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Anas cygnoid Linnaeus, 1758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로 매우 드문 겨울철새이며 나그네새이다[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이다. 몸길이 약 87cm. 암수의 형태가 유사하다. 부리는 검은색, 다리는 주황색이며, 이마에서 뒷목은 밤색, 뺨과 앞목은 옅은 갈색이고 경계가 뚜렷하다. 가슴과 배는 갈색, 등과 날개 윗면은 암갈색,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다. 어린 새의 경우 부리 기부의 흰 띠가 없다. 호수, 논, 초습지, 소택지, 간척지, 갯벌에 서식하며, 수생식물의 잎이나 줄기 및 뿌리, 풀, 벼, 보리, 밀 등을 먹는다. 강이나 하천 등지의 땅 위의 움푹 파인 곳에 마른 풀줄기를 깔아 둥지를 만든다.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중국 흑룡강성, 몽골, 사할린 북부지역에서 번식하며, 한국, 중국 양쯔강,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임진강과 한강 하류지역이 월동 이동시기 최대 중간기착지이며, 금강 하구, 서천 갯벌, 영산강 유역,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등 제한된 도래지에서 소수가 월동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과거에는 전라남도 무안군 신정리 해안과 충청남도 천수만 일대에서 월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국내에는 임진강과 한강 하류지역이 월동 이동시기 최대 중간기착지로 알려져 있다. 날씨가 추워지면 금강 하구, 서천 갯벌, 영산강 유역, 낙동강 하구, 주남저수지 등 제한된 도래지로 이동하여 월동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으며, 대부분의 집단이 중국의 동남부로 이동하여 월동한다. [1]
러시아 극동, 중국 동북부, 중국 흑룡강성, 몽골, 사할린 북부지역에서 번식하며, 한국, 중국 양쯔강, 대만, 일본에서 월동한다. 전 세계 생존 개체수는 최대 100,000마리 이내로 판단되며,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에 위기종(EN)으로 분류된 국제보호조이다. [1]
-
드문 겨울철새/드문 나그네새.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갯벌, 강 하구 등에서 관찰된다. 식성은 수생식물의 잎이나 줄기 및 뿌리, 풀, 벼, 보리, 밀 등을 먹는다. 큰 부리를 이용해 갯벌에서 머리를 펄 속 깊이 집어넣고 새섬매자기 같은 식물의 뿌리를 먹는다. 강이나 하천 등지의 땅 위의 움푹 파인 곳에 마른 풀줄기를 깔아 둥우리를 만든다. 알은 크림빛이 도는 흰색으로, 4~6개 낳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7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유승화, 강태한, 김화정, 이기섭, 이상명, 이한수, 김인규 (2010) 새섬매자기 식생군락의 소실에 의한 한강하구 개리와 재두루미의 도래지역 변화 및 개체수 감소. 한국조류학회지 17 (1) : 55 – 66
경기도 파주시 교하읍 송촌리 곡릉천 일대 ( 20041000 ) -
김창회, 강종현, 이윤경, 김동원, 서재화, 김명진 (2010)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멸종위기조류의 국내 분포현황. 한국조류학회지 17 (1) : 67 – 137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 19990000 김창회, 이경규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 19990000 김창회, 이경규 ) -
김은미, 박찬열, 강창완 (2010) 최근 3년간 제주도에 도래한 법정보호조류의 출현 현황. 한국조류학회지 17 (3) : 259 – 27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 20081200 ) -
이석원(Seok Won Lee), 유정칠(Jeong Chil Yoo) (2007)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원에 도래하는 월동 수금류의 개체수 변동 및 분포현황에 관한 연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1 – 9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3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