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새호리기

Falco subbuteo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새호리기

Falco subbuteo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새호리기

Falco subbuteo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새호리기 Falco subbuteo Linnaeus, 1758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Falconiformes (매목) > Falconidae (매과) > Falco (매속) > subbuteo (새호리기)
이명정보
[원기재명]
Falco subbuteo Linnaeus, 1758 (새호리기)
[국명이명]
새홀리기

새호리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의 매과의 조류로 여름철새이다. 몸 윗면은 회갈색이며 아랫배와 아래꼬리덮깃은 붉은색이다. 하늘에서 날개를 오므려 급강하하며 작은 새와 같은 먹이를 사냥한다. 번식기에 인간에 의한 까치둥지 소실 등 인간의 간섭을 받고 있다. 현재 한국적색목록에 멸종위기범주로 평가되어 있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중국, 시베리아, 몽골, 일본 등지에서 번식한다. [1]

    국내에는 전국 각지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

  • 산림지대, 도시의 숲, 개활지, 농경지 등에 서식한다. 주로 산림에서 번식하지만 도시의 숲에서도 번식한다. 끝이 뾰족한 날개를 빠르게 펄럭이며 직선으로 날아가고, 날개를 심하게 움직이며 한곳에 정지할 때도 있다. 작은 새를 습격할 때는 하늘에서 날개를 오므려 급강하해 잡는다. 둥지는 직접 만들지 않고, 나무 위에 있는 다른 새의 둥지를 이용한다. 알 낳는 시기는 5월 하순~6월 하순이다. 알은 엷은 황갈색 바탕에 작고 붉은 얼룩무늬가 있으며, 2~3개 낳아 28일 동안 품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