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멧밭쥐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멧밭쥐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멧밭쥐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멧밭쥐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Mammalia (포유동물강) > Rodentia (설치목) > Muridae (쥐과) > Micromys (멧밭쥐속) > minutus (멧밭쥐)

설치목 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몸길이는 50~65mm, 꼬리는 50~64mm이다. 털은 부드럽고, 등면은 회색을 띤 갈색, 허리는 노란빛을 띤 오렌지색, 배면은 흰색이다. 벼과나 사초과 식물이 무성한 초원에 서식한다. 벼과나 사초과 식물의 60~100cm 되는 높은 곳에 새 둥지 모양의 보금자리를 만들고 그 속에서 산다. 보금자리의 크기는 15cm×15cm 정도이며 드나드는 구멍의 지름은 2cm이다. 번식 시기는 7~8월이고, 1년 1회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성질이 매우 온순하여 새끼나 어미를 잡아다 사육하며 단시일 내에 친숙해질 뿐만 아니라 손바닥에 놓아도 비스킷이나 사과를 잘 먹는다. 전국에 서식하며 일본, 타이완, 중국, 시베리아, 인도차이나 북부,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타이완, 중국, 시베리아, 인도차이나 북부, 유럽 [2]

    전국 [2]

  • 화본과나 사초과 식물의 60~100cm 되는 높은 곳에 새둥지 모양의 보금자리를 만들고 그 속에서 산다. 보금자리의 크기는 15cm×15cm 정도이며 드나드는 구멍의 지름은 2cm이다. 번식 시기는 7~8월이고, 1년 1회 4~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성질이 매우 온순하여 새끼나 어미를 잡아다 사육하며 단시일 내에 친숙해질 뿐만 아니라 손바닥에 놓아도 비스킷이나 사과를 잘 먹는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관련된 전통지식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24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MM0000100441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 1994-03-22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442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 1994-03-22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444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 1992-05-30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0451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인천광역시 중... 영종도 / 1992-12-16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1162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양평군... 한강 / 2009-02-11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1188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포천시... / 2009-01-08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2159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양평군... 한강 / 2009-02-11 액침표본 1건
    NIBRMM0000102575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포천시... / 2009-02-12 액침표본 1건
    NIBRMM0000102671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양평군... / 2010-02-05 가박제표본 1건
    NIBRMM0000102795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평택시... / 2009-06-10 액침표본 1건

    소재 (총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8418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양평군... 한강 / 2009-02-11 조직 1건
    NIBRGR0000635927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기도 양평군... 한강 / 2009-02-11 DNA 1건
    NIBRGR0000664904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상북도 영천... 금호강 / 2022-03-12 조직 1건
    NIBRGR0000665035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상북도 영천... 금호강 / 2022-03-12 DNA 1건
    NIBRGR0000667324 Micromys minutus (Pallas, 1771) / 멧밭쥐 경상북도 영천... 금호강 / 2022-03-12 조직 1건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Lee, Jeong-Boon ; Kim, Yong-Ki ; Bae, Yang-Seop (2014) Historical Review and Notes on Small Mammals (Mammalia: Erinaceomorpha, Soricomorpha, Rodentia) in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ASED 30 (3) : 159 – 175

      Korea entire region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