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Falconiformes (매목) > Falconidae (매과) > Falco (매속) > peregrinus (매)
이명정보
[원기재명]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매)
[학명이명]
Falco japonensis Gmelin, 1788

매목 매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34-50cm이고 양쪽 날개를 편 길이는 80~120cm이다. 몸 윗면은 어두운 청회색이며 몸 아랫면은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암수가 거의 비슷한 색이다. 등, 날개, 꼬리는 푸른색을 띤 회색이고, 가슴과 배는 옅은 노란 갈색에 검은색 가로줄 무늬가 세밀하게 있다. 눈 밑의 검은 무늬는 크고 뚜렷하며, 눈테는 노란색이다. 특히 어린 새의 등은 갈색이며 배에는 굵고 어두운 갈색 세로줄 무늬가 있다. 무인도를 중심으로 한 도서 지역이나 가파른 해안가 절벽에서 번식하며, 꿩, 오리류 등 주로 조류를 주식으로 하지만 육상의 설치류를 잡아먹기도 한다. 나무 꼭대기나 암벽 지대 위 등 지형이 높은 곳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먹이를 찾는데, 먹이를 발견하면 공중에서 빠른 속도로 잡는다. 알은 보통 3-4개를 낳는다. 번식기에는 수컷이 잡은 먹이를 둥지 근처의 공중에서 암컷에게 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안 도서 지역 및 철새도래지를 중심으로 하여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중앙 열대림,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중앙 열대림,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2]

    국내에는 해안 도서 지역 및 철새도래지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관찰되는 지역은 많지만 개체 수 및 관찰 빈도는 낮은 편이다. 국내에 서식하는 개체 수가 많지 않은 편으로, 번식기에는 서남해안을 중심으로 한 철새 이동 경로상의 무인도에서 자주 관측되며, 겨울철에는 물새류 등 철새도래지 인근에 서식한다. [2]

  • 무인도를 중심으로 한 도서 지역이나 가파른 해안가 절벽에서 번식한다. 꿩, 오리류 등 주로 조류를 주식으로 하지만 지리적, 환경적 특성에 따라 육상의 설치류를 섭취하는 집단도 있다. 나무 꼭대기나 암벽 지대 위 등 지형이 높은 곳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먹이를 찾는데, 먹이를 발견하면 공중에서 빠른 속도로 잡는다. 개체에 따라 바위가 움푹 파인 곳을 특별한 재료 없이 그대로 이용해 산란하기도 하고, 식물의 줄기와 뿌리, 새의 털을 깔고 산란하기도 한다. 알은 보통 3~4개 낳으며, 포란 기간은 29~32일, 육추 기간은 35~42일이다. 특히 번식기에는 수컷이 잡은 먹이를 둥지 근처의 공중에서 암컷에게 전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농사용 매를 오래 먹이는 법[陳鷹法]봄에 사냥을 마친 다음 바로 횃대에 앉히고 먹이를 먹여 기른다. 닭 1마리면 3일을 먹일 수 있고 30마리면 오래 먹일 수 있다. 여러 짐승의 고기나 쥐와 개 등의 고기는 모두 먹여도 좋다. 다만 소고기를 먹이면 눈이 흐려지니 먹이는 것을 피한다. 뱀 고기는 깃털을 쉽게 갈게 한다. 그러나 그 독은 매의 발톱을 손상시킬 수 있다고 한다.
    2 문헌 기타 매의 병 치료법[治鷹病方]매가 대단한 기세로 힘을 다해 꿩 1마리를 사냥해 잡아도 사람들은 매가 배부르면 두 번째 사냥을 못할까 걱정하여 사냥이 끝나도 먹이를 주지 않는다. 그러면 매는 그 먹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해서 병이 난다. 그렇기 때문에 꿩을 잡으면 반드시 그 머리의 뇌수나 뜨거운 간을 꺼내 먹인다. 매가 병이 나면 검고 흰 것이 섞인 똥을 눈다. 또 매의 꼬리살 끝에 있는 쌍첨골(雙尖骨)을 살펴보아 두 뼈 사이가 좁으면 병이 없는것이고 넓으면 병이 있는 것이다.기가 쇠진하여 병이 생기면 인삼에 고기를 섞어 먹인다.
    3 문헌 기타 매[鷹]매의 근육이 단단하지도 약하지도 않을 때라야 비로소 사냥하러 나갈 수 있으니, 우선 하루 전에, 콩알 만한 목화씨 덩이를 물에 담근 닭고기에 싸서 매에게 먹이는데, 민간에서는 이렇게 먹인 매를 ‘가이음매[加伊音鷹]’라고 부른다. 이것을 먹고 반나절쯤이면 고기는 소화시키고 목화씨는 다시 토해낸다. 이는 장(腸) 안의 기름기를 깨끗이 닦아내는 방법이다. 매의 창자가 깨끗해졌고 근육 또한 잘 조절되었으면 비로소 꿩 사냥을 시키되, 처음 사냥을 시켜볼 때는 절대여러 차례 날려 보내지 말고 한 차례만 해보고 돌아와야 한다.
    4 문헌 기타 굶주린 매를 길들이는 법[調飢法]배를 주린 매는 사람에게 붙어있지만 배가 부르면 곧 날아가 버린다. 그러므로 굶주렸는지 배부른지는 반드시 가슴 위의 근육이 나왔는지 들어갔는지를 보고 알 수 있다. 근육이 단단하고 실한 것은 속에 지방이 많고 배부른 것이고, 근육이 허하고 부드러운 것은 굶주려서 지방이 적은 것이다. 만일 근육이 너무 부실하면 매의 기가 약해진 것이므로 사냥할 수 없다. 매의 가슴이 단단하고 실한지 살핀 뒤 닭고기를 베어내어 저며서 찬물에 담갔다가 매일 적당한 양을 먹이는 것이 좋다.
    5 문헌 기타 매 길들이는 법[馴鷹法]산에다 매 잡는 곳을 설치하여 매를 잡아서는 매의 상을 보아 좋은 것을 길들이며 기른다. 밤낮으로 사람의 어깨에 두고 밤이면 반드시 새벽까지 밝게 등을 켜서 잠시라도 잠을 자지 못하게 한다. 20여 일이 되면 머리를 돌리고 부리를 드러내지 않고 잠을 자는데 이는 매가 온순해진 것이다. 처음에는 작은 올가미로 묶고 긴 밧줄로 꿰어 멀리 놓고 고기로 유인한다. 이와 같이 여러 날 동안 반복하여 의심할 것이 없다는 것을 알고 난 후에 비로소 굶주림을 조절하여 사냥을 계획할 수 있는 것이다. 방금 길들여진 매는 반드시 잘 먹여 살찌워야 좋다. 바람이 많이 부는 날에는 날리다가 잃어버리므로 사냥을 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6 문헌 약용 호매증을 치료하는 방법 - 여우의 고에게 홀려 정신이 희미해져서 산과 들로 돌아다니는 것을 ‘호매’라고 한다. 여우의 간을 구워 가루로 만들고, 물에 타서 하루 3회 1전씩 먹인다. 또 여우의 창자로 고깃국을 끓여 먹인다. 또 여우의 코끝 검은 부분의 가죽을 벗겨 가루를 내어 술에 타서 먹이면 효험이 있다. 또 매의 고기를 먹인다. 부리와 발톱 태운 재를 물에 타서 먹이면 더욱 좋다.
    7 문헌 문화용 국서여왜 (國書與倭) <별폭(別幅: 예물 목록)> 안장 갖춘 준마[駿馬鞍具] 2필, 호피(虎皮: 호랑이가죽) 15장, 표피(豹皮: 표범가죽) 20장, 초피(貂皮) 20령(令), 청서피(靑黍皮) 30장, 어피(魚皮)밴4) 1백장, 색지(色紙) 30권, 인삼 50근, 대수자(大嬬子) 10필, 대단자(大緞子) 10필, 백면주 50필, 백저포 30필, 생저포(生苧布) 30필, 흑마포(黑麻布)열새30필, 채화석(彩花席) 20장, 색필(色筆) 50자루[柄]용편자루[龍鞭柄] 17자루, 대모자루[玳瑁柄] 17자루, 홍당죽자루[紅唐竹柄] 16자루 참먹[眞墨] 50홀(笏), 황밀(黃蜜) 1백 근(斤), 청밀(淸蜜) 10말[斗], 매[鷹] 20연(連). 연 월일 이하는 서로 같다.
    8 문헌 생활용 <용재총화 제10권> 정국형이 말하기를, “군이 봉사의 괴로움과 즐거움을 아는구나. 남아가 이르는 곳마다 잘 놀고 즐겁게 지내겠거늘 하필 외방(外方)이겠느냐. 내가 겨울에 검은 돈피 갖옷을 입고, 푸른 모직으로 짠 모자를 쓰고, 훌륭한 말을 타고 은빛 나는 좋은 매를 팔뚝에 얹고, 누런 개 수대(數隊)가 따라오고, 뒤에는 기생을 태우고 가서 산에 올라 꿩을 좇을 때 매가 꿩을 잡아 말 앞에 떨어뜨리면 사람들이 다투어 모인다. 골짜기 시냇가에 앉아서 마른 나무 가지를 태워 꿩을 굽고 계집이 은바가지로 술을 따라 마시기를 권할 때 아래로 종에 이르기까지 남은 것이 돌아가는지라, 날이 저물어 올 적에 날리는 눈[雪]이 얼굴을 치는데, 반은 취하여 고삐를 잡아당겨 돌아오니 이는 참으로 행락(行樂)의 즐거움이니라.” 하였다.
    9 문헌 기타 <용재총화 제9권> 사학(四學)에서는 사신을 보내어 조회하는데 닭으로 송골매[海東靑]를 삼아 바치며, 예조에서는 온 사신에게 연회를 베풀되, 술 한 잔을 주며 안주로는 볶은 콩을 쓰고, 재(齋)에서 수직(守直)하는 어린아이에게 명하여 솥 뚜껑을 치고 노래를 하면서 대접하니, 이를 동악(動樂)이라 한다.
    10 문헌 문화용 <용재총화 제5권> 효령대군(孝寧大君)이 불교에 혹하여 매양 절에 도량을 베풀고, 온종일 경건한 마음으로 정성껏 머리를 조아려 절하는데, 양녕(讓寧)대군이 뒤를 따라 첩 두어 명을 거느리고 매를 팔 위에 얹고 개를 끌고 와서, 잡은 꿩과 토끼를 섬돌 위에 쌓아놓고, 고기를 구워 술을 데워 마시고는 대취하여 당(堂)에 올라가서 함부로 행동하였다. 효령이 얼굴빛을 변하고 말하기를, “형님은 이제 이런 나쁜 업(業)을 하시면서 후생(後生)의 지옥이 두렵지 않습니까.” 하니, 양녕은, “착한 일을 행한 사람은 구족(九族)이 도리천(忉利天)에 태어난다 하거늘, 하물며 동기간(同氣間)에 있어서랴. 나는 살아서는 임금의 형으로서 마음껏 방랑하고, 죽어서는 보살(菩薩)의 형이 되어 반드시 천당(天堂)에 오를 것인데, 어찌 지옥에 떨어질 리가 있겠는가.” 하였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Falco peregrinus Tunstall, 1771 COI LCO/HCO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우용태(Woo Yong Tae),이종남(Lee Jong Nam),허위행(Hur Wee Haeng) (1997) 낙동강 하구일대에서 기록된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6 (1) : 21 – 34

      낙동강 ( )
    • 함규황(Hahm Kyu Hwang) (1997) 한국의 주남 동판저수지의 9년간 ( ' 88 ~ ' 96 ) 의 천연기념물 현황.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6 (1) : 63 – 71

      동판저수지 ( )
    • 백운기(Paek Woon Kee),유정칠(Yoo Jeong Chil),함규황(Hahm Kyu Hwang) (1996) 천연기념물 지역으로 지정된 홍도에서 번식 또는 통과하는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5 (1) : 69 – 73

      홍도 ( 19960000 ) 홍도 ( 19860000 )
    • 박진영(Park Jin Young),원병오(Won Pyong Oh) (1993) 단보 : 해조류 번식지의 번식실태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101 – 105

      칠발도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