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황새 bookmark_add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종명
[원기재명]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황새)

황새목 황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매우 드문 겨울철새이며, 최근 인공 증식된 개체들이 방사되어 충남 일부 지역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몸길이는 약 112cm. 암수의 형태는 유사하다. 날개의 검은색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흰색을 띤다. 부리는 매우 크며 검은색이다. 홍채는 옅은 노란색이고, 눈 주위가 붉은색이다. 다리는 붉은색이다. 논, 하천, 호수에 서식하는 겨울철새로 어류, 개구리, 들쥐 등을 잡아먹는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였지만, 현재는 야생 개체는 국내에서 번식하지 않으며 천수만, 해남, 제주도, 순천만, 낙동강 하구 등지에 적은 수가 겨울에 날아온다. 세계적으로는 시베리아, 연해주 남부,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최근 국내에서 인공증식 후 방사된 개체 중 일부는 연중 국내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195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텃새이자 겨울에는 일부 북쪽에서 번식한 무리가 도래해 월동하는 겨울철새였으나 1970년대 말 번식 개체가 완전히 사라진 이후에는 겨울철에 천수만, 해남, 제주도, 순천만, 낙동강 하구, 대구, 우포늪, 울산, 사천, 강릉 등지에 불규칙하게 도래한다. 최근 국내에서 인공증식 후 방사된 개체 중 일부는 연중 국내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1]

    전 세계적으로 시베리아, 아무르강, 연해주 남부, 중국 동북부 지방에서 번식하고, 홍콩,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1]

  • 저수지, 하구, 초습지, 농경지 등 넓은 들판이나 습지대 물가에 서식하며,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설치류 등 다양한 동물을 먹는다. 번식기는 3월 중순부터 5월 사이이며, 초원이나 낮은 산 등지의 큰 나무나 인공철탑, 전신주 등에 나뭇가지를 이용해 둥지를 짓는다. 번식기에는 부리를 부딪쳐서 ‘가락, 가락, 가락’ 하는 소리를 낸다. 한 번에 알 3~4개를 낳으며, 알 색깔은 흰색이고, 낮에는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Hematologic and serum biochemical reference intervals of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and the application of an automatic hematologic analyzer. Jae-Ik Han,Hye-Jin Jang,Ki-Jeong Na Hematologic and serum biochemical reference intervals of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and the application of an automatic hematologic analyzer. 2016
    2 Migratory ability of gonadal germ cells (GGCs) isolated from Ciconia boyciana and Geronticus eremita embryos into the gonad of developing chicken embryos. Yuki Nakajima,Haruka Fukuda,Manabu Onuma,Koichi Murata,Miya Ueda,Emi Sunaga,Toshirou Shiraishi,Atsushi Tajima Migratory ability of gonadal germ cells (GGCs) isolated from Ciconia boyciana and Geronticus eremita embryos into the gonad of developing chicken embryos. 2016
    3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natural nests and its implication to artificial nest frame design for Ciconia boyciana]. Yi-qing Wei,Guo-fa Cui Ying yong sheng tai xue bao = The journal of applied ecology 2015
    4 Post-Mating Sexual Behaviors of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Captivity. Jongmin Yoon,Hae-Sook Ha,Jung-Shim Jung,Shi-Ryong Park Post-Mating Sexual Behaviors of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Captivity. 2015
    5 Sex ratio of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n different environments of Poland. Piotr Kami?ski,Ewa Grochowska,Sławomir Mroczkowski,Leszek Jerzak,Mariusz Kasprzak,Beata Koim-Puchowska,Alina Wo?niak,Olaf Ciebiera,Damian Markulak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international 2015
    6 Sex ratio of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n different environments of Poland. Piotr Kamiński,Ewa Grochowska,Sławomir Mroczkowski,Leszek Jerzak,Mariusz Kasprzak,Beata Koim-Puchowska,Alina Woźniak,Olaf Ciebiera,Damian Markulak Sex ratio of White Stork Ciconia ciconia in different environments of Poland. 2015
    7 Post-Mating Sexual Behaviors of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Captivity. Jongmin Yoon,Hae-Sook Ha,Jung-Shim Jung,Shi-Ryong Park Zoological science 2015
    8 [The correlations between population of Oriental white stork and climate change in the Poyang Lake National Nature Reserve]. Lu-Jun Miao,Yan-Kuo Li,Jia Li,Guang-Yong Xie,Fang-Kai Yuan Dong wu xue yan jiu = Zoological research 2014
    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satellite DNA markers for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Hui Wang,Xia Luo,Xia Lou,Qiongqiong Zhu,Yun Huang,Lizhi Zhou,Baowei Zhang Zoological science 2011
    10 Genetic structure of the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implications for a breeding colony in a non-breeding area. Shuting Zan,Lizhi Zhou,Hao Jiang,Baowei Zhang,Zhian Wu,Yinxu Hou Integrative zoology 2008

    특허 (총 2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1 Microsatellite marker locus primer of ciconia boyciana and genetic individual recognizing method ZHANG, Bao-wei 2010-06-13
    2 Intermediate compounds for thiophane nucleoside analogu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Intermediate compound first type tetrahydro thiophene nucleoside analogu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ONG, Li-qing | KIM, DONG-CHUL | SUN, Gui-fang | ZHOU, Wei-cheng 2009-05-05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곤충 따위에도 먹을 만한 것이 많다. 《예기》 내칙(內則)에는, “참새[爵] 종달새[鷃]ㆍ매미[蜩]ㆍ벌[范]을 모두 반찬으로 만든다.” 하였는데, ‘조(蜩)란 것은 매미[蟬], 범(范)이란 것은 벌[蜂]이다.’라 했고, 《회남자(淮南子)》 설산훈(說山訓)에 “매미를 잡는 자는 불을 발게 비추는 것을 힘쓰고, 물고기를 낚는 자는 미끼를 향기롭게 하는 것을 힘써야 한다.”고 하였으니, 이는 아마 반찬을 갖추기 위해 불을 밝히고 매미 잡는 방법이 있었던 모양이다. 또 달팽이로 만든 젓[蝸醢]과 개미알로 만든 젓[蚳醢]이 있는데, 와(蝸)란 것은 달팽이[蝸牛]고, 지(蚳)란 것은 개미알[蚍蜉子]이다. 그리고 《주례》에도, “연향[饋食]하는 그릇에 조개[蜃]ㆍ개미알[蚳]ㆍ메뚜기새끼[蝝]로 만든 반찬을 담아 놓았다.” 하였는데, 연(蝝)이란 것은 메뚜기새끼[蝗子]이고, 지(蚳)란 것은 개미집 속에 흰 좁쌀처럼 생긴 알이다. 이 개미 알은 잘아서 모으기가 매우 어렵다.그러나 《시경》에 이른바, “황새가 개미둑에서 운다[鸛鳴于垤].”고 한 그 주에, ‘황새는 개미가 나오면 잡아 먹으려고 기다리는 까닭에 개미둑에서 운다.’ 하였으니, 대개 북쪽 지방에는 보통 개미보다 월등하게 큰 것이 있어서 황새에게 잡아먹히는가보다. 그런 까닭에 주자도 이것을 인용, “모든 행동을 개미처럼 조심해야 한다[折旋蟻封].”라는 말을 증명하였다. 그런즉 개미알 또한 구해서 반찬을 만들어 먹을 수 있겠다.《이아(爾雅)》 석충(釋虫)조에, “메뚜기새끼[蝝蝮蜪]”라 하고, 그 주에, ‘이〈연(蝝)ㆍ복(蝮)ㆍ도(蜪) 따위는〉 메뚜기새끼[蝗子]로서 날개가 미처 생기지 않은 것이다.’ 하였다. 이 황(蝗)은 즉 메뚜기[螽]란 것인데, 메뚜기도 크고 작은 것들이 한 종류뿐이 아니다.뿔이 길고 다리가 길어 뛰기를 잘 하는 것도 있고, 빛이 푸르기도 검기도 아롱지기도 한 종류가 몇 가지 있는데, 바로 지금 풀 속에서 날아다니는 벌레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남주(南州) 사람들은 메뚜기를 잡아 날개와 발은 떼어 버리고 구워서 반찬으로 만드는데, 맛이 매우 좋다고 한다.그러나 《자서(字書)》에 또, “떼를 지어 날아다니면서 벼싹을 파먹는다.” 하였다. 우리나라 메뚜기는 비록 벼싹과 나물 잎을 파먹기는 해도 재앙이 되지는 않으니, 이는 이상한 일이다. 《자서》에 또, “풍뎅이[蜚蠊]와 메뚜기[負蠜] 따위가 있는데, 모두 먹을 만하다.” 하였다.
    2 문헌 기타 곡(鵠)이란 새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이른바 ‘곡을 새기다가 제대로 되지 않을지라도 오히려 목(鶩)이란 새와는 비슷할 수 있다’.라는 목은 즉 오리[鴨]이다.곡(鵠)과 목(鶩) 두 새는 비록 대소의 구별은 있을지라도 결국 서로 비슷하리라.내가 《자서(字書)》를 상고하건대, “들거위[野鵝]는 기러기보다 큰 것이, 집에서 기르는 창아(蒼鵝)와 같은데, 이름은 가아(駕鵝)라고도 하고 또 천아(天鵝)라고도 하니, 이는 곡이란 새의 별명이다.” 하였다. 지금 길거리에서도 가끔 만나는데, 모습은 거위와 비슷해도 크기는 현절하게 다른 것이 소위 곡이란 새이다.또 유표(劉表)가 환담(桓譚)에게 준 편지를 상고하니, “바라보면서 따오기처럼 서 있다[瞻望鵠立].” 하고, 그 주(註)에, ‘오래 서서 기다리는 모습이다.’라고 했다.그리고 또 《자서》에는, “황새[鸛]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생김새는 따오기와 비슷하다. 나무에 집 짓는 것은 백관(白鸛)이라 하고, 또 학(鶴)은 바다 따오기를 두려워한다.” 하였으니, 이는 학을 곡(鵠)이라고 한 것이다.우리나라에는 학과 천아 외에 딴 곡이란 새는 없는데, 《고려사(高麗史)》에 “곡을 바쳤다[獻鵠].”라는 사실이 적혀 있으니, 생각건대, 이는 학을 바친 것인 듯하다.
    3 문헌 기타 곡(鵠)이란 새에는 두 가지 뜻이 있다. 이른바 ‘곡을 새기다가 제대로 되지 않을지라도 오히려 목(鶩)이란 새와는 비슷할 수 있다’.라는 목은 즉 오리[鴨]이다.곡(鵠)과 목(鶩) 두 새는 비록 대소의 구별은 있을지라도 결국 서로 비슷하리라.내가 《자서(字書)》를 상고하건대, “들거위[野鵝]는 기러기보다 큰 것이, 집에서 기르는 창아(蒼鵝)와 같은데, 이름은 가아(駕鵝)라고도 하고 또 천아(天鵝)라고도 하니, 이는 곡이란 새의 별명이다.” 하였다. 지금 길거리에서도 가끔 만나는데, 모습은 거위와 비슷해도 크기는 현절하게 다른 것이 소위 곡이란 새이다.또 유표(劉表)가 환담(桓譚)에게 준 편지를 상고하니, “바라보면서 따오기처럼 서 있다[瞻望鵠立].” 하고, 그 주(註)에, ‘오래 서서 기다리는 모습이다.’라고 했다.그리고 또 《자서》에는, “황새[鸛]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생김새는 따오기와 비슷하다. 나무에 집 짓는 것은 백관(白鸛)이라 하고, 또 학(鶴)은 바다 따오기를 두려워한다.” 하였으니, 이는 학을 곡(鵠)이라고 한 것이다.우리나라에는 학과 천아 외에 딴 곡이란 새는 없는데, 《고려사(高麗史)》에 “곡을 바쳤다[獻鵠].”라는 사실이 적혀 있으니, 생각건대, 이는 학을 바친 것인 듯하다.
    4 문헌 기타 황새
    5 문헌 기타 황새
    6 문헌 기타 황새
    7 문헌 약용
    8 문헌 문화용, 기타
    9 문헌 문화용, 기타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우용태(Woo Yong Tae),이종남(Lee Jong Nam),허위행(Hur Wee Haeng) (1997) 낙동강 하구일대에서 기록된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6 (1) : 21 – 34

      낙동강 ( )
    • Tomek T (1997) Preliminary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birds in North Korea.. Fragmenta Faunistica (Warsaw) 40 : 319 – 332

      북한 ( )
    • Tomek T (1999) The birds of North Korea. Non-Passeriformes..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2 : 1 – 217

      북한 ( )
    • Sweet PR, Duckworth JW, Trombone TJ, Robin L (2007) The Hall collection of birds from Wonsan, central Korea, in spring 1903.. Forktail 23 : 129 – 134

      Wonsan ( 1903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