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Gȕnther, 187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Gȕnther, 187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Gȕnther, 187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북방산개구리 Rana dybowskii Gȕnther, 1876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mphibia (양서강) > Anura (무미목) > Ranidae (개구리과) > Rana (개구리속) > dybowskii (북방산개구리)
이명정보
[원기재명]
Rana temporaria dybowskii (북방산개구리)

무미목 개구리과에 속하는 양서류이다. 몸길이는 크기는 50~85mm로 한국산 산개구리류 중 가장 대형이다. 뚜렷한 흑색 반문이 눈 뒤쪽까지는 있고 눈 앞쪽부터 주둥이까지는 없다. 복부와 턱 밑의 바탕색이 우윳빛이다. 암컷은 번식기에 턱 밑과 복부에 붉은 반문들이 나타나며, 수컷은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있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체구는 작으나 앞다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번식기가 되면 앞다리의 첫 번째 발가락에 육괴가 나타난다. 유생의 양 눈은 등에 있으며 분수공은 몸통 측면에 있고 꼬리에는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주로 산지에 있는 하천의 돌 밑에서 월동하고 번식기인 초봄이 되면 논 습지 주변 또는 하천 주변의 웅덩이로 이동해 알을 낳는다. 알집은 원형이며 수백 개의 알로 구성된 알 덩어리의 크기는 15cm에 이른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내륙 산지에 살며, 세계적으로는 러시아와 일본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포획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인공증식 또는 재배를 위한 포획ㆍ채취 등의 허가대상 야생생물

  • 제주도 및 전국 내륙 산지 [2]

    러시아, 일본 대마도 [4]

  • 암컷은 번식 시기에 턱 밑과 복부에 붉은색을 띤다. 주로 산지의 하천 돌 밑에서 월동하고, 번식기인 초봄에 농지 주변이나 하천 주변의 물웅덩이로 이동하여 산란하며, 수십에서 수백 개의 알로 이루어진 알 덩어리를 바닥이나 수면에 낳는다. 알 덩어리는 불규칙하나 거의 둥근 형태에 가깝다. 한 마리의 암컷이 낳는 알의 수는 80~1,000개이다. 번식 기간 이외에는 산지의 산림 내에서 활동한다. 2월부터 4월의 번식 기간에 ‘꾸아악 꾸악’ ‘꾸아악 꾸악’ 하고 연속적으로 울음소리를 낸다. 멀리서 나는 소리는 마치 새소리처럼 들린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개구리소리

    [4]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