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주둥이에 흑갈색을 띠는 비엽이 있는데 전·중·후엽으로 되어 있다. 귀는 크고, 반투명하며 엷은 흑갈색이다. 영주는 매우 크며, 날개는 광단형이다. 뒷발의 발꿈치뼈는 가늘며 꼬리날개막 후연의 약 1/2을 차지하고, 후엽은 없다. 꼬리뼈의 말단은 꼬리날개막 밖으로 거의 돌출되지 않는다. 털은 부드러우며 광택은 없다. 등쪽 후반부는 기부에서 담회갈색이며, 선단부는 담회색 또는 암회갈색이나, 목과 어깨 부분 털의 선단부는 이보다 연하다. 등쪽에서는 털이 몸통 부분에 한정되어 있다. 배쪽은 더 연하며 담회갈색이다. 어린 개체는 성체보다 약간 검은빛을 띤다. 비막은 반투명하며, 흑회갈색이다. 배쪽 경비막에는 상완의 근위부에서 대퇴의 근위부 부근까지 털이 조밀하게 나 있다. 한국에서는 흔한 종류로서 주로 동굴 속에서 소수의 무리를 짓든지 한 개체씩 떨어져 있고 겨울에는 암수 따로따로 동면한다. 가을에 교배한 후 동면에 들어가며 다음 해 봄에 동면에서 각성 후 수정이 일어나 여름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유라시아대륙 전역 [2]
전국(제주도 포함) [2]
-
동굴에서 나온 직후 2시간과 일출 직전의 여명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먹이를 채식한다. 먹이 탐색 장소는 하천, 평지, 구릉, 삼림, 초원 등이다. 삼림지역에서는 하층부위를 중심으로 채식하며, 지표면이나 나뭇잎에 있는 대형곤충도 포식한다. 정주성으로 여름과 겨울철 잠자리간의 거리는 20~30km이나, 최고 180km를 이동한 사례가 알려져 있다. 교미는 가을부터 봄에 걸쳐 이루어진다. 번식은 6월 중순부터 7월에 걸쳐 이루어지며, 암컷은 특정 동굴에 출산집단을 이루고,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태어난 새끼는 4일 후에 눈을 뜨고, 3주가 지나면 비상할 수 있다. 7~8주가 지나면 어미로부터 독립하여 생활한다. 만 3세가 되면 번식이 가능하다. 수명은 최대 30살로 우리나라 박쥐류 가운데 가장 오래 산다. 초음파 주파수대는 77~83kHz.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4), 산림성박쥐류의종다양성및계통연구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11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173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MM0000100245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249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251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전라남도 순천... / 2006-09-11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650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651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 골격표본 1건 NIBRMM0000100998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인천광역시 강... / 2008-04-05 액침표본 1건 NIBRMM0000100999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인천광역시 옹... 장봉도 / 2008-04-06 액침표본 1건 NIBRMM0000101000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인천광역시 옹... 장봉도 / 2008-04-06 액침표본 1건 NIBRMM0000101001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인천광역시 옹... 장봉도 / 2008-04-06 액침표본 1건 NIBRMM0000101002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인천광역시 옹... 장봉도 / 2008-04-06 액침표본 1건 소재 (총76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97097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098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099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0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1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2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3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4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5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NIBRGR0000097106 Rhinolophus ferrumequinum (Schreber, 1774) / 관박쥐 경상북도 영덕... / 2010-03-11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G. K. Csorba, Z Kun, A (2006) Zoological collectings by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in Korea 145. A report on the collectings of the twenty-third, twenty-fourth and twenty-fifth expeditions. Folia entomologica hungarica 67 : – 5-9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부구리 ( 20030923 G. CSORBA, I. MATSKÁSI & F. MÉSZÁROS No. 1817-1831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우로굴 ( 20030927 G. CSORBA, I. MATSKÁSI & F. MÉSZÁROS No. 1838-1844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호계(황티기)굴 ( 20030928 G. CSORBA, I. MATSKÁSI & F. MÉSZÁROS No. 1852-186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