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Falco migrans Boddaert, 1783
[학명이명]
Haliaetus lineatus J.E.Gray, 1831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58.5~68.5cm이다. 암컷이 조금 더 크다. 몸은 전체적으로 적갈색을 띠며, 밝은 갈색의 세로줄 무늬가 있다. 날 때 날개 아랫면의 중앙에 흰색 점이 있고 꼬리 중앙부가 제비꼬리처럼 안쪽으로 약간 패여 있으나, 꼬리를 펼칠 경우 꼬리 끝이 직선처럼 보이기도 한다. 겨울철새지만 가끔 텃새화하기도 한다. 산림지역, 도서지역, 해안가, 시가지 등의 숲속 나무 위에 나뭇가지로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든다. 알은 2~3개를 낳으며, 곤충을 비롯한 무척추동물, 죽은 동물, 소형 포유류, 어류 등을 주로 먹는다. 남해와 서해 도서 및 철원에서 발견되며 일본, 중국, 티베트, 히말라야에도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극지와 사막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분포하며, 일본, 중국, 티베트, 히말라야가 대표적이다. [2]
국내에는 남해안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개체 수가 보고되었고, 서해안 도서 지역 및 독도, 천수만, 철원평야 등지에서도 적은 개체 수가 관찰되었다. [2]
-
해안, 도서 지역, 호반에 인접한 산림의 교목 위 또는 절벽 등지에 둥지를 마련한다. 관목 가지를 이용해 접시 모양의 둥지를 틀며, 산란기에는 동물의 털, 실, 헝겊 등을 주워 깔기도 한다. 산란기는 3월 중순에서 5월 중순까지이고, 한배에 알을 2~3개 낳으며, 포란 후 30~34일이 지나면 부화한다. 쥐, 소형 조류, 양서파충류, 곤충, 버려진 고기, 생선 등을 먹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Incidence of Lyme Borreliosis in German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healthcare claims study. [Gordon Brestrich, Christine Hagemann, Joanna Diesing, Nils Kossack, James H Stark, Andreas Pilz, Frederick J Angulo, Holly Yu, Jochen Suess] Ticks and tick-borne diseases 2024 2 Discrepancy between IDSA and ESGBOR in Lyme disease: Individual participant meta-analysis in Türkiye. [Abdullah Burak Yıldız, Ecesu Çetin, Fatihan Pınarlık, Şiran Keske, Füsun Can, Önder Ergönül] Zoonoses and public health 2024 3 Why Is the Duration of Erythema Migrans at Diagnosis Longer in Patients with Lyme Neuroborreliosis Than in Those without Neurologic Involvement? [Katarina Ogrinc, Petra Bogovič, Vera Maraspin, Stanka Lotrič-Furlan, Tereza Rojko, Andrej Kastrin, Klemen Strle, Gary P Wormser, Franc Strle] Pathogens (Basel, Switzerland) 2024 4 Evaluation and 1-year follow-up of patients presenting at a Lyme borreliosis expertise centre: a prospective cohort study with validated questionnaires. [F R van de Schoor, M E Baarsma, S A Gauw, J Ursinus, H D Vrijmoeth, H J M Ter Hofstede, A D Tulen, M G Harms, A Wong, C C van den Wijngaard, L A B Joosten, J W Hovius, B J Kullberg]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 infectious diseases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2024 5 Accumulation of microplastics in predatory birds near a densely populated urban area. [Chloe Wayman, Miguel González-Pleiter, Francisca Fernández-Piñas, Elisa L Sorribes, Rocío Fernández-Valeriano, Irene López-Márquez, Fernando González-González, Roberto Rosal]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4 6 Microbiologic Findings in a Cohort of Patients with Erythema Migrans. [Eva Ružić-Sabljić, Vera Maraspin, Petra Bogovič, Tereza Rojko, Katarina Ogrinc, Martina Jaklič, Franc Strle] Microorganisms 2024 7 Diagnostic Precision in Lyme borreliosis: Assessing VlsE and C6 Antigens in a Pediatric Cohort. [Marta Wozinska, Kacper Toczylowski, Dawid Lewandowski, Ewa Bojkiewicz, Robert Milewski, Artur Sulik] Diagnostics (Basel, Switzerland) 2023 8 Cutaneous Larva Migrans as a frequent problem in travellers. [Anna Kuna, Romuald Olszański, Katarzyna Sikorska] International maritime health 2023 9 Diagnostic parameters of modified two-tier testing in European patients with early Lyme disease. [M E Baarsma, Jfp Schellekens, B C Meijer, A H Brandenburg, T Souilljee, A Hofhuis, J W Hovius, A P van Dam]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 infectious diseases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linical Microbiology 2020 10 Frequent detection of anticoagulant rodenticides in raptors sampled in Taiwan reflects government rodent control policy Hong, Shiao-Yu;Morrissey, Christy;Lin, Hui-Shan;Lin, Kuei-Shien;Lin, Wen-Loung;Yao, Cheng-Te;Lin, Te-En;Chan, Fang-Tse;Sun, Yuan-Hsun;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9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4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약용 구급_졸전광 소리개[鳶]를 잡아 깃채 두쪽의 기와 사이에 놓고 새끼줄로 묶어서 황토 진흙을 발라 불속에 묻어 소존성(燒存性)이 되도록 태워 가루로 만들어 술에 타거나 혹은 미음(米飮)에 타 먹이면 즉시 낫는다. 2 구전 기타 솔개(소래기)가 닭과 병아리들을 잡아먹음 3 구전 기타 피해를 끼치는 유해조수로서 집에서 키우는 닭과 병아리 등을 잡아갔다고 함 4 구전 약용 간질을 앓는 사람이 솔개 고기를 먹이면 효과를 봄이고 함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Park, Shi-Ryong ; Cheong, Seok-Wan ; Chung, Hoon (2004) Behavioral Function of the Anomalous Song in the Bush Warbler, Cettia diphon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sciences 8 (2) : 89 – 95
Hado, Jeju, Hakdong, in Gyungnam, Korea ( 20000300 ) -
(Won Pyong Oh) (1988) The Population of waterfowl and waders wintering or staging on the Naktong estuary ( 3 ).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2 (0) : 1 – 16
낙동강 ( ) -
원병오(Won Pyong Oh) (1986) 조류에 의한 가공송배전선의 접촉사고와 그의 대책.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 (0) : 69 – 79
서울 ( ) -
원병오(Won P . O .),우한정(Woo H . C .),김사욱(Kim S . W .),구태회(Koo T . H .),이두표(Lee D . P .),최동신(Choe D . S .) (1986) 한강의 월동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 (0) : 81 – 86
서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