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대륙사슴 bookmark_add Cervus nippon hortulorum

우제목 사슴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90~190cm이다. 우리나라 사슴과 동물 중에서 대형이며, 암수 간에 크기 차이가 뚜렷해 수컷의 몸이 암컷보다 1.5배 정도 크다. 털의 색은 밤갈색에서부터 붉은 올리브색이고, 목 부분과 등 부위에 백색 반점이 많이 있다. 암수 모두 겨울에는 목에 갈기를 지닌다. 산림 지대에 살며 산림 지대에서 주로 서식하며 저지대부터 고산 지대까지 분포한다. 나뭇잎, 나무껍질, 이끼, 풀 등을 먹으며 무리 생활을 한다. 전국에 분포했으나 남한에서는 1940년대 이후 절멸한 것으로 간주된다. 현재는 전국 여러 지역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제주도 한라산 등지에는 인위적으로 도입되어 서식하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일본, 중국 북동부,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하며, 중국에서는 위기종(EN)으로 평가하고 있다. [2]

    국내에는 과거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의 야산에 널리 분포했으나, 일제강점기 해수구제로 인해 1940년대를 기점으로 절멸된 것으로 간주된다. [2]

  • 산림 지대에서 주로 서식하며 저지대부터 고산 지대까지 분포한다. 나뭇잎, 나무껍질, 이끼, 풀 등을 먹으며 무리 생활을 한다. 성체는 1~2월, 어린 개체는 3월경에 뿔이 빠지며, 여름털에서 겨울털로 바뀌기 시작하는 시기는 9~10월이다. 짝짓기는 9~11월이고, 임신 기간은 220일로 5~7월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4년 정도 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1건)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10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식료찬요 귀코 신기(腎氣)가 허손(虛損: 몸과 마음이 허약하고 피로한 증상으로 허로<虛勞>라고도 한다.)하여 이롱(耳聾: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증상)이 된 것을 치료하려면 사슴콩팥[鹿腎] 1쌍을 기름과 껍질[膜]을 제거하고 자른 다음 멥쌀[粳米] 3홉을 된장국물[豉汁]에 넣어 끓여 죽을 만들고 보통 하는 방법과 같이 양념[五味]을 넣고 공복에 먹는다. 국을 만들고 술을 넣어도 역시 좋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기 몸을 따뜻하게 보하고 기력(氣力)을 북돋아 주려면 사슴고기[鹿肉]를 임의대로 익혀서 먹는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허 따뜻하게 보하고 기운을 북돋우려면 사슴고기[鹿肉]를 임의대로 먹는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갈 소갈(痟渴)을 다스리려면 사슴머리[鹿頭]를 달여 아교[膠]를 만들어 먹으면 두루두루 좋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영류/나력·누창 유병(瘤病: 혹)을 치료하려면 노루와 사슴 2종류의 고기를 두꺼운 포(脯)로 썰어서 뜨겁게 구워서 찜질한다. 이와 같이 4번 굽고 4번 바꾸어 찜질한 다음 아프게 눌러서 고름이 다 나오게 하면 곧 낫는다. 낫지 않았을 때에는 다시 고기를 구워 쓰면 좋아진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산후질병 출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려면 사슴고기[鹿肉] 4량을 잘게 자르고 물 3잔을 넣어 삶은 다음 양념[五味]을 넣고 고깃국을 만들어 임의대로 먹는다. 약용 비공개
    농정서 작물과 토양에 특성에 알맞은 거름주기 주관에는 ‘초인(草人)은 토양 개량을 책임진 관리로서,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알맞은 거름을 골라 그 종자에 맞게 거름을 준다.정현(鄭玄: 중국 동한<東漢> 시대의 경학자)의 주석에는,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에 따라 토양을 개량하게 되면 토양이 한층 기름지게 된다. 각종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모양과 빛깔을 판단하여 서로 다른 거름을 선택하여 심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황백색 의 토양에는 거름을 써서 조[禾]를 심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거름으로 가꾸는 방법은 성강토(騂剛土)는 소뼈를 사용하고, 적제토(赤緹土)는 양뼈를 사용하고, 분양토(墳壤土)는 큰사슴[麋鹿]뼈를 사용하고, 갈택토(渴澤土)는 사슴[鹿]뼈를 사용하고, 함사토(鹹瀉土)는 오소리[貆]뼈를 사용하고, 발양토(勃壤土)는 여우뼈를 사용하고, 식노토(埴壚土)는 돼지뼈를 사용하고, 강함토(彊檻土)는 삼[蕡]를 사용하고, 경촌토(輕㸑土)는 개뼈를 사용한다. 이것은 모두 초인(草人)이담당하는 직무이다. 정현의 주석에는, ‘일반적으로 거름으로 가꾸는 것은 모두 삶아서 그 즙을 가져다 가 쓰는 것을 말한다. 적제(赤緹)는 엷은 홍색이다. 갈택(渴澤)은 물이 고여있던 곳이다. 사(瀉)는 소금밭[鹵]이다. 훤(貆)은 오소리[貒]이다. 발양(勃壤)은 가루처럼 흩어지는 토양이다. 식노(埴壚)는 거친 찰 흙이다. 강함(强檻)은 굳고 딱딱한 토양이다. 경촌(輕㸑)은 가볍고 푸석푸석한 토양이다. 옛 서적에는 성(騂)을 설(挈)로 쓰고, 분(墳)을 분(蚡)으로 쓰고 있다. 두자춘(杜子春)은 설(挈)을 성(騂)으로 읽었는데, 흙 빛깔이 붉으면서 굳고 딱딱한 것이다. 정사농(鄭司農)은 ‘소뼈를 쓴다는 것은 소뼈의 즙으로써 종자를 적시는 것인데 이것을 분종(糞種: 거름으로 가꾸기)이라고 한다. 분양토(墳壤土)에는 두더지[蚠] 와 쥐[鼠]가 많다. 양(壤)은 흰색이다. 분(蕡)은 삼[麻]이다.’고 하였다. 정현은 분양토(墳壤土)를 촉촉하 게 젖은 흙이라고 풀이하였다.‘고 하였다 농사용, 기타 비공개
    농정서 작물과 토양에 특성에 알맞은 거름주기 주관에는 ‘초인(草人)은 토양 개량을 책임진 관리로서,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알맞은 거름을 골라 그 종자에 맞게 거름을 준다.정현(鄭玄: 중국 동한<東漢> 시대의 경학자)의 주석에는,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에 따라 토양을 개량하게 되면 토양이 한층 기름지게 된다. 각종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모양과 빛깔을 판단하여 서로 다른 거름을 선택하여 심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황백색 의 토양에는 거름을 써서 조[禾]를 심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거름으로 가꾸는 방법은 성강토(騂剛土)는 소뼈를 사용하고, 적제토(赤緹土)는 양뼈를 사용하고, 분양토(墳壤土)는 큰사슴[麋鹿]뼈를 사용하고, 갈택토(渴澤土)는 사슴[鹿]뼈를 사용하고, 함사토(鹹瀉土)는 오소리[貆]뼈를 사용하고, 발양토(勃壤土)는 여우뼈를 사용하고, 식노토(埴壚土)는 돼지뼈를 사용하고, 강함토(彊檻土)는 삼[蕡]를 사용하고, 경촌토(輕㸑土)는 개뼈를 사용한다. 이것은 모두 초인(草人)이담당하는 직무이다. 정현의 주석에는, ‘일반적으로 거름으로 가꾸는 것은 모두 삶아서 그 즙을 가져다 가 쓰는 것을 말한다. 적제(赤緹)는 엷은 홍색이다. 갈택(渴澤)은 물이 고여있던 곳이다. 사(瀉)는 소금밭[鹵]이다. 훤(貆)은 오소리[貒]이다. 발양(勃壤)은 가루처럼 흩어지는 토양이다. 식노(埴壚)는 거친 찰 흙이다. 강함(强檻)은 굳고 딱딱한 토양이다. 경촌(輕㸑)은 가볍고 푸석푸석한 토양이다. 옛 서적에는 성(騂)을 설(挈)로 쓰고, 분(墳)을 분(蚡)으로 쓰고 있다. 두자춘(杜子春)은 설(挈)을 성(騂)으로 읽었는데, 흙 빛깔이 붉으면서 굳고 딱딱한 것이다. 정사농(鄭司農)은 ‘소뼈를 쓴다는 것은 소뼈의 즙으로써 종자를 적시는 것인데 이것을 분종(糞種: 거름으로 가꾸기)이라고 한다. 분양토(墳壤土)에는 두더지[蚠] 와 쥐[鼠]가 많다. 양(壤)은 흰색이다. 분(蕡)은 삼[麻]이다.’고 하였다. 정현은 분양토(墳壤土)를 촉촉하 게 젖은 흙이라고 풀이하였다.‘고 하였다 농사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목양_목양서 소로 밭갈이를 하고, 말은 물건을 실어나르며, 양ㆍ돼지ㆍ닭ㆍ물고기 등은 제수(祭需)로 쓰고 노인을 봉양하며, 학ㆍ사슴ㆍ계(鸂 물새의 일종)ㆍ원(䲮 새의 일종) 등은 친구삼아 무료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문화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선_어육 사슴꼬리 절임[醃鹿尾]은, 칼로 꼬리뿌리 위의 털을 깎아버리고 뼈를 발라내어 소금 1전(錢)에 유전(鍮錢 놋쇠로 만든 돈) 5푼을 꼬리 속에 채워 넣고, 막대기에 끼워 바람에 말린다. 식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10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식료찬요 귀코 신기(腎氣)가 허손(虛損: 몸과 마음이 허약하고 피로한 증상으로 허로<虛勞>라고도 한다.)하여 이롱(耳聾: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증상)이 된 것을 치료하려면 사슴콩팥[鹿腎] 1쌍을 기름과 껍질[膜]을 제거하고 자른 다음 멥쌀[粳米] 3홉을 된장국물[豉汁]에 넣어 끓여 죽을 만들고 보통 하는 방법과 같이 양념[五味]을 넣고 공복에 먹는다. 국을 만들고 술을 넣어도 역시 좋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기 몸을 따뜻하게 보하고 기력(氣力)을 북돋아 주려면 사슴고기[鹿肉]를 임의대로 익혀서 먹는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허 따뜻하게 보하고 기운을 북돋우려면 사슴고기[鹿肉]를 임의대로 먹는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제갈 소갈(痟渴)을 다스리려면 사슴머리[鹿頭]를 달여 아교[膠]를 만들어 먹으면 두루두루 좋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영류/나력·누창 유병(瘤病: 혹)을 치료하려면 노루와 사슴 2종류의 고기를 두꺼운 포(脯)로 썰어서 뜨겁게 구워서 찜질한다. 이와 같이 4번 굽고 4번 바꾸어 찜질한 다음 아프게 눌러서 고름이 다 나오게 하면 곧 낫는다. 낫지 않았을 때에는 다시 고기를 구워 쓰면 좋아진다. 약용 비공개
    식료찬요 산후질병 출산 후에 젖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려면 사슴고기[鹿肉] 4량을 잘게 자르고 물 3잔을 넣어 삶은 다음 양념[五味]을 넣고 고깃국을 만들어 임의대로 먹는다. 약용 비공개
    농정서 작물과 토양에 특성에 알맞은 거름주기 주관에는 ‘초인(草人)은 토양 개량을 책임진 관리로서,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알맞은 거름을 골라 그 종자에 맞게 거름을 준다.정현(鄭玄: 중국 동한<東漢> 시대의 경학자)의 주석에는,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에 따라 토양을 개량하게 되면 토양이 한층 기름지게 된다. 각종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모양과 빛깔을 판단하여 서로 다른 거름을 선택하여 심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황백색 의 토양에는 거름을 써서 조[禾]를 심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거름으로 가꾸는 방법은 성강토(騂剛土)는 소뼈를 사용하고, 적제토(赤緹土)는 양뼈를 사용하고, 분양토(墳壤土)는 큰사슴[麋鹿]뼈를 사용하고, 갈택토(渴澤土)는 사슴[鹿]뼈를 사용하고, 함사토(鹹瀉土)는 오소리[貆]뼈를 사용하고, 발양토(勃壤土)는 여우뼈를 사용하고, 식노토(埴壚土)는 돼지뼈를 사용하고, 강함토(彊檻土)는 삼[蕡]를 사용하고, 경촌토(輕㸑土)는 개뼈를 사용한다. 이것은 모두 초인(草人)이담당하는 직무이다. 정현의 주석에는, ‘일반적으로 거름으로 가꾸는 것은 모두 삶아서 그 즙을 가져다 가 쓰는 것을 말한다. 적제(赤緹)는 엷은 홍색이다. 갈택(渴澤)은 물이 고여있던 곳이다. 사(瀉)는 소금밭[鹵]이다. 훤(貆)은 오소리[貒]이다. 발양(勃壤)은 가루처럼 흩어지는 토양이다. 식노(埴壚)는 거친 찰 흙이다. 강함(强檻)은 굳고 딱딱한 토양이다. 경촌(輕㸑)은 가볍고 푸석푸석한 토양이다. 옛 서적에는 성(騂)을 설(挈)로 쓰고, 분(墳)을 분(蚡)으로 쓰고 있다. 두자춘(杜子春)은 설(挈)을 성(騂)으로 읽었는데, 흙 빛깔이 붉으면서 굳고 딱딱한 것이다. 정사농(鄭司農)은 ‘소뼈를 쓴다는 것은 소뼈의 즙으로써 종자를 적시는 것인데 이것을 분종(糞種: 거름으로 가꾸기)이라고 한다. 분양토(墳壤土)에는 두더지[蚠] 와 쥐[鼠]가 많다. 양(壤)은 흰색이다. 분(蕡)은 삼[麻]이다.’고 하였다. 정현은 분양토(墳壤土)를 촉촉하 게 젖은 흙이라고 풀이하였다.‘고 하였다 농사용, 기타 비공개
    농정서 작물과 토양에 특성에 알맞은 거름주기 주관에는 ‘초인(草人)은 토양 개량을 책임진 관리로서,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알맞은 거름을 골라 그 종자에 맞게 거름을 준다.정현(鄭玄: 중국 동한<東漢> 시대의 경학자)의 주석에는,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에 따라 토양을 개량하게 되면 토양이 한층 기름지게 된다. 각종 작물과 토양의 특성에 따라 그 모양과 빛깔을 판단하여 서로 다른 거름을 선택하여 심는 것이다. 예를 들어 황백색 의 토양에는 거름을 써서 조[禾]를 심는다.’고 하였다. 대체로 거름으로 가꾸는 방법은 성강토(騂剛土)는 소뼈를 사용하고, 적제토(赤緹土)는 양뼈를 사용하고, 분양토(墳壤土)는 큰사슴[麋鹿]뼈를 사용하고, 갈택토(渴澤土)는 사슴[鹿]뼈를 사용하고, 함사토(鹹瀉土)는 오소리[貆]뼈를 사용하고, 발양토(勃壤土)는 여우뼈를 사용하고, 식노토(埴壚土)는 돼지뼈를 사용하고, 강함토(彊檻土)는 삼[蕡]를 사용하고, 경촌토(輕㸑土)는 개뼈를 사용한다. 이것은 모두 초인(草人)이담당하는 직무이다. 정현의 주석에는, ‘일반적으로 거름으로 가꾸는 것은 모두 삶아서 그 즙을 가져다 가 쓰는 것을 말한다. 적제(赤緹)는 엷은 홍색이다. 갈택(渴澤)은 물이 고여있던 곳이다. 사(瀉)는 소금밭[鹵]이다. 훤(貆)은 오소리[貒]이다. 발양(勃壤)은 가루처럼 흩어지는 토양이다. 식노(埴壚)는 거친 찰 흙이다. 강함(强檻)은 굳고 딱딱한 토양이다. 경촌(輕㸑)은 가볍고 푸석푸석한 토양이다. 옛 서적에는 성(騂)을 설(挈)로 쓰고, 분(墳)을 분(蚡)으로 쓰고 있다. 두자춘(杜子春)은 설(挈)을 성(騂)으로 읽었는데, 흙 빛깔이 붉으면서 굳고 딱딱한 것이다. 정사농(鄭司農)은 ‘소뼈를 쓴다는 것은 소뼈의 즙으로써 종자를 적시는 것인데 이것을 분종(糞種: 거름으로 가꾸기)이라고 한다. 분양토(墳壤土)에는 두더지[蚠] 와 쥐[鼠]가 많다. 양(壤)은 흰색이다. 분(蕡)은 삼[麻]이다.’고 하였다. 정현은 분양토(墳壤土)를 촉촉하 게 젖은 흙이라고 풀이하였다.‘고 하였다 농사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목양_목양서 소로 밭갈이를 하고, 말은 물건을 실어나르며, 양ㆍ돼지ㆍ닭ㆍ물고기 등은 제수(祭需)로 쓰고 노인을 봉양하며, 학ㆍ사슴ㆍ계(鸂 물새의 일종)ㆍ원(䲮 새의 일종) 등은 친구삼아 무료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문화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선_어육 사슴꼬리 절임[醃鹿尾]은, 칼로 꼬리뿌리 위의 털을 깎아버리고 뼈를 발라내어 소금 1전(錢)에 유전(鍮錢 놋쇠로 만든 돈) 5푼을 꼬리 속에 채워 넣고, 막대기에 끼워 바람에 말린다. 식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