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Alcedo coromanda Latham, 1790
[학명이명]
Alcedo coromanda major Temminck & Schlegel, 1848
파랑새목 물총새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약 27.5cm이다. 수컷의 머리, 등, 날개, 꼬리를 포함한 등 쪽은 모두 고르게 붉은 살구색으로 이마와 머리 옆 이외에는 붉은 자색 광택을 띠고 있으며, 꼬리는 특히 광택이 강하다. 꼬리는 얕게 둥글다. 턱 밑과 멱의 윗부분은 황갈백색이다. 여름깃과 겨울깃은 같다. 7월쯤에는 대체로 색이 엷어지고 등 쪽의 광택도 줄어든다. 암컷은 수컷과 아주 비슷하다. 부리와 홍채는 어두운 붉은색이다. 드물지 않은 여름새이다. 산간 계곡, 호숫가, 혼효림, 활엽수림 등 우거진 숲속에서 번식한다. 삼림 속의 나무구멍이나 벼랑의 동굴 또는 흙벽이나 썩은 나무 기둥에 스스로 구멍을 파고, 알을 낳으며 암수가 교대로 품는다. 양서류와 갑각류를 즐겨 먹는다.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필리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필리핀 [2]
-
비교적 드물지 않은 여름새이다. 산간 계곡, 호숫가, 혼효림, 활엽수림 등 우거진 숲속에서 번식한다. 삼림 속의 나무구멍이나 벼랑의 동굴 또는 흙벽이나 썩은 나무 기둥에 스스로 구멍을 파고, 알을 낳으며 암수가 교대로 품는다. 양서류와 갑각류를 즐겨 먹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김진용 ( Jin Yong Kim ) , 이은재 ( Eun Jae Lee ) , 최창용 ( Chang Yong Choi ) , 이우신 ( Woo Shin Lee ) , 임주훈 ( Joo Hoon Lim ) (2015) 논문 : 산불 후 복원방법의 차이가 번식기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 (4) : 508 – 515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검봉산 ( 20130400 ) -
백운기(Paek Woon Kee),유정칠(Yoo Jeong Chil),함규황(Hahm Kyu Hwang) (1996) 천연기념물 지역으로 지정된 홍도에서 번식 또는 통과하는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5 (1) : 69 – 73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 ( 19860000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홍도 ( 19960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