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실고사리

Lygodium japonicum (Thunb.) Sw.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실고사리

Lygodium japonicum (Thunb.) Sw.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실고사리

Lygodium japonicum (Thunb.) Sw.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실고사리 Lygodium japonicum (Thunb.) Sw.

분류체계
Plantae > Pteridophyta (양치식물문) > Polypodiopsida (고사리강) > Schizaeales (실고사리목) > Lygodiaceae (실고사리과) > Lygodium (실고사리속) > japonicum (실고사리)
이명정보
[원기재명]
Ophioglossum japonicum Thunb.
Ophioglossum japonicum Thunb.
[학명이명]
Lygodium japonicum var. microstachyum C. Chr. & Tardieu

고도가 낮은 지역의 산기슭, 숲 가장자리의 개방되고 양지바른 곳에서 하록성 또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지생하는 덩굴성 남방계 양치식물이다.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기며, 서로 엇갈린 모양으로 뻗고, 다세포성 털이 있다. 잎자루는 가늘고 다소 딱딱하며, 다른 나무에 의지하여 높이 3m 정도까지 기어오른다. 잎자루 기부에는 갈색의 다세포성 털이 있다. 잎몸은 3회 또는 4회 깃꼴겹잎으로 뒷면에 털이 있다. 영양우편은 어긋나고, 삼각형이며, 2회 또는 3회 깃꼴겹잎이다. 소우편은 1회 깃꼴겹잎으로 소우편의 2차 주축지는 털이 있고, 날개가 있다. 최종 열편은 손바닥 모양으로 결각이 지며, 자루가 있다. 생식우편은 피침형으로 2회 또는 3회 깃꼴겹잎이며, 영양우편보다 작고, 때로는 크게 수축되어 녹색 엽육조직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포자낭은 2열로 배열하며, 가짜 포막으로 덮이고, 가짜 포막에 털이 있다. 포자기는 8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이다. 우리나라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등에 나며, 중국 중부 이남, 일본 중부 이남, 인도 등 아시아의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포자는 과거에 해금사(海金沙)라 하여 환약을 지을 때, 그 겉에 발랐다. 또한 포자를 임질 치료제 및 이뇨약으로 사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중국 중부 이남, 일본 중부 이남, 인도 등 아시아의 열대 지역 [2]

    아시아 열대, 호주 [3]

    제주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2]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 [3]

  • 국내 양치식물 중 유일한 덩굴식물로 다른 나무에 의지하여 높이 3m 내외의 높이까지 오를 수 있으며, 산자락의 개방된 곳에서 소규모의 군락을 이루거나 또는 산발적으로 자랄 수 있다. [2]

    상록성 여러해살이풀이다. 포자는 8월에서 다음해 1월 사이에 익는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2), 한반도생물자원포털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4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Extracts of Leaves of Six Locally Available Plants from Bagmati Province of Nepal as Potent Inhibitors of Alpha-amylase, Lipase, Tyrosinase, Elastase, and Cholinesterases Pandey, Bishnu P.;Pradhan, Suman P.;Adhikari, Kapil;Joshi, Prayon;Malla, Sudeshna; Current enzyme inhibition 2020
    2 Atavistic Stomatal Responses to Blue Light in Marsileaceae. [Anna S Westbrook, Scott A M McAdam] Plant physiology 2020
    3 Solvent Extraction and Antibacterial Analysis of Chinese Traditional Herbs San Angelo, Michael;Isovitsch, Ralph;Valenzuela, Hector; The FASEB journal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2018
    4 Anti-inflammatory effects on murine macrophages of ethanol extracts of Lygodium japonicum spores via inhibition of NF-κB and p38 Cho, Young-Chang;Kim, Ba Reum;Le, Hien Thi Thu;Cho, Sayeon; Molecular medicine reports 2017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2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생활용 내점납촉법(오래타는 심지 만들기) - 황람 · 송진 · 괴화 각 1근, 부석(浮石) 4냥을 한 곳에 녹여 등심(燈心)에 펴 발라서 심지를 만들면 하루를 켜도 겨우 1치쯤 닳는다. 풍전등은 건칠(乾漆), 해금사(海金沙) 찧은 것, 초석, 유황 각 1냥, 흑두가루 · 역 청여송지 · 황랍 각 1냥이 든다. 먼저 역청과 황랍을 녹여서 즙을 만든다음, 앞의 물건들을 넣고 묵은 베에 반죽하여 불 위에 펴서 길게 가락을 만들어 불을 붙이면 바람이 불어도 꺼지지 않는다. 일설에는 촉규화 짚[獨奏稱]을 사용하면 비바람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다고 한다. 만리촉(萬里®)은, 황화(黃花) · 지정(地丁)포공영(公英). 세간에서는 앉은뱅이[安農苦餘]라 부른다 · 조각화(후角7 ) · 송화0 7 ) · 괴화 각 2전을 꿀 1근과 함께 달여 두어 번 끓어오르면 걸러낸 뒤, 백급(白哀) 2전을 넣고 붉은 무리[赤最]가 생길 때까지 기다렸다가 불을 치우면 벌써 응결(凝結)된다.
    2 문헌 약용 행습보기양혈탕(行濕補氣養血湯) 기와 혈이 허약하여 배가 창만하고 부종(浮腫)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인삼(人參)ㆍ백출(白朮)ㆍ백복령(白茯苓)ㆍ당귀(當歸)ㆍ천궁(川芎)ㆍ소경(蘇梗)ㆍ백작약(白芍藥)ㆍ진피(陳皮)ㆍ대복피(大腹皮)ㆍ후박(厚朴)ㆍ목통(木通)ㆍ나복자(羅蔔子)ㆍ목향(木香)ㆍ감초(甘草)ㆍ해금사(海金沙). 위의 약들을 썰어서 가루내고 생강〔薑〕, 대추〔棗〕와 함께 넣고 달인 다음 따뜻하게 복용한다.
  • 표본 (총369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25310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전라남도 신안... / 1997-07-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311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전라남도 완도... / 2003-09-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312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전라남도 완도... / 2003-09-2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5313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 2003-10-0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2998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광주광역시 ... 월각산 / 2007-09-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2999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07-09-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3446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전라남도 해남... 점출산 / 2007-09-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3601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광주광역시 ... 월각산 / 2007-09-29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3602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2007-09-2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126258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전라남도 신안... 지도 / 2007-10-11 건조표본 2건

    소재 (총4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72812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 2005-09-23 조직 1건
    NIBRGR0000078401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 2008-09-19 조직 1건
    NIBRGR0000081086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10 조직 1건
    NIBRGR0000088855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 2010-08-30 조직 1건
    NIBRGR0000094559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 / 2005-08-21 조직 1건
    NIBRGR0000097731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 2009-07-04 조직 1건
    NIBRGR0000112497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Eleph / 2010-05-04 조직 1건
    NIBRGR0000117623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제주특별자치도... / 2011-10-18 조직 1건
    NIBRGR0000138637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전라남도 영암... 월출산 / 2012-06-17 조직 1건
    NIBRGR0000175675 Lygodium japonicum (Thunb.) Sw. / 실고사리 경상남도 통영... / 2014-08-06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실고사리 rbcL rbcL_aF/rbcL_1379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