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ves (조강) > Falconiformes (매목) > Accipitridae (수리과) > Haliaeetus (흰꼬리수리속) > albicilla (흰꼬리수리)
이명정보
[원기재명]
Falco albicilla Linnaeus, 1758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겨울철새이다. 전국의 해안, 호수, 강 하구 등에서 관찰된다. 연어와 송어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몸길이는 약 84~94cm이며, 날개 편 길이는 199~228cm이다. 전체적으로 갈색을 띤다. 날개깃은 검은색이다. 머리는 황갈색이고 몸의 다른 부위에 비해 색이 엷다. 꼬리는 둥근 마름모꼴로 흰색을 띤다. 부리와 다리는 노란색이지만 어린 새는 흑갈색으로 차이가 있다. 날개 앞쪽과 날개 뒤쪽이 거의 평행선을 이루어 밑에서 보면 직사각형이다. 어린 새는 머리는 암갈색으로 가장 어둡고, 몸은 전체적으로 적갈색이 돌며, 꼬리깃에는 흰색과 검은색이 섞여 있다. 해안, 소택지, 호수, 하구 등 넓은 수면을 낀 지역에 살며 겨울철새이다. 단독으로 생활하며, 때로는 3~4개체 혹은 큰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주로 소형 포유류, 조류, 어류 등을 먹는다. 번식기는 3월 중순에서 5월경까지다. 둥지는 산림 교목의 가지 위에 나뭇가지를 올려 쌓아 만들거나, 해안가 절벽 등지에 만든다. 산란기에는 둥지에 동물의 깃털 등을 깔기도 한다.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일반적으로 일본 홋카이도 동부, 중국 양쯔강 하류 및 동부,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 등지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국내에는 전국에서 관찰되나 개체 수는 많지 않은 편이다. 한강 하구, 임진강 하구, 시화호, 천수만을 비롯해 낙동강 하구, 강릉 남대천 등 해안과 인접한 간척지 및 큰 하천 인근을 선호한다. 내륙지역인 철원평야, 충주, 아산, 안동 등지에서도 관찰되고 있으며 주로 농경지가 발달한 곳의 큰 호수, 강 주변에서 관찰되고 있다. [2]

  • 해안, 소택지, 호수, 하구 등 넓은 수면을 낀 지역을 중심으로 단독으로 생활하며, 때로는 3~4개체 혹은 큰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주로 소형 포유류, 조류, 어류 등을 먹는다. 번식기는 3월 중순에서 5월경까지다. 둥지는 산림 교목의 가지 위에 나뭇가지를 올려 쌓아 만들거나, 해안가 절벽 등지에 만든다. 산란기에는 둥지에 동물의 깃털 등을 깔기도 한다. 한배에 산란 수는 1~4개로 보통 2개이며, 알은 흰색이다. 포란 기간은 38일이며 육추 기간은 70~90일이다. 번식이 끝난 후에는 어린 새와 함께 다니기도 한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6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Large-scale genotypic identification reveals density-dependent natal dispersal patterns in an elusive bird of prey. [Ida Penttinen, Carina Nebel, Torsten Stjernberg, Laura Kvist, Suvi Ponnikas, Toni Laaksonen] Movement ecology 2024
    2 Surveys of eleven species of wild and zoo birds and feeding experiments in white-tailed eagles reveal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the avian gut microbiome based on dietary habits between and within species. [Kohei Ogasawara, Naoki Yamada, Shouta Mm Nakayama, Yukiko Watanabe, Keisuke Saito, Akane Chiba, Yoshitaka Uchida, Kaoru Ueda, Yasunori Takenaka, Kentaro Kazama, Mami Kazama, Junya Yamagishi, Hazuki Mizukawa, Yoshinori Ikenaka, Mayumi Ishizuka] The Journal of veterinary medical science 2023
    3 White-Tailed Eagles’ ( <i>Haliaeetus albicilla</i> ) Exposure to Anticoagulant Rodenticides and Causes of Poisoning in Poland (2018–2020) Sell, Bartosz;Śniegocki, Tomasz;Giergiel, Marta;Posyniak, Andrzej; Toxics 2022
    4 Molecular identification of <i>Sarcocystis halieti</i> n. sp., <i>Sarcocystis lari</i> and <i>Sarcocystis truncata</i> in the intestine of a white-tailed sea eagle (<i>Haliaeetus albicilla</i>) in Norway. [Bjørn Gjerde, Turid Vikøren, Inger Sofie Hamnes] International journal for parasitology. Parasites and wildlife 2018
    5 Organohalogenated contaminants in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albicilla) nestlings: An assessment of relationships to immunoglobulin levels, telomeres and oxidative stress Sletten, S.;Bourgeon, S.;Bardsen, B.J.;Herzke, D.;Criscuolo, F.;Massemin, S.;Zahn, S.;Johnsen, T.V.;Bustnes, J.O.;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6
    6 An overview of existing raptor contaminant monitoring activities in Europe Gomez-Ramirez, P.;Shore, R.F.;van den Brink, N.W.;van Hattum, B.;Bustnes, J.O.;Duke, G.;Fritsch, C.;Garcia-Fernandez, A.J.;Helander, B.O.;Jaspers, V.;Krone, O.;Martinez-Lopez, E.;Mateo, R.;Movalli, P.;Sonne, C.; Environment international 2014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육지에서 나는 놈과 다를 바 없으며 발 하나는 매를 닮고 다른 하나는 오리와 비슷하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1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흰꼬리수리 COI BirdF1/R2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정훈 ( Hoon Chung ) , 권영수 ( Young Soo Kwon ) (2007) 팔당호 일대의 조류 분포 및 번식 실태.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37 – 42

      팔당호 ( )
    • 우용태(Woo Yong Tae),이종남(Lee Jong Nam),허위행(Hur Wee Haeng) (1997) 낙동강 하구일대에서 기록된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6 (1) : 21 – 34

      낙동강 ( )
    • 원병오(Won Pyong Oh),박진영(Park Jin Young),김은영(Kim Eum Young),김화정(Kim Hwa Jung) (1993) 한강의 수조류 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83 – 94

      한강 ( ) 한강어귀 ( )
    • 원병오(Won P . O .),우한정(Woo H . C .),김사욱(Kim S . W .),구태회(Koo T . H .),이두표(Lee D . P .),최동신(Choe D . S .) (1986) 한강의 월동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 (0) : 81 – 86

      서울 ( )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