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제비갈매기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Charadriiformes (도요목) > Laridae (갈매기과) > Sterna (제비갈매기속) > hirundo (제비갈매기)
이명정보
[원기재명]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제비갈매기)
[학명이명]
Sterna longipennis Nordmann, 1835

도요목 갈매기과의 새로 몸길이 35.5cm, 날개 편 길이 70~81cm이다. 암, 수가 같은 빛깔이다. 여름깃은 이마와 머리 위, 뒷머리, 옆머리 및 눈 앞의 위쪽 등은 모두 검은색이다. 눈 앞의 아래쪽과 귀덮깃, 뺨, 턱 밑, 목 및 목 옆은 흰색이다. 뒷목의 위쪽은 검은색이다. 아래쪽은 회백색이고 어깨깃과 등 및 허리는 연한 회색이며 가슴과 배겨드랑이, 꽁지밑덮깃은 흰색이다. 주로 호수, 하천 등지에 산다. 철새의 일종으로 겨울새에 속하며 우리나라에서는 해안과 하구에 흔한 나그네새이다. 이동할 때에는 30~100마리씩 떼 지어 이동한다. 둥지는 호수, 하천의 갈대와 왕골 등에 집단적으로 마른 풀줄기를 높게 쌓아 화산 모양으로 짓고 산란한다. 5월 상순~8월 상순, 2~3개 산란한다. 작은 물고기, 곤충류, 갑각류 등을 먹는다. 시베리아 동부, 캄차카, 사할린, 쿠릴 열도 등지에서 번식한다. 열대 아프리카 동부,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서 월동한다. 우리나라를 통과한다. [저작재산권자]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0건)

    등록된 사진이 없습니다.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제비갈매기 Cytb L14851/H16058 국립생물자원관
    Sterna hirundo Linnaeus, 1758 제비갈매기 COI PolyLCO_F/PolyHCO_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Soon-Bok Hong, In-Sup Lee (2011) Understanding the Visitation Aspect of Black-headed Gull (Larus ridibundus) in the Long Period at Nakdong Estuary, Busan,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4 (3) : 205 – 210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강 하구 ( 19890500 )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강 하구 ( 19890500 )
    • 김현우 ( Hyun Woo Kim ) , 김장근 ( Zang Geun Kim ) , 최석관 ( Seok Gwan Choi ) (2011) 목시조사(Sighting survey)에 의한 동해 봄철 해양성 조류의 분포 양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 (2) : 123 – 131

      한국 동해 ( 20070400 ) 한국 동해 ( 20070400 )
    • 김현우 ( Hyun Woo Kim ) , 김영혜 ( Yeong Hye Kim ) , 안용락 ( Yong Rock An ) , 박겸준 ( Kyum Joon Park ) , 안두해 ( Du Hae An ) (2014) 직선횡단조사에 의한 서해 연안 봄철 바닷새의 분포 양상. 한국수산과학회지 47 (6) : 973 – 977

      한국 서해 ( 20110502 )
    • 박치영 (2016) 조간대 복원이 조류의 군집구조와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도 시화호를 대상으로 = Study on the Influence of Bird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of Intertidal Zone -A Case Study of Sihwa Lake in Gyeonggi Province-. : –

      경기도 시화호 ( 20090000 )
    • Sweet PR, Duckworth JW, Trombone TJ, Robin L (2007) The Hall collection of birds from Wonsan, central Korea, in spring 1903.. Forktail 23 : 129 – 134

      Wonsan ( 19030427 )
    • 김영호, 강희만, 강창완, 김은미, 김화정, 지남준, 장용창, 오홍식 (2010) 봄철 마라도의 조류상. 한국조류학회지 17 (1) : 27 – 3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대정읍 마라도 ( 20080518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