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Inula japonica Thunb.
[학명이명]
Inula britannica var. chinense Regel
Inula britannica subsp. japonica Kitam.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사면이나 들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과 줄기 아래쪽 잎은 가운데 잎보다 작으며,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넓은 피침형, 길이 5~10cm, 폭 1~3cm, 끝이 뾰족하고, 밑이 좁아져서 줄기를 반쯤 감싼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양면은 누운 털이 난다. 잎자루는 없다. 꽃은 7~10월에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노란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3~4cm다. 꽃싸개잎은 여러 장, 길이 1~4cm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지름 1.5~2.0cm, 가장자리에 털이 나고, 조각이 5줄로 붙는다. 열매는 수과이며, 털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 이 종은 가는금불초에 비해 두상꽃차례의 지름이 0.5~2cm 정도 더 큰 점에서 구분할 수 있고, 가지를 더 많이 치고 잎이 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인 점에서 가지를 덜 치고 잎이 긴 피침형인 가지금불초와 구분된다. 그러나 이들 분류군들에 대한 보다 자세한 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관상용으로 심고 어린잎은 식용하며, 꽃은 약용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동북지방, 러시아 극동지방 [2]
전국 [2]
-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7~10월에 핀다. 햇볕이 잘 들고 물기가 충분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선정 연구 2단계 3차년도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9건)
-
- 원작자 : 김진석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유태철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
- 원작자 : 현진오
- 저작재산권자 : 국립생물자원관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0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4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말의 내장안(안구 속에 생기는 질병) 치료법[治馬內障眼方] 이 병은 독기가 간(肝)과 상충하여 말의 눈에 누런 둥근 테가 생겨 눈동자를 덮어 가린다. 사람이 끌고 다니려 하면 마구잡이로 걸으려 하며 벽에 부딪고 담에 세차게 박는다. 이 때는 사간산(瀉肝散)을 써야 한다.석결명(石決明)․초결명(草決明)․용담초(龍膽草)․선복화(旋覆花: 금불초)․청상자(靑箱子: 개맨드라미씨)․치자․울금․황련․감초를 가루로 만든다. 매번 가루 1냥 반에 물 1되를 섞어 먹이되, 풀을 배불리 먹이고 다음날 또 먹인다. 또 눈 속의 섬골(閃骨: 티눈)을 떼어내고 눈의 혈맥을 뚫는다. 맑은 아침에 정화수를 머리 위에서 뿌려주어야 한다. 풀을 배불리 먹이지 말고 말을 타고 달리되 생 사료는 적게 먹이도록 한다. 사황(師皇)은 ‘오풍(烏風)은 간(肝)에서 생겨 눈동자(瞳)에 나타난다. 사람은 안구가 녹색으로 덮여 가져진 경우에는 치료하지 못하지만, 눈동자에 누런 테가 둘러진 것은 황풍내장(黃風內障)이라고 하여 치료할 수 있다.’ 하였다. 2 문헌 기타 말의 파상풍 치료법[治馬破傷方] 말의 몸에 혹 종기가 터진 곳이 있으면 그 상처에 처마 밑이나 골목의 문바람[賊風]이 살 속으로 파고든다. 그러면 말의 온몸이 마비되고 눈은 놀라 날뛰며 사지는 뻣뻣해지고, 입에서는 침을 흘리고, 귀는 바짝 세우며 꼬리는 쭉 펴고, 이를 벌리려하나 벌리기 어려워서 물과 풀을 먹지 못한다. 이때에는 반드시 천금산(千金散)을 써야 한다.만형자(蔓荊子: 순비기나무열매)․선복화(旋覆花: 금불초)․백강잠(白殭蠶)․하수오․상표초(桑螵蛸)․천남성(天南星:두여머조자기)․천마(天麻: 수자해좆 뿌리)․먹구렁이[烏蛇]․사삼․방풍․아교(阿膠)․천궁(川芎)․강활(羌活)․선퇴(蟬退: 매미허물, 蟬殼)․세신(細辛)․건갈(乾葛: 말린 칡)을 가루로 만들거나 또는 갈(蝎: 전갈)․승마(升麻)․곽향(藿香)․독활(獨活: 멧두릅)을 가루로 만든다고 한다. 매번 가루 1냥에 따뜻한 물 1잔을 섞어 먹이되, 날이 흐리면 생강물[薑湯]을 섞어 먹인다. ○ 약을 먹이는 곳은 반드시 따뜻해야만 골맥(鶻脉)의 피가 통한다. 3 문헌 약용 뼈와 힘줄이 끊어진 것을 치료하는 방법[治骨筋斷] - 골절되었을 때, 자연동을 불에 달구어 7차례 식초에 담갔다가 곱게 갈아 수비(水飛)하여 당귀(當歸)와 몰약(沒藥) 가루 각각 반전(半錢)과 함께 따뜻한 술에 타서 먹인다. 뒤이어 손으로 문질러 이 약이 뼈가 손상된 곳에 직접 들어가게 한 다음에 싸매주면 신기한 효험이 있다. 그러나 처음 구운 것은 독이 있으니 만약 골절이나 쇄골(뼈가 부서짐)이 아니면 사용하지 않는다. 도끼로 인해 힘줄이 끊어졌을 때는 서둘러 선복화(금불초)의 뿌리를 짓찧어 낸 즙을 창(瘡) 속에 발라주고 찌꺼기는 상처에 붙여준다. 15일이면 바로 이어진다. 4 문헌 약용-초부하품-상 맛은 짜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약간 따뜻하다고도 하고 차다고도 한다) 독이 좀 있다. 기가 몰린 것, 옆구리가 그득한 것, 놀랜 것처럼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 등을 치료하고 수기를 빼며 오장에 있는 한열사를 없애고 비위를 보하며 기를 내린다. 가슴에 담이 있어 침이 아교나 옻같은 것, 명치 밑과 옆구리에 담수가 있는 것, 방광의 유음, 풍증, 습비, 궂은 살, 눈곱이 끼면서 잘 보이지 않는 것 등도 치료하고 대장과 혈맥을 잘 통하게 하며 살색이 고와지게 한다. 일명 대심, 금비초, 성심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주로 풍습을 치료하는 데 쓴다. 개울가나 산골에서 자라며 음력 5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서 20일 동안 말린다. 사약으로 쓰이며 맛은 달고 독이 없다. 옆구리에 몰린 기를 헤치고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과 수종을 낫게 하며 방광부위나 배가 부은 것을 치료한다. 또한 위기를 도와주고 구역을 멈추며 음식을 소화시킨다. (약성론) 독이 없다. 눈을 밝게 하고 두풍을 치료하며 혈맥을 잘 돌게 한다. 잎은 쇠붙이에 상하여 피가 나오는 것을 멈춘다. (일화자) 일부 지방에서만 나는데 음력 2월이 지나서 싹이 돋는다. 흔히 개울가에서 자란다. 크기는 홍화만하고 가시가 없으며 키는 1∼2자안이다. 잎은 유엽같고 줄기는 가늘며 음력 6월에 감국같은 노란 꽃이 피는데 크기가 작은 동전만하다. 상당지방의 농촌사람들은 이것을 금전화라고 한다. 음력 6∼8월에 꽃을 따서 햇볕에서 20일 동안 말린다. 지금 도시주변의 채소밭에 심은 금전화의 꽃과 잎이 앞에서 말한 것과 비슷하고 또 빨리 자라는 것으로 보아 이것이 금불초꽃인 것 같다. (도경) -
표본 (총366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21067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남도 합천... 미승산 / 2006-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069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전라남도 담양... / 2003-07-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07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남도 거창... / 2006-08-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1076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충주... 부산 / 2005-08-1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2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기도 양평군... 청계산 / 2004-08-1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3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전라남도 여수... / 2003-08-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4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북도 상주... 남산 / 2004-08-24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5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01-11-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6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전라북도 무주... / 2003-08-11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3167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경상북도 영주... 소백산 / 1999-06-12 건조표본 1건 소재 (총4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63863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세화해수욕 / 2005-08-28 DNA 1건 NIBRGR0000069444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단양... 매포읍 / 2009-09-03 조직 1건 NIBRGR0000084291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강원도 강릉시... 석병산 / 2009-09-25 조직 1건 NIBRGR000009158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단양... . / 2010-09-24 조직 1건 NIBRGR0000094800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07-10-18 조직 1건 NIBRGR0000102491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강원도 정선군... 동강 / 2010-08-16 조직 1건 NIBRGR0000103699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충청북도 단양... / 2010-09-24 조직 1건 NIBRGR0000106492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08 조직 1건 NIBRGR0000106621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10-09-30 조직 1건 NIBRGR0000106648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 금불초 제주특별자치도... / 2010-10-02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금불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금불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Thunb.) Franch. & Sav. 금불초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