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Falco gentilis Linnaeus, 1758
[학명이명]
Astur palumbarius albidus Menzbier, 1882
Astur palumbarius schvedowi Menzbier, 1882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50~56cm이다. 암수 형태가 유사하며, 흰색 굵은 눈썹선과 두꺼운 검은색 눈선, 노란색 홍채가 특징이다. 머리부터 등, 날개 윗면, 꼬리는 진한 청회색이고 가슴과 배에는 흰색에 흑갈색 가는 가로줄 무늬가 있다. 날개는 짧으며 폭이 넓고, 날 때 보이는 긴 꼬리가 특징이다. 산야, 평지, 하천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번식기에는 비교적 깊은 산림에 서식한다. 암수 함께 생활하거나 단독으로 생활하며 먹이는 주로 꿩, 비둘기, 오리 등과 같이 날아다니는 조류를 추적해 잡아먹으며 토끼, 청설모, 다람쥐 같은 작은 포유류도 먹는다. 큰 나무의 가지에 나뭇가지를 쌓아 접시 모양의 둥지를 지상으로부터 4~8m 높이에 만든다. 5월~6월경 옅은 푸른색의 알을 2~4개 낳는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에 흔하게 관찰되고 번식도 하며, 이동시기에는 서해 도서 지역에서 많이 관찰된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중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시베리아, 중국 동북 지방 등지에 분포한다. [2]
국내에는 겨울철 전역의 산야, 평지, 하천변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번식기에는 비교적 깊은 산림에 서식한다. 이동 시기에는 서해 도서 지역인 소청도, 어청도, 홍도, 흑산도 등에서 비교적 많은 개체가 관찰된다. [2]
-
암수 함께 생활하거나 단독으로 생활하며 산림, 야산 인근 농경지 및 하천변 등에서 관찰된다. 먹이는 주로 꿩, 비둘기, 오리 등과 같이 날아다니는 조류를 추적해 잡아먹으며 토끼, 청설모, 다람쥐 같은 작은 포유류도 먹는다. 큰 나무의 가지에 나뭇가지를 쌓아 접시 모양의 둥지를 지상으로부터 4~8m 높이에 만든다. 5월~6월경 옅은 푸른색의 알을 2~4개 낳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0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Accipiter gentilis (Linnaeus, 1758) 참매 Cytb L14851/H16058 국립생물자원관 Accipiter gentilis (Linnaeus, 1758) 참매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7) 진관내동 생태경관 보전지역의 조류현황(2003-2005).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21 – 28
진관내동 생태보전지역 ( ) -
원병오(Won Pyong Oh),박진영(Park Jin Young),김은영(Kim Eum Young),김화정(Kim Hwa Jung) (1993) 한강의 수조류 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83 – 94
밤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