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황새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황새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황새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황새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Ciconiiformes (황새목) > Ciconiidae (황새과) > Ciconia (황새속) > boyciana (황새)
이명정보
[원기재명]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황새)

황새목 황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매우 드문 겨울철새이며, 최근 인공 증식된 개체들이 방사되어 충남 일부 지역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몸길이는 약 112cm. 암수의 형태는 유사하다. 날개의 검은색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흰색을 띤다. 부리는 매우 크며 검은색이다. 홍채는 옅은 노란색이고, 눈 주위가 붉은색이다. 다리는 붉은색이다. 논, 하천, 호수에 서식하는 겨울철새로 어류, 개구리, 들쥐 등을 잡아먹는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였지만, 현재는 야생 개체는 국내에서 번식하지 않으며 천수만, 해남, 제주도, 순천만, 낙동강 하구 등지에 적은 수가 겨울에 날아온다. 세계적으로는 시베리아, 연해주 남부,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최근 국내에서 인공증식 후 방사된 개체 중 일부는 연중 국내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195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텃새이자 겨울에는 일부 북쪽에서 번식한 무리가 도래해 월동하는 겨울철새였으나 1970년대 말 번식 개체가 완전히 사라진 이후에는 겨울철에 천수만, 해남, 제주도, 순천만, 낙동강 하구, 대구, 우포늪, 울산, 사천, 강릉 등지에 불규칙하게 도래한다. 최근 국내에서 인공증식 후 방사된 개체 중 일부는 연중 국내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1]

    전 세계적으로 시베리아, 아무르강, 연해주 남부, 중국 동북부 지방에서 번식하고, 홍콩,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1]

  • 저수지, 하구, 초습지, 농경지 등 넓은 들판이나 습지대 물가에 서식하며,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설치류 등 다양한 동물을 먹는다. 번식기는 3월 중순부터 5월 사이이며, 초원이나 낮은 산 등지의 큰 나무나 인공철탑, 전신주 등에 나뭇가지를 이용해 둥지를 짓는다. 번식기에는 부리를 부딪쳐서 ‘가락, 가락, 가락’ 하는 소리를 낸다. 한 번에 알 3~4개를 낳으며, 알 색깔은 흰색이고, 낮에는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