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우리벼메뚜기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우리벼메뚜기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우리벼메뚜기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우리벼메뚜기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Orthoptera (메뚜기목) > Caelifera (메뚜기아목) > Acrididea > Acridoidea (메뚜기상과) > Acrididae (메뚜기과) > Oxyinae (벼메뚜기아과) > Oxyini > Oxya (벼메뚜기속) > sinuosa (우리벼메뚜기)
이명정보
[원기재명]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우리벼메뚜기)
[학명이명]
Oxya agavisa Tsai, 1931 (검은줄벼메뚜기)
Oxya nakaii Furukawa, 1939 (만주벼메뚜기)
Oxya chinensis (벼메뚜기)
Oxya japonica japonica (벼메뚜기)
Oxya chinensis sinuosa Mishchenko, 1951 (벼메뚜기)
Oxya chinensis chinensis (Thunberg, 1815) (중국벼메뚜기)
Oxya japonica (Thunberg, 1815)
Oxya velox (Fabricius, 1787)
Oxya vicina Brunner von Wattenwyl, 1893
Oxya yezensis Lee, 1957
Oxya yezoensis Shiraki, 1910
[국명이명]
벼메뚜기

길이는 앞날개 끝까지 23~40mm이다. 보통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앞날개는 배 끝보다 약간 길다. 눈 뒤에서 앞가슴등판의 측엽에 이르는 어두운 띠무늬가 있다. 수컷의 앞다리와 가운뎃다리 넓적다리마디는 특히 굵으며 암컷보다 눈 사이가 좁다. 항상판은 짧은 삼각형이며 미모는 긴 원뿔형이다. 아생식판은 짧은 원뿔형이며 끝은 절단된 모양이다. 암컷의 눈 사이 거리는 수컷보다 넓다. 아생식판 후연에는 두 쌍의 뾰족한 가시가 있다. 날개 길이와 수컷의 미모, 암컷 아생식판 구조 등에 변이가 많다. 논밭, 습지 주변의 물가 풀밭에 매우 흔하다. 벼과 식물을 먹는다. 뒷다리 경절은 노처럼 부풀어 헤엄치기에 알맞다. 암컷은 건조한 곳에서는 땅속에 알을 낳으며, 물이 넘치는 곳에서는 풀줄기 사이에 알을 낳기도 한다. 성충은 8~10월 중에 나타난다. [저작재산권자]

  • 강원도(강릉, 고성, 삼척, 영월, 평창 오대산, 원주 치악산, 화천), 광주, 경기도(가평 명지산, 고양, 남양주 천마산, 파주 문산, 양주 장흥, 여주, 연천 백학저수지, 포천 광릉), 경상남도(거창, 남해, 진주, 하동), 경상북도(경산, 소백산), 부산, 서울(관악산·매봉산·도봉산·청계산·북한산), 인천(강화도, 용유도), 자강도(묘향산), 전라남도(완도), 전라북도(남원, 정읍), 제주도(남제주 안덕계곡, 한라산), 충청남도(공주, 서산), 충청북도(괴산, 보은, 속리산, 옥천, 온양, 청주), 평안남도(연풍호), 평양 [2]

    원아종 <I>chinensis chinensis</I>는 중국 대륙에 분포하며 아종 <I>chinensis sinuosa</I>는 한국 고유아종이다. [1]

    북한, 강원도, 경기도, 충청, 경상, 전라, 제주도 등 전국 각지 [1]

    한반도 전 지역 [3]

    한국 [4]

  • 논밭, 습지 주변의 물가 풀밭에 매우 흔하며 각종 벼과 식물을 먹는다. 뒷다리 경절은 노처럼 부풀어 물에 빠졌을 때 헤엄치기에 알맞다. 암컷은 땅속에 알을 낳으며 연 1회 발생한다. [2]

    성충은 8~10월 중에 나타난다. 물가 주변의 벼과 식물에 많이 산다. [3]

    벼과 식물을 먹는다. 뒷다리 경절은 노처럼 부풀어 헤엄치기에 알맞다. 암컷은 건조한 곳에서는 땅속에 알을 낳으며 물이 넘치는 곳에서는 풀줄기 사이에 알을 낳기도 한다. [4]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5), 한반도고유종

    [3] 국립생물자원관(2010),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자원선정연구

    [4]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고유종특성평가및총람발간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Fucoidan and Alginate from the Brown Algae <i>Colpomenia sinuosa</i> and Their Combination with Vitamin C Trigger Apoptosis in Colon Cancer. [Reem Al Monla, Zeina Dassouki, Nouha Sari-Chmayssem, Hiba Mawlawi, Hala Gali-Muhtasib]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2
    2 In vitro biological activities and in vivo hepatoprotective role of brown algae-isolated fucoidans. [Marwa E Atya, Amr El-Hawiet, Mohamed A Alyeldeen, Doaa A Ghareeb, Mohamed M Abdel-Daim, Mohamed M El-Sadek]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international 2021
    3 Gree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pplications of iron oxide nanoparticles for antialgal and wastewater bioremediation using three brown algae. [Mostafa M El-Sheekh, Hala Y El-Kassas, Nihal G Shams El-Din, Doria I Eissa, Basma A El-Sherbiny] International journal of phytoremediation 2021
    4 The Cytotoxic and Apoptotic Effects of the Brown Algae <i>Colpomenia sinuosa</i> are Mediated by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eem Al Monla, Zeina Dassouki, Achraf Kouzayha, Yahya Salma, Hala Gali-Muhtasib, Hiba Mawlawi] Molecules (Basel, Switzerland) 2020
    5 Cytotoxic activity of some marine brown algae against cancer cell lines. [Mahnaz Khanavi, Maryam Nabavi, Nargess Sadati, Mohammadreza Shams Ardekani, Jelve Sohrabipour, Seyed Mohammad B Nabavi, Padideh Ghaeli, Seyed Nasser Ostad] Biological research 2010
    6 Induction of apoptosis by three marine algae through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human leukemic cell lines. [Huey-Lan Huang, Shwu-Li Wu, Hui-Fen Liao, Chii-Ming Jiang, Ray-Ling Huang, Yu-Yawn Chen, Yuh-Cheng Yang, Yu-Jen Che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5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68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식용 가을(9~11월)에 논, 밭에서 잡은 메뚜기(우리벼메뚜기)를 볶거나 구워먹는다.
    2 구전 식용 구이 용도로 6월~8월에 채취한 메뚜기 전체를 불에 구워 먹는다는 것을 시할머님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식용 10월에 잡은 메뚜기 전체를 구워서 먹는다는 것이 예전부터 전래되어 왔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약용 보신에는 메뚜기를 튀겨서 먹음
    5 구전 약용 축농증에는 메뚜기를 잡아다 볶아 먹음 축농증에는 메뚜기를 말려 빻아 고운 가루를 만들어 빨대로 콧 속에 빨아 넣으면 축농증이 나음 요즘도 메뚜기 잡아다 약으로 만들어 씀
    6 구전 식용 메뚜기 전체를 볶아서 먹음
    7 구전 식용 날개,뒷다리 떼놓고 볶아 먹음
    8 구전 식용 볶아서 먹거나 구워먹음
    9 구전 식용 메뚜기를 잡아서 기름에 볶아 먹음
    10 구전 식용 다리와 날개를 떼고 찐 다음 말려서 소금을 넣고 볶아 먹음
  • 표본 (총25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IN0000231086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충청북도 충주... / 2006-10-28 액침표본 1건
    NIBRIN0000231202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강원도 원주시... 황악산 / 2006-05-28 액침표본 1건
    NIBRIN0000567634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서울특별시 은... 북한산 / 2001-10-02 건조표본 1건
    NIBRIN0000567635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서울특별시 은... 북한산 / 2001-10-02 건조표본 1건
    NIBRIN0000567648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충청북도 제천... / 2005-10-13 건조표본 1건
    NIBRIN0000760453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경상북도 울진... / 2016-09-07 건조표본 1건
    NIBRIN0000851121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전라북도 군산... 소야미도 / 2016-09-08 건조표본 1건
    NIBRIN0000851122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전라북도 군산... 소야미도 / 2016-09-08 건조표본 1건
    NIBRIN0000851123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전라북도 군산... 소야미도 / 2016-09-08 건조표본 1건
    NIBRIN0000851124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전라북도 군산... 소야미도 / 2016-09-08 건조표본 1건

    소재 (총1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87076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강원도 삼척시... / 2015-09-08 조직 1건
    NIBRGR0000187081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강원도 강릉시... / 2015-09-11 조직 1건
    NIBRGR0000395947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경상북도 울진... / 2016-09-07 조직 1건
    NIBRGR0000397834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강원도 삼척시... / 2015-09-08 DNA 1건
    NIBRGR0000397835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강원도 삼척시... / 2015-09-08 DNA 1건
    NIBRGR0000412686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전라북도 완주... 대둔산 / 2017-08-26 조직 1건
    NIBRGR0000417038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울산광역시 중... / 2017-06-22 조직 1건
    NIBRGR0000418025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울산광역시 울... / 2017-09-10 조직 1건
    NIBRGR0000420651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강원도 양구군... / 2017-09-07 조직 1건
    NIBRGR0000429544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 우리벼메뚜기 경기도 의왕시... / 2016-07-24 조직 1건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Oxya sinuosa Mishchenko, 1951 우리벼메뚜기 COI LCO1490 / HCO2198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