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오소리

Meles leucurus (Hodgson, 184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오소리

Meles leucurus (Hodgson, 184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오소리

Meles leucurus (Hodgson, 1847)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오소리 Meles leucurus (Hodgson, 1847)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Mammalia (포유동물강) > Carnivora (식육목) > Mustelidae (족제비과) > Meles (오소리속) > leucurus (오소리)
이명정보
[원기재명]
Meles meles Linnaeus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머리와 몸통을 합쳐 50-80cm, 꼬리는 길이 11-19cm, 체중은 10kg 정도이다. 몸은 갈색이며, 눈 주위는 검은 갈색, 눈 사이는 흰색이다. 굴을 파며 나온 흙을 입구에 쌓아 놓으며, 굴 가까운 일정한 장소에 배설한다. 밤에 활동하며, 토양 동물이나 소형 동물을 포식한다. 수명은 12-15년이다. 겨울잠을 자지만 겨울에도 따뜻한 날에는 굴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한국, 유라시아 북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유라시아 북부 [2]

    전국 [2]

  • 해가 잘 비치는 나무가 드문 산림이나 관목림, 구릉지의 계곡 주변에 굴을 파거나 바위굴을 이용해서 생활한다. 강한 발톱을 갖고 있는 앞발로 구멍을 파서 생활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굴의 길이는 8~10m 정도나 되며 보금자리의 입구에는 흙을 파서 나온 30~40cm 정도의 흙을 쌓아 놓아 쉽게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동굴 가까운 곳이나 행동권 경계 지역에 배설물이 쌓여 있다. 갑충류의 곤충을 많이 먹기 때문에 너구리의 배설물과 구별된다. 항문선에서 악취가 나는 황색 분비물을 내뿜어 적의 접근을 막고 행동권 안에 있는 돌이나 나무에 발라 이동하는 표적으로 삼는다. 가끔 낮에도 활동하나 야행성이며, 먹이는 토양 동물(지렁이, 땅강아지 등)이나 소형동물(개구리, 뱀, 쥐 등)을 주로 포식하며, 과실이나 여러 가지 종자, 고구마, 감자, 벌, 개미, 딱정벌레 등도 먹는다. 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으며, 먹이는 계절적으로 변하는데, 균일하게 분포하는 소형동물을 이용할 때에는 단독으로 생활하며, 과실이나 소형 동물 등이 많을 때에는 무리 생활을 한다. 11월 말 또는 12월 초부터 동면에 들어가나 겨울철에도 따뜻한 날에는 굴 밖으로 나오기도 한다. 번식은 일부일처의 번식 시스템을 유지하는데 최대 9마리까지 모계적인 혈연군을 이루어 같은 둥우리(굴)를 중심으로 확실한 세력권을 유지한다. 그러나 먹이활동은 단독으로 이루어지며, 세력권을 지킬 때에도 서로 협력하지 않는다. 교미는 우위인 암컷과 수컷 사이에 동면에 들어가기 전 늦가을에 이루어지며, 이듬해 5, 6월에 굴 안에서 2~8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수정란의 착상 지연이 일어나 수태하고 두 달 정도가 지나야 조금 자라게 된다. 새끼를 낳은 지 20일 이전에 새끼를 건드는 경우, 새끼를 잡아먹거나 깔고 앉아 죽여 버린다. 위급할 경우나 충격을 받으면 죽은 시늉을 하고 있다가 기회를 보아 도망가거나 역습을 하는 특징이 있다. 생후 2년 정도가 되어 성적으로 성숙하며, 수명은 12~15년 정도이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20), 변산과 노령이 전하는 생물이야기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