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두루미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의 두루미과 조류로 드문 겨울철새이다. 몸길이는 약 140cm이며, 암수의 형태가 유사하다. 몸은 흰색이고, 정수리는 붉은색, 눈앞과 멱, 목, 그리고 길게 늘어진 셋째날개깃은 검은색이다. 부리는 노란색을 띤 녹색이며, 다리는 검은색이다. 어린 새는 몸은 흰색이며, 머리와 목은 연한 갈색이다. 월동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민간인통제지역 일대의 논, 율무밭, 옥수수밭 등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결빙된 저수지, 강의 모래톱 등을 잠자리로 이용한다. 암컷과 수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형성된 가족 단위로 행동한다. 2~3월에는 암수가 마주 본 상태에서 부리를 하늘로 향하고 반복해 우는 구애 행동을 볼 수 있다. 러시아 동남부 한카호, 중국 동북지방, 일본 홋카이도, 몽골 동부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국내에는 강원도 철원지역과 경기도 연천, 파주, 강화 등 주로 비무장지대와 민간인 통제지역 일대가 대표적인 월동지이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강원도 철원지역과 경기도 연천, 파주, 강화 등 주로 비무장지대와 민간인 통제지역 일대가 대표적인 월동지이다. [1]
러시아 동남부 한카호, 중국 동북지방, 일본 홋카이도, 몽골 동부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 중국 동남부에서 월동한다. [1]
-
드문 겨울철새이다. 월동지인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민간인 통제지역 일대의 논, 율무밭, 옥수수밭 등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결빙된 저수지, 강의 모래톱 등을 잠자리로 이용한다. 암컷과 수컷 그리고 그들의 새끼로 형성된 가족 단위로 행동한다. 2~3월에는 암수가 마주 본 상태에서 부리를 하늘로 향하고 반복해 우는 구애 행동을 볼 수 있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8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2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Comparison of the Intestinal Bacterial Communities between Captive and Semi-Free-Range Red-Crowned Cranes (<i>Grus japonensis</i>) before Reintroduction in Zhalong National Nature Reserve, China. [Yining Wu, Huan Wang, Zhongyan Gao, He Wang, Hongfei Zou] Animals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2023 2 Changes in the Diversity and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of Red-Crowned Cranes ( <i>Grus japonensis</i> ) after Avian Influenza Vaccine and Anthelmintic Treatment Zhao, Xinyi;Ye, Wentao;Xu, Wei;Xu, Nan;Zheng, Jiajun;Chen, Rong;Liu, Hongyi; Animals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2022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3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문화용 태조는 초명적(哨鳴鏑)이라는 큰 화살을 잘 이용했다. 이는 싸리나무로 화살대를 만들고 학의 날개로 넓고 길게 깃을 달았으며 사슴뿔로 화살촉을 만들었는데 크기가 배[梨]와 같다. 촉이 무겁고 대가 긴 것이 보통 화살과 같지 않다. 2 문헌 문화용 아태조(我太祖)는 늘 대우전(大羽箭)을 사용했는데, 싸리나무로 화살대를 만들고 학의 날개로 깃을 달았다 하니, 이는 반드시 뛰어난 신용(神勇)에서 나온 것이리라. 3 문헌 백학(白鶴) 두루미의 胃 속에 있는 모래와 돌을 갈아 먹으면 蠱毒이 치료된다.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Grus japonensis (P.L.S.Müller, 1776) 두루미 Cytb L14851/H16058 국립생물자원관 Grus japonensis (P.L.S.Müller, 1776) 두루미 COI BirdF1/R2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우용태(Woo Yong Tae),이종남(Lee Jong Nam),허위행(Hur Wee Haeng) (1997) 낙동강 하구일대에서 기록된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6 (1) : 21 – 34
낙동강 ( ) -
배성환(Pae Seong Hwan),(Frances T . Kaliher),이재범(Lee Jae Bum),원병오(Won Pyong Oh),유정칠(Yoo Jeong Chil) (1996) 한국에 도래하는 두루미류의 월동현황.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5 (1) : 13 – 20
철원&한강어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