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비단벌레

Chrysochroa (Chrysochroa) coreana Han and Park, 201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비단벌레

Chrysochroa (Chrysochroa) coreana Han and Park, 201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비단벌레

Chrysochroa (Chrysochroa) coreana Han and Park, 2012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비단벌레 Chrysochroa (Chrysochroa) coreana Han and Park, 2012

분류체계
Animalia >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Coleoptera (딱정벌레목) > Polyphaga (풍뎅이아목) > Elateriformia (방아벌레하목) > Buprestoidea (비단벌레상과) > Buprestidae (비단벌레과) > Chrysochroinae > Chalcophorini > Chrysochroina > Chrysochroa (비단벌레속) > Chrysochroa > coreana (비단벌레)
이명정보
[학명이명]
Chrysochroa coreana Han and Park, 2012 (비단벌레)

딱정벌레목 비단벌레과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길이 30~40mm이며, 초록색이고, 금속성 광택이 매우 강하다. 앞가슴등판과 딱지날개에 붉은색 줄무늬가 2줄이 있어서 매우 화려하다. 몸의 배 쪽은 황금빛이 도는 녹색이고, 가슴과 배의 중앙부는 황금빛이 도는 적색이다. 머리는 오각형처럼 생겼다. 우리나라 비단벌레 중 가장 크다. 삼림지대에 서식하며 팽나무, 느티나무 등이 기주식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 장신구에 이용하기 위해 남획되었고, 현재는 서식지 감소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삼림지대에 서식하며, 유충은 팽나무 등의 물관부를 갉아 먹는다. 성충은 7~8월에 출현한다.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 일본, 중국,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2]

    국내에는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 일부 지방에서 서식한다. [2]

  • 애벌레는 고사목의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생활하며 7월 초부터 우화하여 7월 중순에 발생 최성기가 되고 8월 중순에 사라진다. 울창한 삼림 지대에 서식한다. 애벌레의 기주식물은 팽나무, 느티나무, 감나무이고 성충은 서식지 주변의 노쇠하고 큰 나무를 좋아한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