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큰산개구리

Rana uenoi (Matsui, 201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큰산개구리

Rana uenoi (Matsui, 201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큰산개구리

Rana uenoi (Matsui, 2014)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큰산개구리 Rana uenoi (Matsui, 2014)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mphibia (양서강) > Anura (무미목) > Ranidae (개구리과) > Rana (개구리속) > uenoi (큰산개구리)
이명정보
[학명이명]
Rana temporaria ornativentris (산개구리)

무미목 개구리과에 속하는 양서류이다. 몸길이는 크기는 50~85mm로 한국산 산개구리류 중 가장 대형이다. 뚜렷한 흑색 반문이 눈 뒤쪽까지는 있고 눈 앞쪽부터 주둥이까지는 없다. 복부와 턱 밑의 바탕색이 우윳빛이다. 암컷은 번식기에 턱 밑과 복부에 붉은 반문들이 나타나며, 수컷은 턱 밑에 울음주머니가 있다. 수컷은 암컷에 비해 체구는 작으나 앞다리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번식기가 되면 앞다리의 첫 번째 발가락에 육괴가 나타난다. 유생의 양 눈은 등에 있으며 분수공은 몸통 측면에 있고 꼬리에는 얼룩덜룩한 무늬가 있다. 주로 산지에 있는 하천의 돌 밑에서 월동하고 번식기인 초봄이 되면 논 습지 주변 또는 하천 주변의 웅덩이로 이동해 알을 낳는다. 알집은 원형이며 수백 개의 알로 구성된 알 덩어리의 크기는 15cm에 이른다.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내륙 산지에 살며, 세계적으로는 러시아와 일본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국 내륙의 산지 주변에 널리 서식한다 [3]

    제주도 및 전국 내륙 산지 [4]

  • 암컷은 번식 시기에 턱 밑과 복부에 붉은색을 띤다. 주로 산지의 하천 돌 밑에서 월동하고, 번식기인 초봄에 농지 주변이나 하천 주변의 물웅덩이로 이동하여 산란하며, 수십에서 수백 개의 알로 이루어진 알 덩어리를 바닥이나 수면에 낳는다. 알 덩어리는 불규칙하나 거의 둥근 형태에 가깝다. 한 마리의 암컷이 낳는 알의 수는 80~1,000개이다. 번식 기간 이외에는 산지의 산림 내에서 활동한다. 2월부터 4월의 번식 기간에 ‘꾸아악 꾸악’ ‘꾸아악 꾸악’ 하고 연속적으로 울음소리를 낸다. 멀리서 나는 소리는 마치 새소리처럼 들린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 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개구리소리

    [3] null(2010), 사이버교육센터구축

    [4] null(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1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Update on Distribution and Conservation Status of Amphibian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onclusions Based on Field Surveys, Environmental Modelling, Molecular Analyses and Call Properties. [Amaël Borzée, Spartak N Litvinchuk, Kyongsim Ri, Desiree Andersen, Tu Yong Nam, Gwang Hyok Jon, Ho Song Man, Jong Sik Choe, Sera Kwon, Siti N Othman, Kevin Messenger, Yoonhyuk Bae, Yucheol Shin, Ajoung Kim, Irina Maslova, Jennifer Luedtke, Louise Hobin, Nial Moores, Bernhard Seliger, Felix Glenk, Yikweon Jang] Animals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2021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0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계절에 상관없이 개구리(북방산개구리)를 채집하여 껍데기를 벗긴 후 통으로 삶아 고열이 있을 때 먹는다.
    2 구전 식용 구이 용도로 1~3, 11~12월(경칩 전)에 채취한 산개구리 뒷다리를 탕 끓여 먹거나 구워 먹는다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3 구전 식용 구이 용도로 6~11월에 채취한 산개구리를 구워서 먹거나 탕 끓여 먹는다는 것을 옛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4 구전 식용 탕 용도로 1월~3월(경칩 전에 먹음)에 채취한 산머구리 뒷다리를 굽거나 삶아서 먹는다는 것을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5 구전 식용 1-2월에 채취한 개구리 전체를 겨울 잠 깨기 전에 잡아서 기름에 붓고 굽거나, 두루치기 해서 먹는다는 것을 동네 어르신에게 들었으며 본인이 직접 경험하였음
    6 구전 식용 가을에 채취한 개구리 다리를 구워서 식용으로 먹는다는 것을 동네 어르신으로부터 배웠으며 본인이 20세에 경험하였음
    7 구전 약용 작은 올챙이도 몸에 좋다고 올챙이를 물에 훌훌 씻어서 그냥 마시듯 먹음(도순예)
    8 구전 약용 아이들에게는 개구리를 통째로 다 넣고 고아서 국물을 먹임
    9 구전 식용 겨울 월동체를 잡아 튀겨서 먹음
    10 구전 약용 낭습, 사타구니나 겨드랑이에 땀이 찰 때에는 튀겨서 먹음
  • 표본 (총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AM0000101958 Rana uenoi (Matsui, 2014)" / 큰산개구리 강원도 철원군... / 2008-09-22 액침표본 1건
    NIBRAM0000101969 Rana uenoi (Matsui, 2014)" / 큰산개구리 경상북도 영주... 소백산 / 2011-09-13 액침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