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메기목 동자개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몸 전체 길이는 약 20cm이다. 몸통은 원통 모양이고 머리는 아래위로 납작하며 꼬리 쪽은 옆으로 납작하다. 주둥이 끝은 뾰족하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짧아 입은 주둥이 끝의 아래로 열린다. 입가에는 네 쌍의 비교적 짧은 입수염이 있으며 위턱에 있는 것이 가장 길어 가슴지느러미의 아래를 넘어간다. 비늘은 없고 옆줄은 완전하다. 가슴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의 가시는 크고 잘 발달하였으며 세울 수 있다. 가슴지느러미의 가시에는 안과 밖에 톱니가 있다. 기름지느러미가 잘 발달하나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되지 않는다. 꼬리지느러미의 뒤쪽 가장자리는 가운데가 깊이 갈라져 위아래 조각으로 나뉜다. 몸은 황갈색 바탕에 옆면에 암갈색의 큰 무늬가 있다. 모든 지느러미의 끝은 대체로 검은색을 띤다. 하천 중하류 지역에서 주로 발견되고 동물성 먹이를 먹고 산다.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중국, 타이완,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타이완, 시베리아 동부 [1]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 [1]
-
야행성으로 밤에 나와서 먹이를 찾는다. 수서곤충이나 물고기알, 새우류, 작은 동물을 먹는다. 산란기는 5~7월로 수컷이 가슴지느러미의 가시를 이용하여 진흙바닥을 파내어 산란실을 만들고 암컷에게 산란을 시킨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nrofloxacin pharmacokinetics in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A comparative analysis of oral, intramuscular, and bath administration. [Bofan Jia, Yang Zhao, Jianchao Deng, Shengjun Chen, Chunsheng Li, Bo Qi, Xiao Hu, Laihao Li] Journal of veterin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24 2 Tooth pattern, development, and replacement in the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Rui Huang, Li Tang, Ruiqi Li, Yongfeng Li, Liping Zhan, Xiaofeng Huang] Journal of morphology 2024 3 Toxic effects of microplastic (Polyethylene) on fish: Accumulation,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antioxidant responses in Korean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Lee, Ju-Hyeong;Kang, Ju-Chan;Kim, Jun-Hwan;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23 4 TBK1 upregulates the interferon response against virus by the TBK1-IRF3/7 axis in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Li-Ming Xiong, Lei Zhang, Zhe Long, Xiang Zhao, Yan-Rong Ying, Tiao-Yi Xiao, Shu-Ting Xiong] Fish & shellfish immunology 2023 5 The SLC38A9-mTOR axis is involved in autophagy in the juvenile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under ammonia stress. [Xue Li, Shidong Wang, Muzi Zhang, Ming Li] Environmental pollution (Barking, Essex : 1987) 2023 6 Integrated analysis of transcriptome, translatome and proteome reveals insights into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brain in response to hypoxia. [Cheng Zhao, Yubing Ding, Yufei Zhang, Mingxu Chu, Xianhui Ning, Jie Ji, Tao Wang, Guosong Zhang, Shaowu Yin, Kai Zhang] Aquatic toxicology (Amsterdam, Netherlands) 2023 7 Toxic effects of dietary copper and EGCG on bioaccumulation, antioxidant enzyme and immune response of Korean bullhead, <i>Pseudobagrus fulvidraco</i> Lee, Huisu;Kim, Jun-Hwan;Park, Hee-Ju;Kang, Ju-Chan; Fish & shellfish immunology 2021 8 Effects of Fat and Fatty Acids on the Formation of Autolysosomes in the Livers from Yellow Catfish Pelteobagrus Fulvidraco. [Li-Xiang Wu, Chuan-Chuan Wei, Shui-Bo Yang, Tao Zhao, Zhi Luo] Genes 2019 9 Lysine and methionine supplementation ameliorates high inclusion of soybean meal inducing intestinal oxidative injury and digestive and antioxidant capacity decrease of yellow catfish. [Jun Jiang, Shangxiao Xu, Lin Feng, Yang Liu, Weidan Jiang, Pei Wu, Yan Wang, Ye Zhao, Xiaoqiu Zhou] Fish physiology and biochemistry 2018 10 Anti-obesity effects of yellow catfish protein hydrolysate on mice fed a 45% kcal high-fat diet Kim, Mi-Ryung;Kim, Joo-Wan;Park, Jeong Been;Hong, Yong-Ki;Ku, Sae Kwang;Choi, Jae-Suk;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2017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6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탕 용도로 3~10월에 채취한 동자개 전체를 매운탕으로 먹는다는 것을 동네 지인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2 구전 식용 빠가사리는 빠각빠각 소리를 냄 가시가 있어서 긁고 쏘가리와 다름 빠가살이 보다 쏘가리가 더 맛이 있음 쏘가리는 1급수에만 삼 빠가사리는 물이 좀 흐려도 잡힘 3 구전 식용 빠가사리는 쏘가사리라고도 불렀음 주로 매운탕이나 회로 먹음 4 구전 식용 짜가살이는 메기처럼 생겼는데 뿔이 있음 찌르면 아픔 5 구전 식용 빠가사리는 2급수에 살고 쏘가리는 1급수에 사는데 매운탕으로는 둘 다 좋음 6 구전 식용 붕어, 메기, 빠가사리, 미꾸리, 새우, 모래무지, 쏘가리 등을 잡아먹음 쏘가리는 1급수에만 살아서 많지 않음 7 구전 식용 빠가는 매운탕으로 끓여 먹음 8 구전 식용 메기와 빠가사리는 매운탕으로 먹었는데 빠가사리가 메기보다 맛있음 9 구전 식용 쏘가사리는 빠가사리와 같은 건데 지져 먹음 10 구전 식용 빠가살이는 사람도 쏨 조림이나 지져 먹어도 좋음 -
표본 (총117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P0000001122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인천광역시 강... 볼음도 / 2007-08-11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1125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인천광역시 강... 볼음도 / 2007-08-11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1697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북도 청주... / 2006-08-08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1812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해남... / 2006-09-01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1813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해남... / 2006-09-01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1821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고흥... / 2006-10-23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2926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보성... 보성 / 2007-08-01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3003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남도 태안... 부남호 / 2007-06-03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5746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북도 임실... / 1993-04-30 액침표본 1건 NIBR-P0000006855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경상남도 김해... / 2004-05-23 액침표본 1건 소재 (총46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1838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남도 보령... 봉당천 / 2009-09-02 조직 1건 NIBRGR0000071879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남도 보령... 봉당천 / 2009-09-02 DNA 1건 NIBRGR0000129115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해남... / 2012-10-14 조직 1건 NIBRGR0000144169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영광... 서해독립하 / 2013-06-04 조직 1건 NIBRGR0000144419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영광... 서해독립하 / 2013-06-04 조직 1건 NIBRGR0000144420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영광... 서해독립하 / 2013-06-04 조직 1건 NIBRGR0000144421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전라남도 영광... 서해독립하 / 2013-06-04 조직 1건 NIBRGR0000144465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남도 서천... 금강 / 2013-06-28 조직 1건 NIBRGR0000144804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남도 서천... 금강 / 2013-06-28 조직 1건 NIBRGR0000144805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 동자개 충청남도 서천... 금강 / 2013-06-28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seudobagrus fulvidraco (Richardson, 1846) 동자개 COI LCO/HCO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박현경(HyunKyung Park), 최준길(JunKil Choi), 원경호(KyungHo Won), 이황구(Hwang GooLee) (2017) 원주천의 어류군집을 이용한 생태적 건강성 평가 연구.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35 (4) : 684 – 693
강원도 원주시 호저면 주산리 주산교 ( 20150500 ) -
홍양기(YangKi Hong), 김경환(KyeongHwan Kim), 송미영(MiYoung Song), 이완옥(WanOk Lee) (2015) 괴산호 어류상 및 군집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 (4) : 552 – 563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괴산호 ( 20100400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괴산호 ( 20110300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괴산호 ( 20120300 ) -
이한규(Hankyu Lee), 이광열(Kwangyeol Lee), 장창원(Changwon Jang), 이재용(Jaeyong Lee), 천재룡(Jaeryong Cheon), 최재석(Jaeseok Choi) (2019) 어류군집에 따른 마장천(춘천)의 특이성. 환경영향평가 28 (2) : 129 – 140
강원도 춘천시 신동 1416 ( 20160600 )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99-44 ( 20160600 ) -
나창수 ( Chang Soo Nah ) (1994) 탐진강의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6 (2) : 244 – 250
탐진강 중류 ( ) 금강천 하류 ( ) -
강언종 , 이철호 ( Eon Jong Kang , Cheol Ho Lee ) (1996) 동자개 Pseudobagurs fulvicraco ( Pisces , Bagridae ) 의 초기 생활사. 한국어류학회지 8 (1) : 83 – 89
한국 ( ) -
박인석 , 이충렬 ( In Seok Park , Chung Lyul Lee ) (1996) 동자개 , Pseudobagrus fulvidraco ( Teleostomi : Siluriformes ) 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8 (2) : 10 – 15
한국 군산 ( ) -
채병수 , 강영훈 , 양홍준 ( Byung Soo Chae , Young Hun Kang , Hong Jun Yang ) (1998) 낙동강수계 위천의 어류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 (1) : 77 – 86
경상북도 군위군 ( 19950800 ) 경상북도 의성군 ( 19950800 ) -
남명모 , 양홍준 , 채병수 , 강영훈 ( Myung Mo Nam , Hong Jun Yang , Byung Soo Chae , Yeong Hoon Kang ) (1998) 내린천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0 (1) : 61 – 66
강원도 인제군 ( ) -
한경남(Kyung Nam Han),남기봉(Ki Bong Nam),정충훈(Choong Hoon Jeong) (2001) 동자개의 형태발달과 성장특성. 한국어류학회지 13 (1) : 74 – 84
한국 경기도 ( 19970706 ) -
김용호(Yong Ho Kim),이충렬(Chung Lyul Lee),제갈승주(Sung Ju Jyegal) (2001) 동자개 ( Pseudobagrus fulvidraco ) 와 밀자개 ( Leiocassis nitidus ) 피부점액세포의 조직화학 ( Bagridae , Silurlformes ). 한국어류학회지 13 (2) : 93 – 99
한국 충청남도 (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 강언종 ( Eon Jong Kang ) , 김이청 ( Yi Cheong Kim ) (2002)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Pisces, Bagridae) 피부 구조와 세포화학적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14 (4) : 247 – 253
한국 낙동강 ( ) -
최재석 ( Jae Seok Choi ) (2005) 의암호의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7 (1) : 73 – 83
강원도 춘천시 소양동 ( ) -
김치홍 ( Chi Hong Kim ) , 이완옥 ( Wan Ok Lee ) , 이종관 ( Jong Kwan Lee ) , 홍관의 ( Kwan Eui Hong ) (2005) 청평호의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7 (2) : 123 – 130
청평호 ( 20030000 ) -
이충렬 ( Chung Lyul Lee ) (2005) 합천호의 어류상과 어류 군집구조. 한국어류학회지 17 (2) : 131 – 141
Sanhyeon-ri Bongsan-myeon Hapcheon-gun Gyeongsan-nam-do ( ) Songrim-ri Bongsan-myeo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 ) Gosam-ri Bongsan-myeo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 ) Youjeon-ri Daebyeong-myeon Hapcheon-gun Gyeogsangnam-do ( ) -
유동재 ( Dong Jae Yoo ) , 한경호 ( Kyeong Ho Han ) , 임후순 ( Hu Soon Yim ) , 서원일 ( Won Il Seo ) , 이성훈 ( Sung Hoon Lee ) (2009) 경상북도 경주시 저수지에서 채집된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21 (1) : 38 – 46
Gyeongju-si ( 20050817 ) -
김구환 ( Kgu Hwan Kim ) , 권덕문 ( Deok Mun Kwon ) (2009) 한국산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정세포변형과정과 성숙한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Siluriformes: Bagridae). 한국어류학회지 21 (2) : 81 – 86
한국 경상북도 ( ) -
김준섭 ( Jun Sop Kim ) , 안순모 ( Soon Mo An ) , 곽우석 ( Woo Seok Gwak ) (2014) 경남 고성지역의 소하천 어류상. 한국어류학회지 26 (4) : 322 – 330
고성천,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고성교 부근 ( 20110900 ) 배둔천,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 배둔 2교 부근 ( 201109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