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고니

Cygnus columbianus (Ord, 181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고니

Cygnus columbianus (Ord, 181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고니

Cygnus columbianus (Ord, 1815)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고니 Cygnus columbianus (Ord, 1815)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Anseriformes (기러기목) > Anatidae (오리과) > Cygnus (고니속) > columbianus (고니)
이명정보
[원기재명]
Anas columbianus Ord, 1815
[학명이명]
Cygnus bewickii Yarrell, 1830
Cygnus bewickii jankowskii Alpheraky, 1904

기러기목 오리과 조류로 드문 겨울철새이다[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몸길이 120cm. 암수의 형태가 유사하다. 어른 새는 온몸이 흰색이며 어린 새는 회갈색이다. 언뜻 보면 큰고니와 비슷하게 보이지만 큰고니보다는 크기가 작으며 부리의 노란 부분이 좁고, 둥그스름하다. 호수, 강 하구, 해안, 초습지, 농경지, 간척지 등지에서 관찰되며 겨울철새로 물속으로 머리를 넣어 물풀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등을 먹으며 가끔은 농경지나 초원에서 먹이를 구한다. 과거 전국적으로 적지 않은 수가 도래하였으나, 현재 크게 감소하여 매우 적은 수가 월동한다. 강원도 동해안 석호, 낙동강 하구, 태화강, 주남저수지, 금강 하구, 천수만, 삽교호 한강 등지에서 월동한다. 전 세계적으로 유라시아대륙 북부,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서부, 카스피해 주변, 한국, 중국 동부, 일본에서 월동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적은 수가 겨울철새로 동해안의 화진포에서 강릉에 이르는 사이의 크고 작은 석호와 습지에 분산해 월동하였고, 낙동강 하구, 태화강, 주남저수지, 금강 하구, 천수만, 삽교호, 한강 등에도 큰고니 무리에 섞여 월동하였다. 최근에는 월동 개체수가 매우 감소하였다. [1]

    유라시아대륙 북부, 알래스카, 캐나다 북부에서 번식하고, 유럽 서부, 카스피해 주변, 한국, 중국 동부, 일본에서 월동한다. [1]

  • 드문 겨울철새. 호수, 강 하구, 해안, 초습지, 농경지, 간척지 등지에 서식한다. 얕은 호수나 늪지대 등에서 물속으로 머리를 넣어 물풀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등을 먹으며 가끔은 농경지나 초원에서 먹이를 구한다. 화산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4~5월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