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황새)
황새목 황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매우 드문 겨울철새이며, 최근 인공 증식된 개체들이 방사되어 충남 일부 지역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몸길이는 약 112cm. 암수의 형태는 유사하다. 날개의 검은색을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흰색을 띤다. 부리는 매우 크며 검은색이다. 홍채는 옅은 노란색이고, 눈 주위가 붉은색이다. 다리는 붉은색이다. 논, 하천, 호수에 서식하는 겨울철새로 어류, 개구리, 들쥐 등을 잡아먹는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텃새이자 겨울철새였지만, 현재는 야생 개체는 국내에서 번식하지 않으며 천수만, 해남, 제주도, 순천만, 낙동강 하구 등지에 적은 수가 겨울에 날아온다. 세계적으로는 시베리아, 연해주 남부, 중국 동북부에 분포한다. 최근 국내에서 인공증식 후 방사된 개체 중 일부는 연중 국내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1950년대까지 전국적으로 번식하는 텃새이자 겨울에는 일부 북쪽에서 번식한 무리가 도래해 월동하는 겨울철새였으나 1970년대 말 번식 개체가 완전히 사라진 이후에는 겨울철에 천수만, 해남, 제주도, 순천만, 낙동강 하구, 대구, 우포늪, 울산, 사천, 강릉 등지에 불규칙하게 도래한다. 최근 국내에서 인공증식 후 방사된 개체 중 일부는 연중 국내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1]
전 세계적으로 시베리아, 아무르강, 연해주 남부, 중국 동북부 지방에서 번식하고, 홍콩, 일본 등지에서 월동한다. [1]
-
저수지, 하구, 초습지, 농경지 등 넓은 들판이나 습지대 물가에 서식하며, 어류, 양서류, 파충류, 곤충류, 설치류 등 다양한 동물을 먹는다. 번식기는 3월 중순부터 5월 사이이며, 초원이나 낮은 산 등지의 큰 나무나 인공철탑, 전신주 등에 나뭇가지를 이용해 둥지를 짓는다. 번식기에는 부리를 부딪쳐서 ‘가락, 가락, 가락’ 하는 소리를 낸다. 한 번에 알 3~4개를 낳으며, 알 색깔은 흰색이고, 낮에는 주로 암컷이 알을 품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8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생활용 정(鄭) 나라 자장(子臧)이 황새 털을 모아서 갓을 만들어 쓰고 이름을 휼관(鷸冠)이라 했는데 2 문헌 문화용, 기타 새를 보고 예측하기 황새가 머리를 들고 울면 날씨가 개고 머리를 숙여 울면 비가 온다. 3 구전 약용 보양식에는 깃털과 내장을 제거하고 고아서 먹음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황새 Cytb L14851/H16058 국립생물자원관 Ciconia boyciana Swinhoe, 1873 황새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우용태(Woo Yong Tae),이종남(Lee Jong Nam),허위행(Hur Wee Haeng) (1997) 낙동강 하구일대에서 기록된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6 (1) : 21 – 34
낙동강 ( ) -
Tomek T (1997) Preliminary report on the investigation of birds in North Korea.. Fragmenta Faunistica (Warsaw) 40 : 319 – 332
북한 ( ) -
Tomek T (1999) The birds of North Korea. Non-Passeriformes..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2 : 1 – 217
북한 ( ) -
Sweet PR, Duckworth JW, Trombone TJ, Robin L (2007) The Hall collection of birds from Wonsan, central Korea, in spring 1903.. Forktail 23 : 129 – 134
Wonsan ( 1903042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