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Anas ferruginea Pallas, 1764
기러기목 오리과의 조류로 드문 겨울철새이다. 몸길이 64cm. 대형 오리류이다. 몸 전체가 선명한 주황색이며, 꼬리와 부리, 다리는 검은색이고 날 때는 날개의 흰색과 검은색의 대조가 선명하다. 수컷은 번식기에는 목에 뚜렷한 검은 띠가 있으나 겨울철에는 폭이 좁고 흐려진다. 암컷의 얼굴은 수컷보다 흰색기가 많이 보인다. 아침과 저녁으로 수확이 끝난 논, 밭 등 다소 건조한 곳에서 무리를 이루어 풀줄기, 낟알을 먹으며, 습지 주변의 개방된 수면에서 휴식을 취한다. 유라시아대륙 중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한강 하류, 김포평야, 서산 간월호, 금강 중류와 인근의 농경지 등 국지적으로 적은 수가 월동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한강 하류, 김포평야, 서산 간월호, 금강 중류와 인근의 농경지 등 주로 중북부 지역에서 적은 수가 월동한다. [1]
유라시아대륙 중부에서 번식하고,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에서 월동한다. [1]
-
알은 크림색이 도는 흰색으로 번식기는 4월~6월, 한 배 알은 8~12개를 낳아, 27~29일 동안 포란한다. 번식지에서는 평지에서 고산에 이르는 지역의 염분기가 있는 호소에서 주로 서식하며, 나무구멍이나 바위틈 사이에 둥지를 만든다. 국내에는 비교적 드문 겨울철새로 아침과 저녁으로 수확이 끝난 논, 밭 등 다소 건조한 곳에서 무리를 이루어 풀줄기, 낟알을 먹으며, 습지 주변의 개방된 수면이나 갯벌 해안가 등에서 휴식을 취한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한봉호 ( Bong Ho Han ) , 이경재 ( Kyong Jae Lee ) , 기경석 ( Kyong Seok Ki ) , 최병언 ( Byeong Eon Choi ) (2011) 서울시 보호야생동,식물 종 및 잠재 서식지 선정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4) : 601 – 613
서울특별시 ( ) -
유재평 ( Jae Pyoung Yu ) , 한성우 ( Sung Woo Han ) , 진선덕 ( Seon Deok Jin ) , 백인환 ( In Hwan Paik ) , 백운기 ( Woon Kee Paek ) (2014) 금강하구에 도래하는 수조류의 월동기 군집 변화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8 (2) : 113 – 122
충청북도 금강하구 일대 ( 20110900 ) 충청북도 금강하구 일대 ( 20110900 ) -
문영민, 최진환, 유정칠 (2010) 저수지의 환경요인이 월동수조류의 개체수와 종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류학회지 17 (4) : 289 – 302
충청남도 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신송저수지 ( 20081100 ) 충청남도 서산시 인지면 풍전리 풍전저수지 ( 20081100 ) -
Chanjin Woo, Jeonghwa Shin, Seolhee Kim, Su Kil Lee, Moonsuk Hur, Hyen Mi Chung, Jae-Hwa Suh (2014) Surveillance of avian influenza virus from wild bird feces by using DNA barcoding. 한국조류학회지 21 (1) : 17 – 25
경기도 파주시 공릉천 ( 20091000 ) -
이석원(Seok Won Lee), 유정칠(Jeong Chil Yoo) (2007)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원에 도래하는 월동 수금류의 개체수 변동 및 분포현황에 관한 연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1 – 9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131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218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228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305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316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168번지 강서습지생태공원 ( 2005033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