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누룩뱀

Elaphe dione (Pallas, 177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누룩뱀

Elaphe dione (Pallas, 177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누룩뱀

Elaphe dione (Pallas, 1773)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누룩뱀 Elaphe dione (Pallas, 1773)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Reptilia (파충강) > Squamata (유린목) > Serpentes (뱀아목) > Colubridae (뱀과) > Elaphe (뱀속) > dione (누룩뱀)
이명정보
[국명이명]
밀뱀

유린목 뱀과에 속하는 파충류이다. 몸길이는 1m 정도이다. 머리는 비교적 크고 긴 편이며, 주둥이는 폭이 넓고 둔하다. 등면의 바탕색은 녹색을 띤 갈색이며, 비늘의 1~1.5개 정도의 폭으로 된 불규칙한 색의 가로띠가 여러 개 산재하고 있다. 머리의 등면에는 4개의 흑색 줄이 있다. 등 쪽은 황색이며, 각 배판에는 불규칙한 흑색 점무늬가 있고, 대체로 외측의 것이 크다. 몸통에는 붉은색의 마름모무늬가 있다. 배 부분에는 흰색 또는 어두운색의 배비늘이 있다. 항문 근처에는 21줄이 있다. 평지의 물가나 숲속에 서식한다. 주로 개구리를 포식한다. 전국적으로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중국, 시베리아 북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북부,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Zhao and Adler 1993). [2]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주요 발견지역은 설악산, 북한산, 덕유산, 오대산, 계룡산, 오대산, 태안해안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내장산, 지리산, 광덕산, 금오산, 도솔봉, 백운산, 성널오름, 성수산, 소백산 등으로 알려져 있다(송 2007). [2]

  • 4월 중순부터 나타나며, 저지대 경작지부터 산림지역까지 다양한 지역에서 관찰된다. 주요 먹이는 개구리류, 소형 설치류, 새알 등이다. 5~6월에 교미하며, 7~8월에 6~15개의 알을 낳는다. 알의 크기는 50mm×20mm이며, 흰색이고, 중량은 8~14g이다. 동면은 다른 종에 비해 늦는 편으로 11월에 시작한다(Ji et al. 1987).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89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New chromone derivatives bearing thiazolidine-2,4-dione moiety as potent PTP1B inhibitors: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evaluation. [Yingying Zheng, Li Lu, Mengyue Li, DeHua Xu, LaiShun Zhang, Zhuang Xiong, Yubo Zhou, Jia Li, Xuetao Xu, Kun Zhang, Lei Xu] Bioorganic chemistry 2024
    2 Dracotangusions A and B, two new sesquiterpenes from <i>Dracocephalum tanguticum</i> Maxim.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Ting-Ting Wang, Cheng-Peng Li, Yong-Sheng Wei, Zhao-Yue Dong, Fan-Cheng Meng, Min Chen, Xiao-Zhong Lan] Natural product research 2024
    3 Penigrines A-E: Five undescribed azepine-indole alkaloids from Penicillium griseofulvum. [Yu Liang, Huimin Zhao, Qiwei Wang, Xuanni Chen, Qin Li, Weiguang Sun, Chunmei Chen, Hucheng Zhu, Yonghui Zhang] Phytochemistry 2024
    4 Computer-Aided Strategy on 5-(Substituted benzylidene) Thiazolidine-2,4-Diones to Develop New and Potent PTP1B Inhibitors: QSAR Modeling, Molecular Docking, Molecular Dynamics, PASS Predictions, and DFT Investigations. [Nour-El Houda Derki, Aicha Kerassa, Salah Belaidi, Maroua Derki, Imane Yamari, Abdelouahid Samadi, Samir Chtita]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4
    5 Selective synthesis of A-ring <i>Е</i>-arylidene derivatives from β-sitosterol and their activity. [A V Petrova, E F Khusnutdinova, A N Lobov, L M Zakirova, N T T Ha, D A Babkov] Natural product research 2024
    6 Discovery of a new pyrido[2,3-<i>d</i>]pyridazine-2,8-dione derivative as a potential anti-inflammatory agent through COX-1/COX-2 dual inhibition. [Fernanda A Rosa, Davana S Gonçalves, Karlos E Pianoski, Michael J V da Silva, Franciele Q Ames, Rafael P Aguiar, Hélito Volpato, Danielle Lazarin-Bidóia, Celso V Nakamura, Ciomar A Bersani-Amado] RSC medicinal chemistry 2024
    7 Self-Assembly of Functionalized Twistarenes into Supramolecular Assemblies with Chiroptical Property and Photoconductive Behavior. [Zewei Qi, Sujuan Wang, Bingliang Ji, Honglin Shang, Tongtong Ye, Yanwei Shi, Jinchong Xiao] Organic letters 2024
    8 Oxocarbon Acids and their Derivatives in Biological and Medicinal Chemistry. [Amanda Ratto, John F Honek] Current medicinal chemistry 2024
    9 Carbonyl and imine conjugated frameworks for aqueous Organo-Aluminum batteries with high specific capacity and low dissolution. [Yong Lu, Changde Hu, Yunhai Hu, Wenming Zhang, Zhanyu Li]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24
    10 Rational design and synthesis of triazene-amonafide derivatives as novel potential antitumor agents causing oxidative damage towards DNA through intercalation mode. [Ping Sun, Na Xu, Xue Zhang, Yun-Fei Gao, Jia-Yin Zhang, Qi-Ming Zhang, Chen Liang, Ri-Lei Yu, Ya-Mu Xia, Wei-Wei Gao] Bioorganic chemistry 202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양기보충 용도로 3~10월에 채취한 밀뱀 전체를 살무사, 너글메기, 땅구렁이, 황구렁이, 먹구렁이, 독사 단지에 넣고 푹 삶아서 졸이다가 한 그릇 정도 담아서 짜서 먹음(재탕도 함)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2 구전 약용 몸보신 용도로 3~10월에 채취한 일뱀 전체를 푹 고아서 짜먹거나 삶아서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식용 구이 용도로 5~10월에 채취한 누룩뱀 전체를 가죽 벗긴 후 내장 제거하고 불에 구워 먹는다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약용 정력제 용도로 여름에 채취한 누룩뱀 전체를 탕으로 삶아서 국물을 마신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직접 경험한 적 없음
    5 구전 약용 7~9월에 밀뱀을 잡아 보양식으로 끓여 먹음
    6 구전 약용 돼지코 치료에 누룩뱀을 고아서 진액을 먹음
    7 구전 약용 뱀은 폐병과 정력에 좋았다고 함(구전)
    8 구전 약용 무좀에는 허물을 가루로 만들어 환부에 바름
  • 표본 (총10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RP0000100925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강원도 인제군... / 2010-08-14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26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전라남도 진도... / 1998-05-07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27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전라남도 곡성... / 1998-05-01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28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전라남도 순천... / 2005-10-01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29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대한민국 / 2010-09-01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67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 / 2011-09-24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82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강원도 영월군... / 2011-11-24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0994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충청남도 서산... / 2011-11-10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1004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전라남도 구례... 지리산 시 / 1998-08-04 액침표본 1건
    NIBRRP0000101006 Elaphe dione (Pallas, 1773)" / 누룩뱀 전라북도 전주... 천잠산 / 1991-05-21 액침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정규회(KyuHoi Chung), 계명찬(MyungChan Gye), 송재영(JaeYoung Song) (2000) 본문 : 진도 양서 파충류 생물다양성. 환경생물학회지(환경생물) 18 (1) : 113 – 120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 19980505 )
    • Woo H-C, Oh H-S, Cho S-H, Na B-K, Sohn W-M (2011) Discovery of Larval Gnathostoma nipponicum in Frogs and Snakes from Jeju-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 49 : 445 – 448

      제주특별자치도 ( 20090800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