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무당개구리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mphibia (양서강) > Anura (무미목) > Bombinatoridae (무당개구리과) > Bombina (무당개구리속) > orientalis (무당개구리)

몸의 등면 피부의 바탕색은 암녹색, 청록색 또는 갈색이다. 여기에 불규칙한 흑색 얼룩무늬와 크고 작은 융기가 조밀하게 흩어져 있다. 배면의 피부는 매끄럽고 밝은 붉은색 바탕에 흑색의 불규칙한 얼룩무늬가 산재하여 한국의 타 개구리 종들과 잘 구별된다. 전국의 고도가 높은 산간 계류에서 주로 발견된다. 한반도의 제주도가 이 종의 남방 한계선이다. 한국, 중국,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러시아에 서식한다. [3]

    도서지방을 포함한 전국 [2]

  • 4월 중순경부터 산간 계곡의 물이 고인 곳이나 산지 농경지, 수로 등 물이 고여 있거나, 물 흐름이 약한 물 바닥에 4~5개씩 알을 여러 곳에 낳는다. 번식은 4월부터 8월에 걸쳐 이루어지며, 여름철에 임도, 등산로 등에서 비가 온 뒤 고인 물웅덩이에 집단으로 모여 번식하는 경우도 많다. 번식 기간에 ‘꾸욱 ~ 꾸욱 ~ 꾹’ 하는 낮은 울음소리를 연속적으로 낸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개구리소리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7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nhibitory effect of the antimicrobial peptide BLP-7 against <i>Propionibacterium acnes</i>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 on acne vulgaris Wu, Yun;Qiang, Yuanyuan;Cao, Kun;Zhang, Wei;Zhang, Guangxian; Toxicon 2020
    2 Discovery of two bombinin peptides with antimicrob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from the skin secretion of Oriental fire‐bellied toad, <i>Bombina orientalis</i> Zhou, Chang;Wang, Zhengming;Peng, Xin;Liu, Yao;Lin, Yangjun;Zhang, Zhe;Qiu, Yuling;Jin, Meihua;Wang, Ran;Kong, Dexin; Chemical biology & drug design 2018
    3 질산납이 한국산 무미양서류의 배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해범;고선근;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017
    4 The synergistic antimicrobial effects of novel bombinin and bombinin H peptides from the skin secretion of <i>Bombina orientalis</i> Xiang, Jie;Zhou, Mei;Wu, Yuxin;Chen, Tianbao;Shaw, Chris;Wang, Lei; Bioscience reports 2017
    5 Developmental and acute toxicity of cetylpyridinium chloride in Bombina orientalis (Amphibia: Anura) Park, C.J.;Song, S.H.;Kim, D.H.;Gye, M.C.; Aquatic toxicology 2016
    6 Alfaxalone <i>versus</i> alfaxalone–dexmedetomidine anaesthesia by immersion in oriental fire‐bellied toads (<i>Bombina orientalis</i>) Adami, Chiara;d'Ovidio, Dario;Casoni, Daniela; Veterinary anaesthesia and analgesia 2016
    7 Alfaxalone anesthesia by immersion in oriental fire‐bellied toads (<i>Bombina orientalis</i>) Adami, Chiara;Spadavecchia, Claudia;Angeli, Giovanni;d'Ovidio, Dario; Veterinary anaesthesia and analgesia 2015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7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야생에서 잡은 비단개구리(무당개구리) 말린 것의 삶은 물을 마시거나 찧어서 환부에 붙이면 노인의 상처 치료에 효과가 있고, 담, 좌골신경통의 결리는 증상이 완화된다. 야생에서 잡은 비단개구리(무당개구리)는 등이 새파랗고 배가 빨갛다.
    2 구전 약용 산에서 잡은 개구리(무당개구리) 뒷다리를 이폿(팥)과 함께 달여 밸복(어린아이가 못 먹어서 배가 볼록 나오는 증상)에 먹는다.
    3 구전 약용 근(등창), 종기뺄 때 5~8월에 채취한 비단개구리를 말려서 빻아 가루를 환부에 붙임은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약용 생인손 용도로 봄, 여름에 채취한 벌건개구리를 잡아 생인손이 붙이면 금방 나음(아픔)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약용 비단개구리는 배가 빨갛다 약으로 씀 목에 혹이 난 경우(운주창이라 함) 비단 개구리를 말려서 가루를 내어 대통에 넣어서 불었음 개구리 가루가 운주창에 골고루 붙게 뿌려주면 효과가 있음
    6 구전 약용 비단개구리는 노인들 기운 떨어져서 아프고 힘이 없을 때 달여 먹으면 좋음
    7 구전 기타 독개구리(무당)는 산 계곡에 가면 많은데 먹지는 않음
    8 구전 약용 배 벌건 개구리를 막걸리에 넣어서 15일만에 꺼내면 질질 흐름 병은 고칠 수 있으나 남자는 양기를 잃어 버림
    9 구전 약용 말려서 갈아서 가루내어 먹음
    10 구전 약용 비단개구리를 강장제로 튀겨 먹음
  • 표본 (총121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AM0000000124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울산광역시 울... / 1989-06-27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25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경상남도 고성... / 1987-04-04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26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울산광역시 울... / 1996-06-25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27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울산광역시 울... / 1988-06-27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28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경기도 파주시... / 1985-05-04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29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 1986-04-02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30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31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 1985-05-20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32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충청북도 청주... 보련산 / 2006-08-02 액침표본 1건
    NIBRAM0000000133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강원도 양양군... / 2005-12-04 액침표본 1건

    소재 (총1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82661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충청북도 청주... 보련산 / 2006-08-02 조직 1건
    NIBRGR0000082663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충청남도 예산... 월악산 / 2006-08-02 조직 1건
    NIBRGR0000082665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강원도 인제군... / 2005-08-15 조직 1건
    NIBRGR0000082666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경상북도 상주... / 2009-05-12 조직 1건
    NIBRGR0000082667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경상북도 상주... / 2009-05-12 조직 1건
    NIBRGR0000082668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전라남도 영암... / 2009-05-14 조직 1건
    NIBRGR0000082669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전라남도 영암... / 2009-05-14 조직 1건
    NIBRGR0000107764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강원도 횡성군... / 2011-05-09 조직 1건
    NIBRGR0000107765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강원도 횡성군... / 2011-05-09 조직 1건
    NIBRGR0000111616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 무당개구리 전라남도 영암... / 2009-07-01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1890) 무당개구리 COI LCO/HCO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정규회(KyuHoi Chung), 계명찬(MyungChan Gye), 송재영(JaeYoung Song) (2000) 본문 : 진도 양서 파충류 생물다양성.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18 (1) : 113 – 120

      전라남도 진도군 진도읍 ( 19980505 )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 19980505 )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 19980508 )
    • 김남중 ; 권혁방최월봉 (1991) 계통발생에 따른 각종 척추동물의 췌장 내분비세포에 관한 면역 세포화학적 연구 II. 파충강, 양서강 및 어강에 관하여. 동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34 (4) : 433 – 451

      강원도 ( )
    • 황정렬 ; 여성문 (1998) Isol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from Skin Secretions of the Oriental Fire-bellied Toad, Bombina orientalis.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2 (3) : 361 – 365

      Dunnae, Kangwon-do ( )
    • Yang S-Y, Min M-S, Kim J-B, Suh J-H (1997) Genetic diversity of the fire-bellied toad, Bombina orientalis, in Korea.. Korean Journal of Genetics 19 : 59 – 69

      한국 진도 ( )
    • Park D, Cheon S, Sung H (2006)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anuran tadpoles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 : 425 – 432

      Chuncheon-shi ( )
    • Szyndlar Z (1984) A description of a small collection of amphibians and reptiles from the People's Democratic Republic of Korea with not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herpetofauna in that country.. Acta Zoologica Cracoviensia 27 : 3 – 18

      한국 ( )
    • Choi, In-Ho ; Shin, Jae-Seung ; Kim, Mi-Hyun (1998) Allometric Relations of Take-off Speed and Power with Body Mass of Anuran Amphibians.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2 (4) : 477 – 481

      Wonju, Kangwon-do, Korea ( )
    • Lee HY, Park OY, Jin JH, Oh SJ, Yang SY (1996) Fragment analysis and variation in mitochondrial DNA of Korean Bombina orientalis.. Korean Journal of Genetics 18 : 93 – 102

      Korea ( )
    • Park O-Y, Lee H-I, Yang S-Y, Lee H-Y (1999) Analysis of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in Korean Bombina orientalis.. Korean Journal of Genetics 21 : 193 – 199

      한국 ( )
    • Jung S-O, Kim B-G, Yoon Y-D, Lee J-S (2006)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Korean fire-bellied frog Bombina orientalis from Korea (Anura, Bombinatoridae) and difference between biogeographically different individual from China.. Korean Journal of Genetics 28 : 17 – 26

      한국 ( )
    • Kang HS, Park CJ, Gye MC (2010) Effect of Carbaryl on Survival and Development in Bombina orientalis (Boulenger) Embryos.. Bulletin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Toxicology 84 : 550 – 553

      한국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