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솔잎난

Psilotum nudum (L.) P. Beauv.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솔잎난

Psilotum nudum (L.) P. Beauv.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Thumbnail 14
Thumbnail 15
Thumbnail 16
Thumbnail 17
Thumbnail 18
Thumbnail 19
Thumbnail 20
Thumbnail 21
Thumbnail 22
솔잎난

Psilotum nudum (L.) P. Beauv.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QRCODE

솔잎난 Psilotum nudum (L.) P. Beauv.

분류체계
Plantae > Pteridophyta (양치식물문) > Psilotopsida (솔잎난강) > Psilotales (솔잎난목) > Psilotaceae (솔잎난과) > Psilotum (솔잎난속) > nudum (솔잎난)
이명정보
[원기재명]
Lycopodium nudum L.
[학명이명]
Acrostichum thalictroides L.
Psilotum triquetrum Sw.
[국명이명]
솔잎란
송엽란

솔잎난목 솔잎난과에 속하는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해안 근처의 암벽 바위틈이나 나무줄기 위에 착생한다. 뿌리줄기는 길게 기는데 지름 1~2mm, 암갈색 헛뿌리에 덮여 있으며, 불규칙하게 서로 엇갈려 있는 모양으로 갈라진다. 줄기는 다복하게 나며, 다소 모가 지고 녹색을 띠며, 높이는 10~30cm 정도, 윗부분에서 서로 엇갈려 있는 모양으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없으며, 작고 피침형인 비늘조각 모양의 돌기가 가지 위에 어긋나게 붙는다. 포자잎은 2개로 갈라지는데 잎겨드랑이에 1개씩 포자낭이 달린다. 줄기는 녹색이고 2개씩 연속적으로 갈라진다. 포자낭은 3실이고 구형이며 녹색이지만 익으면 황색이 된다. 포자기는 6~9월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전초는 약용한다. 솔잎란, 송엽난이라고도 부른다. 우리나라 경남, 전남, 제주도 등에 자생하며, 일본, 타이완, 중국 등 세계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전 세계적으로 일본 중부, 중국,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고, 호주와 뉴질랜드, 그리고 미국 남동부와 유럽 남서부지역까지 나타난다. [2]

    국내에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산사태나 자생지 주변 착생식물이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2]

  • 다년생 상록 초본으로 계곡이나 오름 등의 암벽의 절개지를 따라 살지만 일부 개체군은 해수면과 인접해 살기도 하며, 햇빛이 충분히 비치는 건조한 곳을 선호한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