 5돈 -, 생사향(生麝香) - 반돈 - 을 첨가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생강즙을 넣은 찹쌀풀〔薑汁糯米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10~20환을 담강탕(淡薑湯)과 함께 수시로 삼키는데, 담강탕 대신 따뜻한 술도 좋다. - 《득효방(得効方)》 〈풍과(風科)〔風門〕〉에 나온다. ○다른 처방에는 천오(川烏)가 1냥이라고 되어 있다. -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10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Species Delimitation in the Genus Moschus (Ruminantia: Moschidae) and Its High-Plateau Origin. Tao Pan,Hui Wang,Chaochao Hu,Zhonglou Sun,Xiaoxue Zhu,Tao Meng,Xiuxiang Meng,Baowei Zhang Species Delimitation in the Genus Moschus (Ruminantia: Moschidae) and Its High-Plateau Origin. 2015 조회
    [Cranial features and feeding types of subspecies forms of Moschus moschiferus L. (Moschidae, Cetartiodactyla)]. V I Prikhod'ko [Cranial features and feeding types of subspecies forms of Moschus moschiferus L. (Moschidae, Cetartiodactyla)]. 조회
    DNA barcoding revises a misidentification on musk deer. Chengzhong Yang,Zhen Xiao,Yuan Zou,Xiuyue Zhang,Bo Yang,Yinghong Hao,Timothy Moermond,Bisong Yue DNA barcoding revises a misidentification on musk deer. 2015 조회
    [Cranial features and feeding types of subspecies forms of Moschus moschiferus L. (Moschidae, Cetartiodactyla)]. V I Prikhodko Izvestiia Akademii nauk. Seriia biologicheskaia 2015 조회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sports drug testing: identification of natural steroid administration in doping control urine samples resulting from musk (pod) extracts. Mario Thevis,Wilhelm Sch?nzer,Hans Geyer,Detlef Thieme,Joachim Grosse,Claudia Rautenberg,Ulrich Flenker,Simon Beuck,Andreas Thomas,Ruben Holland,Jiri Dvorak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2 조회
    Mitochondrial genome of the Korean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Artiodactyla, Ruminantia, Moschidae). Kuem Hee Jang,Ui Wook Hwang Mitochondrial DNA 2010 조회
    Species and sex identification of the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by molecular analysis of non-invasive samples. Baek Jun Kim,Yun-Sun Lee,Jung-hwa An,Han-Chan Park,Hideo Okumura,Hang Lee,Mi-Sook Min Molecules and cells 2008 조회
    [Molecular genetic diversity of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L., 1758 (Ruminantia, Artiodactyla) from the northern subspecies group]. M V Kholodova,V I Prikhodko Genetika 2006 조회
    [Clinical effect and experimental study of xijian tongshuan pill]. L Zhao,Y Zhang,Z X Xu Zhongguo Zhong xi yi jie he za zhi Zhongguo Zhongxiyi jiehe zazhi = Chinese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and Western medicine 1994 조회
    [Food specialization in ruminants: the role of endosymbiosis in its formation]. V E Sokolov,E I Naumova,G K Zharova Izvestiia Akademii nauk SSSR. Seriia biologicheskaia 1989 조회

    특허 (17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Tankangning medicine for curing hemiplegia and making method | Corning paralysi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UANG H 1998-06-07 조회
    External beauty and anti-aging formula | A one external cosmetic anti-aging formulation ZHANG, Xiang-bu 2014-03-21 조회
    Medicinal liquor ZHANG, Hui-ming 2014-04-30 조회
    Stomach health care coat LIU, De-shan 2014-08-22 조회
    One of the kidney by health care coat LIU, De-shan 2014-08-22 조회
    Minnow-inebriating special-purposed bait | And one a kind of special bait for drunken fish meal LI, Bai-jian 2014-10-10 조회
    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HU, Ren-jin 2016-07-01 조회
    CANDY HAS MEDICAL STUFF | The candy in which the medicinal stuff component is contained. Kim Deok Hee 2007-08-11 조회
    METHOD FOR TREATMENT OF ASTHMA SYNDROME | METHODE DE TRAITEMENT DE L'ASTHME HOANG, Ba, X. | LEVINE, Stephen, A. 2000-07-06 조회
    Method for treatment of asthma syndrome Hoang, Ba, X. | Levine, Stephen, A. 2001-09-17 조회

    전통지식(문헌) (207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향약집성방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모든 열독(熱毒)을 없애고 사독을 풀며, 경계증(驚悸症), 황홀(恍惚: 정신이 어리둥절한 것)을 치료한다. 사향노루는 노루 비슷한데 좀 작다. 사향(麝香)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사향 사향노루의 배꼽 .춘분(春分)에 생것을 취하면 더욱 좋다. 그 향(香)은, 바로 사(麝)의 음경(陰莖) 앞 피육(皮肉)에 별도로 막(膜)이 있어 싸고 있다. 《증류본초》 사(麝)는 세 종류가 있다. 제 1의 것은 향사(香麝)가 새끼를 낳으면 추운 계절에 이르러 향이 가득해지는데, 봄에 접어들면서 급박스럽게 아프므로 발톱으로 긁어 떼내 버린다. 그러면 그것이 떨어진 근처에는 풀과 나무가 모두 누렇게 탄다. 때문에 이것은 아주 얻기가 어렵다. 그 다음은 제향(臍香)으로, 곧 잡아 죽여서 취하는 것이요, 그 다음은 심결향(心結香)으로, 곧 추격을 받아 도망하다가 저절로 죽은 것인데 품질이 좋지 않아 약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증류본초》 사향은 가짜가 많다. 그러니 한 조각을 쪼개 보면 털이 싸인 속에 함께 있는 것을 좋은 것으로 친다. 《증류본초》 무릇 사향을 사용할 때는 자일(子日)에 갈라 너무 가늘게 갈지 않고 다만 체로 쳐서 사용한다. 《증류본초》 우리나라에는 사향이 함경도와 평안도에서 나는 것을 좋은 것으로 친다. 그러나 달자(㺚子 서북변 오랑캐)지방에서 나는 것에는 미치지 못한다. 《동의보감》 .사향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것이 가장 좋다. 사향을 포획하거든 그 즉시 가는 노끈으로 제근(臍根)을 단단히 묶고 향을 베어내어 3일 동안을 술에 담가둔다. 그리고 구덩이를 2척 깊이로 파고 진흙으로 그 안을 바른 다음 상시(桑柴)에 불을 지폈다가 불을 제거하고 뜨거울 때 나무를 갱구(坑口)에 십자(十字)로 걸쳐 놓고는 아래로 늘어지게 달아맨다. 그 다음 질동이[瓦盆]를 엎어 놓고 하룻밤을 두었다가 마른 다음 꺼낸다. 그리하여 사태피(蛇蛻皮)로 싸서 저장해 두면 향이 특수하게 좋아진다. 《이용재경험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신선태을자금단방 당(唐) 나라의 진자명(陳自明)과 송(宋) 나라의 이신실(李迅實)은 모두 신선퇴독원(神仙退毒元), 또는 성원단(聖援丹) 또는 신선해독만병원(神仙解毒萬病元)이라고도 하였다. 그런데 명(明) 나라 함허자(涵虛子) 구선(臞仙)은 옥추단(玉樞丹)이라 했고, 지겸도인(止謙道人) 왕응의(王應椅)가 지금의 이름을 지었다. 산자고(山茨菰)의 껍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배건한 것 2냥.천금자(千金子)는 속수자(續隨子)라고도 하는데 껍데기를 제거하고 갈아서 기름기를 뺀 것 1냥. 두문방(斗門方)에는 껍데기를 제거하고 종이로 싸서 무거운 물건으로 눌러 기름을 빼낸 다음 다시 빻아 분말을 만든다 했다.문합(文蛤)은 오배자(五倍子)라고도 한다. 방망이로 쳐서 깨어 깨끗이 씻은 것 3냥.홍아(紅芽)는, 대극(大戟)이라고도 한다. 묵은 싹은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배건한 것 1냥 반.사향(麝香) 3전을 따로 갈아서 쓴다.이상의 약 중에서 천금자(千金子)와 사향(麝香)을 제외한 세 가지 약(산자고(山茨菰)ㆍ문합(文蛤)ㆍ홍아(紅芽))을 곱게 빻아 연약(硏藥 천금자(千金子)와 사향(麝香)을 빻아 가루로 만든 것)과 고루 섞어 나미(糯米)로 죽이 되게 쑤어 풀을 만들어서 함께 나무 절구에 넣고 1천 번 찧는다. 그것을 나누어 40낱을 만들어서 사용하되 약을 합할 시기는 단오(端午)ㆍ칠석(七夕)ㆍ중양일(重陽日)이나 천덕(天德)ㆍ월덕일(月德日)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약을 만들 적에는 깨끗한 방에 분향(焚香)하고 지성을 드려 만들되 부인이나 닭과 개가 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이제 상고해 보니 가루를 합하면 무게가 7냥 8전이다. 그러나 바람에 날아가는 등의 결손이 생기므로 나머지는 7냥 5전에 지나지 않는다. 매제(每劑)에 나미(糯米) 2홉을 깨끗이 씻어 진밥을 지어 사용하는데 무게가 6냥 6전으로, 풀과 합한 약의 무게는 14냥이 좀 더되고, 찧은 다음 무게는 14냥 3~4전이다. 이것은 대개 찧을 때 공이에 붙거나 마르면 물을 첨가했기 때문이다. 진자명(陳自明)ㆍ구선(臞仙)ㆍ왕응의(王應椅)가 모두 한 제(劑)를 나누어 40개로 만든다고 하였다. 그러나 나는 기력(氣力)의 강약(强弱)과 노유(老幼)를 헤아리지 않고 모두 1개씩 먹는다는 것이 마음에 걸려, 이제 나누어서 80개로 만들었다. 이는 왕응의가 이른바 ‘매번 반 개씩 먹는다.’ 한 것도 이 같은 뜻일 것이다. 음건 1개의 무게는 1전이고 한 제(劑) 80개의 무게는 8냥이다. 이것이 신선태을자금단(神仙太乙紫金丹)을 만드는 법의 대략이다.그런데 지금의 의가(醫家)에서는 이미 산자고(山茨菰)를 잘못 알고 쓰는 데다가 다시 웅황(雄黃)과 주사(朱砂)를 첨입(添入)해서 그 진성(眞性)을 어지럽혔고, 또 근량도 우리나라와 아주 다르기 때문에 약의 효력이 전혀 없으니, 계산 없는 것이 너무 심하다. 그리고 별도로 탕(湯)을 갖추어 뒤에 붙였다. 이 약은 매우 견강(堅剛)하므로 창졸간에 갈기가 쉽지 않으니, 모름지기 곱게 깎아서 물에 타 먹으면 된다.매양 1개를 빈 속에 먹되 새벽에 일찍 먹으면 더욱 신속한 효력을 본다. 통리(通利)시킬 때는 1냥을 먹어도 무방하지만 따스한 죽으로 먹어야 한다. 그리고 이 약을 가지고 다니면 손쉽게 응변(應變)할 수 있어 만에 하나도 실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임산부는 먹지 말아야 한다.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약 제조법 탕중(湯中)에 서각(犀角)ㆍ녹각(鹿角)ㆍ영양각(羚羊角)ㆍ주가(朱砂)ㆍ사향(麝香)ㆍ우황(牛黃)ㆍ포황(蒲黃)을 사용할 때는 모름지기 고운 가루로 만들어 탕약을 먹을 때 탕중(湯中)에 넣고 흔들어 먹어야 한다. 《증류본초》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약_약 먹을 때 금해야 할 일과 음식 사향(麝香)은 마늘 먹는 것을 금한다. 기타 비공개
    의림촬요 처음에 담(痰)이 들어 몸에 가득 차서, 구안와사가 있고, 몸을 잘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는 참기름〔眞淸油〕 작은 1홉을 사향소합원(麝香蘇合元)〔麝蘇〕 3환과 섞어 삼키게 한다. 사향 가루〔麝香末〕 조금을 함께 섞어서 먹여도 좋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활명금단(活命金丹)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 반신불수, 사지 마비, 가래 섞인 침이 올라오는 증상〔上潮〕, 목구멍이 메이고 어금니를 꽉 깨무는 증상, 음식의 소화 불량을 치료한다. 일체의 약독(藥毒)과 주독(酒毒), 열사(熱邪)로 인한 복부팽만, 대변ㆍ소변의 어려움, 흉만(胸滿)과 기폐(氣閉), 상초는 실하고 하초는 허하여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 땀낸 후의 여열(餘熱)을 없앤다. - 양격산(凉膈散)에 청대(靑黛)와 남근(藍根)을 첨가한 것도 처방 이름은 똑같다. - 관중(貫衆)ㆍ감초(甘草)ㆍ판람근(板藍根)ㆍ첨초(甜硝)ㆍ건갈(乾葛) - 각 1냥, 혹은 〈건갈 대신〉 ‘건강(乾薑)’으로 한다. -, 용뇌(龍腦) - 별도로 간 것〔另〕 - ㆍ사향(麝香) - 별도로 간 것 - ㆍ청대(靑黛) - 각 3돈 -, 우황(牛黃) - 별도로 간 것 - ㆍ생서각(生犀角)〔生犀〕ㆍ진주 가루(珍珠末)〔珠子末〕ㆍ박하(薄荷) - 각 5돈 -, 대황(大黃) - 1냥 반 -, 진사(辰砂) - 별도로 간 것 4돈, 절반은 약재들을 감싸는 옷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절반은 약재 안에 넣는다. -, 계심(桂心) - 3돈 -. 위의 약들을 가루 내고, 별도로 간 약재들과 고루 섞은 후, 졸인 꿀〔煉蜜〕과 물에 불린 떡으로 반죽하여 약으로 만든다. 1냥으로 10환(丸)을 만들되, 주사(朱砂)로 이 약재들을 감싸는 옷을 만든다. 약이 아직 젖어 있을 때 진금박(眞金箔) 40박(箔)으로 약재들을 감싸는 옷을 만들고 납월(臘月 섣달 즉 음력 12월)에 수합(收合)한다. 자기(磁器)에 보관하면 몇 년 동안 약이 손상되지 않는다. 풍독(風毒)에는 차청(茶淸 맑은 찻물)에 타서 복용하고, 약독(藥毒)에는 새로 길어온 냉수에 타서 복용한다. 땀낸 후의 여열(餘熱), 노병(勞病), 어린이의 경열(驚熱)에는 박하 달인 물〔薄荷湯〕과 함께 복용하되, 어른과 소아에 따라 복용량을 가감하여 사용한다. - 《기효양방(奇效良方)》 〈풍문(風門)〉에 나온다. 《어약원방(御藥院方)》에는 ‘관중(貫衆)’이 없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목향보명단(木香保命丹) 여러 종류의 중풍〔諸風〕으로 인한 어지럼증, 중풍(中風)으로 입을 꽉 다무는 증상, 손발이 야위는 증상, 머리ㆍ눈이 혼몽〔昏暗〕한 증상, 심신(心神)이 황홀한 증상 및 여러 냉기(冷氣)를 치료한다. 목향(木香)ㆍ백부자(白附子) - 날 것 - ㆍ관계(官桂 육계(肉桂)) - 껍질을 제거한 것 - ㆍ두충(杜冲) - 껍질과 섬유질〔絲〕을 제거한 것 - ㆍ후박(厚朴)ㆍ고본(藁本)〔蒿本〕 - 털을 제거한 것 - ㆍ독활(獨活)ㆍ강활(羌活)ㆍ해동피(海桐皮) - 껍질을 제거한 것 - ㆍ백지(白芷)ㆍ우슬(牛膝) - 움을 제거하고, 술에 담갔다가 불에 말린 것 - ㆍ감국(甘菊)ㆍ백화사(白花蛇) - 술에 3일 동안 담갔다가 껍질과 뼈를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 ㆍ전갈(全蝎) - 볶은 것 - ㆍ위령선(威靈仙) - 술에 씻은 것 - ㆍ만형자(蔓荊子)ㆍ천마(天麻)ㆍ당귀(當歸) - 술에 담갔다가 움을 제거하고 불에 말린 것 - ㆍ호경골(虎脛骨) - 술에 넣고 끓인 후, 기름기를 제거하고, 연유를 발라 누렇게 구운 것 - ㆍ천남성(天南星) - 물에 5~7차례 끓인 것 - ㆍ방풍(防風)ㆍ산약(山藥)ㆍ감초(甘草) - 연유를 발라 약간 노릇하게 구운 것 - ㆍ적전(赤箭) - 각 1냥 -, 사향(麝香) - 3돈, 별도로 간 것 -, 주사(朱砂) - 1냥을 준비하되, 주사의 절반은 수비(水飛)한 후 별도로 갈아서 7돈에 넣고, 주사의 나머지 절반은 약재들을 감싸는 옷으로 사용한다. -.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고루 섞은 후, 별도로 간 약재를 집어넣고 잘 버무려서, 꿀〔蜜〕과 반죽하여 탄자만한 크기의〔彈子大〕 원(圓)을 만든다. 매번 1원(圓)〔丸〕을 잘게 씹어서 술이나 뜨거운 물과 함께 복용한다. 술에 담갔다가 복용해도 좋다. - 《어약원방(御藥院方)》 〈풍문(風門)〉에는 1냥으로 8환을 만든다고 되어 있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지보단(至寶丹) 중풍(中風)으로 말을 못하는 증상 및 여러 종류의 독, 산람장기(山嵐瘴氣), 고독(蠱毒)ㆍ육독(肉毒)ㆍ수독(水毒), 출산 후의 혈운(血運)과 민란(悶亂), 난산(難産)을 치료한다. - 난산에는 어린이 소변 1홉에 생강즙(生薑汁) 3~5방울을 떨어뜨려 3환 내지 5환을 복용한다. - 오서각(烏犀角) - 깎아서 가루 낸 것 - ㆍ주사(朱砂) - 갈아서 수비(水飛)한 것 - ㆍ웅황(雄黃) - 갈아서 수비(水飛)한 것 - ㆍ호박(琥珀) - 별도로 간 것 - ㆍ생대모설(生瑇瑁屑) - 각 1냥 -, 우황(牛黃) - 별도로 간 것, 5돈 -, 사향(麝香) - 별도로 간 것 - ㆍ용뇌(龍腦) - 각각 별도로 간 것, 2돈 반 -, 안식향(安息香) - 1냥 반, 가루 내어 무회주(無灰酒)에 넣고 휘저은 후 맑은 것만 걸러내어 여과하고 모래흙〔沙土〕은 제거한다. 대략 깨끗한 것 1냥을 얻으면, 이것을 약한 불에 졸여서 고약〔膏〕을 만든다. -, 은박(銀箔) - 50박(箔) -, 금박(金箔) - 50박(箔), 절반은 약재 안에 넣고, 나머지 절반은 약재들을 감싸는 옷으로 사용한다. -. 위의 약들에서 오서각과 생대모설을 곱게 가루 낸 후, 나머지 약재들에 넣어 고루 간다. 앞에서 만든 안식향(安息香) 고약을 중탕(重湯)으로 달여서 응고되면 여러 약들을 집어넣는다. 손으로 저어 동그란 환약을 만드는데 1냥으로 40환을 만든다. 인삼탕(人參湯)과 함께 3환 내지 5환을 복용한다. 또한 이 지보단은 어린이의 여러 간질(癎疾), 급경풍(急驚風), 갑작스런 중풍〔卒中〕, 객오(客忤), 불면증, 번조(煩燥), 풍휵(風搐 손발을 떨면서 버둥거리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이 때는 2환을 쓴다. - 《화제국방(和劑局方)》에 나온다. -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갈사백원자(蝎麝白圓子) 치료 증상은 백원자(白圓子 청주백원자(靑州白圓子))와 같다. 백원자 본래 처방에 천마(天麻)ㆍ방풍(防風) - 각 1냥 -, 전갈(全蝎) - 5돈 -, 생사향(生麝香) - 반돈 - 을 첨가한다.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생강즙을 넣은 찹쌀풀〔薑汁糯米糊〕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한 크기의 환(丸)을 만든다. 매번 10~20환을 담강탕(淡薑湯)과 함께 수시로 삼키는데, 담강탕 대신 따뜻한 술도 좋다. - 《득효방(得効方)》 〈풍과(風科)〔風門〕〉에 나온다. ○다른 처방에는 천오(川烏)가 1냥이라고 되어 있다. -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2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Won Pyong Oh) (1988) Rare and endangered species of mammals in South Korea.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2 (0) : 61 – 66

      한반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