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자라

Pelodiscus maackii (Brandt, 185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자라

Pelodiscus maackii (Brandt, 185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자라

Pelodiscus maackii (Brandt, 185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자라 Pelodiscus maackii (Brandt, 1857)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Reptilia (파충강) > Testudines (거북목) > Trionychidae (자라과) > Pelodiscus (자라속) > maackii (자라)
이명정보
[원기재명]
Amyda maackii Stejneger, 1907
[학명이명]
Trionyx maachii Stanley, 1914
Trionyx maaki Chkhikvadze, 1987
[국명이명]
마키자라

거북목 자라과에 속하는 파충류이다. 등딱지의 길이는 15~17cm이다. 다른 민물거북과 다르게 등딱지가 연하며, 목이 상당히 긴 편이고 주둥이 끝이 길게 돌출되어 있다. 네 다리는 크고 짧으며, 앞·뒤 다리의 발가락 사이에는 물갈퀴가 특히 잘 발달되어 있다. 꼬리는 매우 짧아 등갑 밖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다. 등딱지를 포함한 전체 체색이 회갈색이고, 배딱지는 연한 황색이나 백색이다. 물속의 진흙에 살며 야행성으로 주로 갑각류, 연체동물, 곤충, 어류, 양서류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동물이다. 10월부터 3월까지 모래 속에 숨어서 겨울잠을 자고,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해 짝짓기한다. 5월에서 8월에 모래를 파고 3~5회에 걸쳐 각각 15~5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약 50일 지나면 부화한다.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타이완, 베트남,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일본, 타이완, 베트남, 러시아 극동 지역 [2]

    전국 [2]

  • 야행성으로 주로 갑각류, 연체동물, 곤충, 어류, 양서류 등을 잡아먹는 육식성 동물이다. 10월부터 3월까지 모래 속에 숨어서 겨울잠을 자고,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해 짝짓기한다. 5월에서 8월에 모래를 파고 3~5회에 걸쳐 각각 15~50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약 50일 지나면 부화한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해점, 율무, 마늘, 생강, 비늘 없는 생선, 당나귀고기, 참새고기, 양의 간, 거위, 오리, 오디, 해바라기, 배, 닭고기, 달걀, 잉어회, 찹쌀, 복숭아씨, 죽, 꿩, 자라, 자박(불에 굽거나 말린 것), 오신, 훈취(향기와 악취) 등을 피한다. 제자리가 아닌 곳에는 대변과 소변을 보지 않는다. 산후에는 술, 밀가루, 매운 것, 뜨거운 것, 닭, 양, 날것, 찬 것, 신 것, 단 것 등을 피한다.
    2 문헌 약용 《천금방》 한 해가 지나도 탈항이 낫지 않을 때의 치료: 죽은 자라 머리 1개를 태우고 찧어서 가루로 만들어 항문 위에 붙이고 손으로 가볍게 문질러준다.
    3 문헌 약용 《주후방》 요통으로 고개를 숙이고 올려다 볼 수 없을 때의 치료 : 자라등껍질 1개를 구워서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서 약숟가락으로 1숟가락을 복용한다.
    4 문헌 농사용 4월에 신수(神守) 1마리를 넣되, 6월에 2마리, 8월에 3마리를 넣어준다. 신수란 자라[鱉]를 말한다. 자라를 넣는 것은 잉어가 3백 60마리 정도로 못에 가득해지면 큰 물고기가 우두머리가 되어 물고기를 달아나게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라를 넣어주면 물고기가 달아나지 않고 못 가운데에서 9개의 섬을 끊임없이 돌아다니며 강이나 호수로 여긴다.
    5 구전 약용 계절에 상관없이 마을 주변 냇가에서 자라를 잡아 아이가 허약할 때 삶아서 먹인다.
    6 문헌 기타 껍질은 산채로 껍질을 벗긴 것이 좋다. 삶아서 벗겨낸 것은 쓰지 않는다.
    7 문헌 약용 이빨에 물려 손가락 끝이 파여 통증을 참을 수 없는 것이 오래되면 손가락이 문드러져 떨어진다. 만약 문드러지면 먹을 수 있는 뱀[食蛇]이나 거북이 껍질을 태운 재를 바른다. 만약 효과가 없으면 자라 껍질 태운 재를 발라 붙여도 좋다.
    8 문헌 식용 금해야할 음식은 당나귀 개 토끼 등의 고기, 비늘 없는 생선, 게, 양의 간, 자라고기, 맥아 마치현 마늘 메기와 오리 달걀, 달걀과 찹쌀을 섞어 먹는 것 등이다. 참새고기를 술과 함께 먹는 것을 피하고, 또한 모든 버섯은 아이가 경풍(驚風)으로 오래 살지 못하게 한다.
    9 문헌 약용 헐면 구판이나 별갑 태운 재를 기름에 개어 붙인다.
    10 문헌 약용 위의 약들을 가루 내어 매번 2돈씩 공복에 미음과 함께 복용한 뒤 짚신바닥을 불에 쬐어 뜨겁게 한 후 항문을 밀어 넣는다. 탈항에는 고삼 오배자 동벽토를 달인 물로 훈증하고 씻어준다. 또한 뜨거운 동변에 백반 가루를 섞어 훈증하고 씻어준 후 불에 쬔 짚신 바닥으로 밀어 넣는다. 항문이 빠져서 들어가지 않는 경우 오배자 가루에 백반 사상자를 넣고 달인 물로 훈증하고 씻은 후 적석지 가루를 파초 잎 위에 뿌려서 밀어 넣는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