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알락도요)
도요목 도요과에 속하는 조류로 국내에는 봄과 가을에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다. 몸길이 약 22cm. 뚜렷한 흰색의 눈썹선이 있으며, 다리는 노란색이다. 몸 윗면은 회갈색이며 큰 흰 반점과 검은 반점이 흩어져 있다. 삑삑도요와 유사하지만 서로 서식지가 다르며, 날 때 삑삑도요에 비해 날개 아랫면이 하얗게 보인다. 하천, 호수, 논밭, 바닷가 부근의 습지에 서식하고 곤충류, 갑각류를 주로 먹으며 연체동물인 조개류도 먹는다. 축축한 땅 위에 풀잎, 가느다란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 밥공기 모양의 둥지를 짓고 알자리에는 풀잎이나 줄기를 많이 깐다. 알은 4개를 낳고 주로 암컷이 품는다. 전국적으로 물 고인 농경지와 하천 간척지 등 얕은 물이 고인 습지에서 봄철에 많은 수가 관찰된다. 세계적으로는 구북구 툰드라에서 한대, 일부 온대까지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국내에는 봄과 가을에 흔하게 통과하는 나그네새이다. [1]
유라시아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인도, 동남아시아, 호주에서 월동한다. [1]
-
흔한 나그네새. 하천, 호수, 논밭, 바닷가 부근의 습지에 서식하고 곤충류, 갑각류를 주로 먹으며 연체동물인 조개류도 먹는다. 알은 연한 초록색 또는 연한 갈색 바탕에 초콜릿 빛깔의 큰 무늬가 흩어져 있다. 축축한 땅 위에 풀잎, 가느다란 나뭇가지 등을 이용하여 밥공기 모양의 둥지를 짓고 알자리에는 풀잎이나 줄기를 많이 깐다. 알은 4개를 낳고 주로 암컷이 품는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21), 철새정보 통합관리체계 구축 2020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7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2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AV0000101373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영종도 / 2009-07-13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211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09-08-12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332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4-07-24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461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1-04-30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462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1-04-30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466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4-05-09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474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1-08-13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599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1-04-30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629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1-08-16 가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2741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인천광역시 중... / 2010-08-19 가박제표본 1건 소재 (총3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54526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전라남도 신안... 대흑산도 / 2012-04-26 DNA 1건 NIBRGR0000154527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전라남도 신안... 대흑산도 / 2012-04-26 DNA 1건 NIBRGR0000154528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 알락도요 전라남도 신안... 대흑산도 / 2012-04-26 DNA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Tringa glareola Linnaeus, 1758 알락도요 COI LCO/HCO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원병오(Won Pyong Oh) (1990) 한국 서해안의 섭금류 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3 (0) : 28 – 50
강화도 ( ) 용총도 ( ) 아산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