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얼레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얼레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얼레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얼레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분류체계
Plantae >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Liliopsida (백합강) > Liliidae (백합아강) > Liliales (백합목) > Liliaceae (백합과) > Erythronium (얼레지속) > japonicum (얼레지)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숲속의 약간 축축하고 햇빛이 드는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20cm쯤으로 길며, 그 밑에 비늘줄기가 달린다. 비늘줄기는 긴 난형, 길이 5~6cm, 지름 1cm, 흰색이다. 잎은 꽃줄기 밑에 보통 2개가 달리며, 긴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 길이 6~12cm, 폭 2.5~5.0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앞면은 자주색 반점이 보통 있지만 없는 경우도 있다. 잎자루가 길다. 꽃은 4~5월에 높이 15cm쯤 되는 꽃줄기 끝에 1개씩 피며, 밑을 향하고, 붉은 보라색이다. 화피는 6장이며, 길이 5~6cm, 폭 0.5~1.0cm, 끝이 뒤로 말리고, 안쪽 밑부분에 자주색 무늬가 W자 모양으로 있다. 수술은 6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6~7월에 익는데 3개의 능선이 있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중국 동북 지방, 일본 등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의 백합과 식물들에 비해서 잎은 2장씩 마주 보는 것처럼 달리고, 화피가 크고 화려하며, 뒤로 젖혀지므로 구분된다. 잎을 나물로 먹으며, 비늘줄기에서 뽑아낸 전분은 식용 및 약용한다. 가재무릇이라고도 한다. [저작재산권자]

  • 일본, 중국 [3]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4]

  •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4-5월에 핀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3] 국립생물자원관(2017),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1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1
    저혈당 C27H56O 60721-89-3 396.739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Transcriptomic Insight into Underground Floral Differentiation in <i>Erythronium japonicum</i>. [Hongtao Wang, Lifan Zhang, Peng Shen, Xuelian Liu, Rengui Zhao, Junyi Zhu]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22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7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기타 목양_말기르기 또 먼저 난발(亂髮)을 태워 두 코에 훈김을 쐰 후에 같은 분량의 천오(川烏)ㆍ백지(白芷)ㆍ호초(胡椒)ㆍ저아(猪牙)ㆍ조협(皁莢)과 사향(麝香) 소량을 가루로 빻아서 대나무통 속에 1자(字) 2푼 반 씩 넣고 콧속에 불어넣으면 얼마 후에 재채기를 하는 동시에 맑은 콧물을 흘리면서 곧 효험이 있다. 여기에 참외 꼭지를 같은 분량으로 첨가하여 복용시키면 물에 상하고 먹이에 체한 일체의 증상에 그 효험이 신통하다. 효험이 없으면 다시 불어넣는다.
    2 구전 식용 나물 용도로 3, 4월에 채취한 얼러지 줄기(새순)를 물에 불려서 독을 뺀 후 된장국에 넣어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식용 국 용도로 5월에 채취한 얼러지 지상부를 국 끓여서 먹음(미역국 같음)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식용 묵나물 용도로 봄에 채취한 얼러지 잎을 삶아서 말려 사용한다 것을 선대(할머니, 할아버지)에서 구전되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식용 5월에 채취한 얼레지 뿌리를 떡재료로 쓴다는 것을 동네 어른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6 구전 식용 개화 직후 4월과 5월에 채취한 얼레지 잎, 꽃대를 삶아서 나물로 이용한다 것이 지인들을 통해 전수되어 왔으며 본인이 유년시절에 경험하였음
    7 구전 식용 봄에 채취한 얼러지 잎을 삶아서 우려서 묵나물로 만들어 먹는다는 것을 어머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 표본 (총466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531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 / 2007-05-10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19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강원도 홍천군... / 2004-05-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0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보성... 존재산 / 2003-04-0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1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고흥... 천등산 / 2003-04-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2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고흥... 주왕산 / 1999-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3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강원도 태백시... 백병산 / 2004-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4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강원도 설악산 / 2002-04-12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5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기도 포천시... 명성산 / 1999-04-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6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기도 포천시... 명성산 / 1999-04-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24327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기도 포천시... 명성산 / 1999-04-16 건조표본 1건

    소재 (총75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051871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상남도 산청... 지리산 / 2008-05-14 조직 1건
    NIBRGR0000051872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상남도 산청... 지리산 / 2008-05-14 DNA 1건
    NIBRGR0000067922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완도... 상황봉 / 2008-03-22 DNA 1건
    NIBRGR0000068339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완도... 상황봉 / 2008-03-22 조직 1건
    NIBRGR0000068491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상남도 거제... 북병산 / 2008-03-16 조직 1건
    NIBRGR0000071198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경기도 포천시... 광덕산 / 2009-04-30 조직 1건
    NIBRGR0000073394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강원도 화천군... 광덕산 / 2010-04-25 조직 1건
    NIBRGR0000074536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장성... 내장산 / 2009-04-17 조직 1건
    NIBRGR0000074544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전라남도 장성... 내장산 / 2009-04-17 조직 1건
    NIBRGR0000084497 Erythronium japonicum Decne. / 얼레지 강원도 태백시... / 2009-04-18 조직 1건
  • 염기서열 (4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Erythronium japonicum Decne. 얼레지 rbcL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