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QRCODE

소나무 bookmark_add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종명
[학명이명]
Pinus densiflora f. erecta (금강소나무)
Pinus densiflora f. aurescens Uyeki (금송)
Pinus densiflora f. longistrobilis Uyeki (긴방울소나무)
Pinus densiflora f. aggregata Nakai (남복송)
Pinus densiflora f. angusta Uyeki (답사리솔)
Pinus densiflora f. anguina Uyeki (뱀솔)
Pinus densiflora f. divaricata Uyeki (번가지소나무)
Pinus densiflora f. umbeliformis Uyeki (사갓솔)
Pinus densiflora f. congesta Uyeki (여복송)
Pinus densiflora f. vittata Uyeki (은송)
Pinus densiflora f. parvistrobilis Uyeki (잔방울소나무)
Pinus densiflora f. plana Uyeki (평린송)
Pinus densiflora f. glauca Uyeki (회색솔)
Pinus densiflora f. gibba Uyeki (후린송)
[원기재명]
Pinus densiflora f. aggregata Nakai (남복송)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이다.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서 자라는 침엽 큰키나무로 높이 35m, 지름 1.8m 정도이다. 겉껍질은 위쪽은 적갈색, 아래쪽은 암적색이다. 잎은 2장씩 뭉쳐나며, 바늘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다. 잎 길이는 8~9cm, 폭은 1.5mm이며, 잎의 단면은 반달 모양이다. 2년이 지나면 잎이 떨어진다. 암수한그루이며, 구화수는 3~5월에 달린다. 수구화수는 새로 난 가지 밑부분에 달리며 타원 모양, 노란색이다. 암구화수는 가지 끝에 달리며 달걀 모양, 진한 자주색, 흔히 수구화수 위쪽에 1~4개씩 달린다. 열매는 구과이며, 달걀 모양으로 길이 4.5cm, 지름 3cm이고,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이듬해 9~10월에 익는다. 열매조각은 70~100개이다. 씨는 타원 모양으로 길이 5~6mm, 폭 3mm, 검은 갈색이며 날개는 연한 갈색 바탕에 검은 갈색 줄이 있다. 소나무는 소지가 1년에 한 번씩만 자라고 잎이 연한 녹색을 띠면서 잘 비틀리지 않고 겨울철에 발달하는 동아에 수지가 없는 특징으로 구분한다. 정원수, 가로수로 심는다. 목재는 건축재, 토목재, 포장재, 합판재, 펄프, 숯으로 이용한다. 잎과 꽃가루, 나무껍질을 약용 또는 식용하며, 송진은 염증에 약재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동부,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러시아 동부, 중국 동북부, 일본 [2]

    전국 [2]

  • 햇볕이 잘 들고 건조한 산지의 능선과 사면에 자란다. 주로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을 따라 분포하며 인간에 의해 간섭된 2차 삼림을 이룬다. 고도가 높거나 고위도 지역에서는 신갈나무와 혼합림을 이루고 고도가 낮고 저위도 지역에서는 졸참나무와 함께 혼합림을 이룬다. 많은 지역에서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는 소나무 숲 수관 아래에 분포한다. 소나무-신갈나무 숲에는 장미과, 단풍나무과, 제비꽃과, 박주가리과의 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소나무-졸참나무 숲에는 미나리아재비과, 인동과, 대극과, 차나무과 식물들을 흔히 볼 수 있다(Choung and Hong 2006).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6), 국가생물종정보관리체계구축

    [2]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25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207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Mycor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ies and their Sensitivity to Antibacterial Activity of Ectomycorrhizal Fungi. Makoto Shirakawa, Iwao Uehara, Megumi Tanaka Microbes and environments 2019 조회
    Therapeutic Potential of Antimicrobial Peptide PN5 against Multidrug-Resistant E. coli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 Septic Mouse Model. Da Dam Kang, Jonggwan Park, Yoonkyung Park Microbiology spectrum 2022 조회
    Comparison analysis of metabolite profiling in seeds and bark of <i>Ulmus parvifolia</i>, a Chinese medicine species. MingLong Yin, ChuanRong Li, YuShan Wang, JunHui Fu, YangYang Sun, Qian Zhang Plant signaling & behavior 2022 조회
    Cytotoxic Effects of Plant Sap-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n Various Tumor Cell Types. Kimin Kim, Hye Ju Yoo, Jik-Han Jung, Ruri Lee, Jae-Kyung Hyun, Ji-Ho Park, Dokyun Na, Ju Hun Yeon Journal of functional biomaterials 2020 조회
    Impact of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o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i>Pinus densiflora</i> Bark Extract. Thamizhiniyan Venkatesan, Young-Woong Choi, Young-Kyoon Kim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9 조회
    Biological properties of butanol extracts from green pine cone of <i>Pinus densiflora</i>. Seoyoun Lee, Won-Baek Kim, So Hae Park, Minji Kim, Doohyun Kim, Jumin Park, Dae Youn Hwang, Heeseob Lee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18 조회
    Does oxygen affect ageing mechanisms of Pinus densiflora seeds? A matter of cytoplasmic physical state. Davide Gerna, Daniel Ballesteros, Erwann Arc, Wolfgang Stöggl, Charlotte E Seal, Nicki Marami-Zonouz, Chae Sun Na, Ilse Kranner, Thomas Roach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2022 조회
    Extract of <i>Pinus densiflora</i> needles suppresses acute inflammation by regulating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264.7 macrophages and mice. Seul-Yong Jeong, Won Seok Choi, Oh Seong Kwon, Jong Seok Lee, Su Young Son, Choong Hwan Lee, Sarah Lee, Jin Yong Song, Yeon Jin Lee, Ji-Yun Lee Pharmaceutical biology 2022 조회
    Evaluation of <i>In Vitro</i>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btained from Dried Pine Needle (<i>Pinus densiflora</i>). Joo-Shin Kim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2018 조회
    Effects of Phenolic-Rich <i>Pinus densiflora</i> Extract on Learning, Memory, and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in Scopolamine-Induced Amnesic Rats. Kwan Joong Kim, Eun-Sang Hwang, Min-Jeong Kim, Chan-Su Rha, Myoung Chong Song, Sungho Maeng, Ji-Ho Park, Dae-Ok Kim Antioxidants (Basel, Switzerland) 2022 조회

    특허 (667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OIL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XYLEM AS ACTIVE INGREDIENT KIM, Dae Wook|김대욱|KIM, Yeong Su|김영수|OH, Yu Jin|오유진|HAN, Kyung Min|한경민|KIM, Jae Woo|김재우 2022-11-14 조회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KIM, Jin-Cheol|김진철|PARK, Ae Ran|박애란|JEON, Hee Won|전희원|SUNG, Min Jeong|성민정|JEONG, Se-In|정세인|SEO, Young-Su|서영수|KIM, Nam Gyu|김남규|KIM, Jun Heon|김준헌|LEE, Sang-Hyun|이상현 2020-12-10 조회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KIM, Jin-Cheol|PARK, Ae Ran|JEON, Hee Won|SUNG, Min Jeong|JEONG, Se-In|SEO, Young-Su|KIM, Nam Gyu|KIM, Jun Heon|LEE, Sang-Hyun 2020-12-10 조회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Jin-Cheol KIM|Ae Ran PARK|Hee Won JEON|Min Jeong SUNG|Se-In JEONG|Young-Su SEO|Nam Gyu KIM|Jun Heon KIM|Sang-Hyun LEE 2020-12-10 조회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OIL EXTRACTED OF XYLEM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amp;AMP; ZUCC. KIM, Dae Wook|김대욱|KIM, Yeong Su|김영수|OH, Yu Jin|오유진|KIM, Jae Woo|김재우|LEE, Min Sung|이민성 2022-11-14 조회
    MUSHROOM PROCESSED-FO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IM, Young Ju|김영주 2019-04-12 조회
    PLANT HEAT RESISTANCE OR DROUGHT RESISTANCE IMPROVING AGENT, SALT TOLERANCE IMPROVING AGENT, ACTIVITY IMPROVING AGENT KIM, Jongmyong 2021-03-01 조회
    Weight Management Composition Mark Tarnopolsky 2021-11-08 조회
    HEAT TOLERANCE OR DRYING TOLERANCE IMPROVING AGENT, SALT TOLERANCE IMPROVING AGENT, ACTIVITY IMPROVING AGENT FOR PLANT Jongmyong KIM 2021-03-01 조회
    COMPOSITIONS TO REDUCE HYPERPIGMENTATION MILLÁN ORTEGA, Estrella|GARCIA GONZÁLEZ, Victor|MELLADO FUENTES, Ana Maria|COLLADO ROJAS, Juan Antonio|MUÑOZ MOLINA, Eduardo|MUNOZ BLANCO, Eduardo 2020-04-30 조회

    전통지식(문헌) (251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지봉유설 소나무는 천년이 되면 옆으로 눕는다'라고 하였다. '소나무를 심을때 가운데 큰 뿌리를 떼내고 오직 사방으로 뻗은 수염같은 뿌리만을 가지고 심으면 쓰러지지 않는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소나무는 뿌리 밑이 돌에 닿으면 곧 옆으로 눕는다'고 하였다. 꼭 그런지 알 수가 없다. . 비공개
    해동농서 연해지역이나 섬에서 난다. (증보산림경제) 이식은 춘사일 전에 흙을 그대로 묻혀서 옮기는데 1백 그루를 심고 북주면 1백그루가 다 살아난다. (사류전서) 춘분이 지난 후에 심는데 뿌리가 실한 것이 중요해 흔들어대지 않아야 저절로 살아난다. 뾰족한 큰 뿌리는 버리고 오직 가장자리에 있는 수염뿌리만 남기면 모두 무성해진다. (종수서) 바닷가에서 난 소나무 씨를 취해야 벌레의 해가 없다. 씨가 이미 여물었으나 아직 떨어지지 않았을 때 가지째 잘라내어 햇볕에 말렸다가 털어서 거두어 들인다. 8월~9월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춘분에 단물에 10일 동안 담근다. (증보산림경제) 옮길때는 반드시 3월 중에 뿌리의 흙을 넓게 남겨놓는데 1장짜리 나무 같으면 흙을 사방 3자 정도 붙여 옮겨야 하고 5장 정도면 흙을 3자나 3자 5치쯤 붙여 옮긴다. (농정전서) 꺽꽂이는 경칩 전후 5일 안에 새로 나온 가지를 베어내어 구덩이를 파고 집어넣는다. 가지 밑에 진흙을 파고 공이로 단단히 다진다. 날씨가 흐린날이면 살아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줄이거나 나누어 심는다. (농상통결) 목재(줄기)에 사영한다. (증보산림경제) 식용(잎, 꽃가루) 에 사용한다. 소나무 잎을 가늘게 자른 것을 갈아서 매일 식전에 술에 섞어 2잔씩 먹는다. 또 삶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으면 곡식을 끊을 수 있는데 배도 고프지 않고 목도 마르지 않는다. 송화는 송황이라고도 한다. 흰 설탕을 섞어서 찍어내어 떡을 만드는데 과일떡(다식)으로 먹는다. (본초강목) 목재 비공개
    해동농서 연해지역이나 섬에서 난다. (증보산림경제) 이식은 춘사일 전에 흙을 그대로 묻혀서 옮기는데 1백 그루를 심고 북주면 1백그루가 다 살아난다. (사류전서) 춘분이 지난 후에 심는데 뿌리가 실한 것이 중요해 흔들어대지 않아야 저절로 살아난다. 뾰족한 큰 뿌리는 버리고 오직 가장자리에 있는 수염뿌리만 남기면 모두 무성해진다. (종수서) 바닷가에서 난 소나무 씨를 취해야 벌레의 해가 없다. 씨가 이미 여물었으나 아직 떨어지지 않았을 때 가지째 잘라내어 햇볕에 말렸다가 털어서 거두어 들인다. 8월~9월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춘분에 단물에 10일 동안 담근다. (증보산림경제) 옮길때는 반드시 3월 중에 뿌리의 흙을 넓게 남겨놓는데 1장짜리 나무 같으면 흙을 사방 3자 정도 붙여 옮겨야 하고 5장 정도면 흙을 3자나 3자 5치쯤 붙여 옮긴다. (농정전서) 꺽꽂이는 경칩 전후 5일 안에 새로 나온 가지를 베어내어 구덩이를 파고 집어넣는다. 가지 밑에 진흙을 파고 공이로 단단히 다진다. 날씨가 흐린날이면 살아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줄이거나 나누어 심는다. (농상통결) 목재(줄기)에 사영한다. (증보산림경제) 식용(잎, 꽃가루) 에 사용한다. 소나무 잎을 가늘게 자른 것을 갈아서 매일 식전에 술에 섞어 2잔씩 먹는다. 또 삶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으면 곡식을 끊을 수 있는데 배도 고프지 않고 목도 마르지 않는다. 송화는 송황이라고도 한다. 흰 설탕을 섞어서 찍어내어 떡을 만드는데 과일떡(다식)으로 먹는다. (본초강목) 식용 비공개
    해동농서 연해지역이나 섬에서 난다. (증보산림경제) 이식은 춘사일 전에 흙을 그대로 묻혀서 옮기는데 1백 그루를 심고 북주면 1백그루가 다 살아난다. (사류전서) 춘분이 지난 후에 심는데 뿌리가 실한 것이 중요해 흔들어대지 않아야 저절로 살아난다. 뾰족한 큰 뿌리는 버리고 오직 가장자리에 있는 수염뿌리만 남기면 모두 무성해진다. (종수서) 바닷가에서 난 소나무 씨를 취해야 벌레의 해가 없다. 씨가 이미 여물었으나 아직 떨어지지 않았을 때 가지째 잘라내어 햇볕에 말렸다가 털어서 거두어 들인다. 8월~9월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춘분에 단물에 10일 동안 담근다. (증보산림경제) 옮길때는 반드시 3월 중에 뿌리의 흙을 넓게 남겨놓는데 1장짜리 나무 같으면 흙을 사방 3자 정도 붙여 옮겨야 하고 5장 정도면 흙을 3자나 3자 5치쯤 붙여 옮긴다. (농정전서) 꺽꽂이는 경칩 전후 5일 안에 새로 나온 가지를 베어내어 구덩이를 파고 집어넣는다. 가지 밑에 진흙을 파고 공이로 단단히 다진다. 날씨가 흐린날이면 살아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줄이거나 나누어 심는다. (농상통결) 목재(줄기)에 사영한다. (증보산림경제) 식용(잎, 꽃가루) 에 사용한다. 소나무 잎을 가늘게 자른 것을 갈아서 매일 식전에 술에 섞어 2잔씩 먹는다. 또 삶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으면 곡식을 끊을 수 있는데 배도 고프지 않고 목도 마르지 않는다. 송화는 송황이라고도 한다. 흰 설탕을 섞어서 찍어내어 떡을 만드는데 과일떡(다식)으로 먹는다. (본초강목) 식용 비공개
    해동역사 조선의 잣나무에는 두 종류가 있다. 열매를 맺는 것은 껍질이 그다지 거칠지 않으며, 솔잎이 위로 치켜 솟아 있다. 그 열매는 반드시 한 해가 지난 다음에야 딸 수가 있다. 경기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그 소나무가 있다. (조선부 주) 고려의 양주(楊州), 광주(廣州), 영주(永州) 등 세 주에는 큰 소나무가 많이 있는데, 소나무에는 두 종류가 있다. 오직 솔잎이 다섯 개인 것만이 열매를 맺는다. 나주도(羅州道)에도 역시 있으나, 세 주처럼 많이 있지는 않는다. 또 그 땅이 소나무가 자라기에 알맞으며, 복령(茯苓)이 난다. (고려도경) 조선의 소나무는 재질이 가장 단단하고 측백나무[柏]와 같이 황색이며 송진[脂]이 적은데, 어디를 가든지 있다. (조선부 주) 약용 비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주로 저창, 악창, 머리에 생긴 헌데, 백독창, 옴, 가려움증, 풍기 등을 치료하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내리며 위 속에 잠복된 열, 입이 마르는 것, 소갈, 풍비, 각점등도 치료한다. 법제하면 희어진다. 색이 붉은 것은 잘 낫지 않는 악비증을 치료하는 데 쓴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 일명 송고, 송방이라고도 한다. 산골에 있으며 음력 6월에 채취한다.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풍비와 한기로 몸이 허해지면서 기운이 약해진 것을 치료하며 허한 것을 보한다. 음력 9월에 따서 그늘에 말린다.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성질이 따뜻하다. 온몸 관절에 생긴 오랜 풍증, 풍허증, 다리가 저리고 아픈 것 등을 치료한다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낟알대신 먹으면 배고프지 않는다. 송진을 법제하는 방법과 같이 송근백피(松根白皮) 법제방법이 복식방에 씌어 있다. 즉 상목 잿물이나 술에 넣고 삶은 다음 찬물에 수십 번 담가 씻어서 희고 매끈매끈하게 해서 쓴다. 저절로 흘러나온 송진이 나무에 흠집을 내서 흘러나온 송진보다 더 좋다. 송실은 많이 얻을 수 없고 송엽은낟알대신 먹을 수 있다. 즉 좁알처럼 잘게 썰어서 물이나 국수물에 타 먹거나 그늘에 말리어 가루내서 환약을 만들어 먹는다. 모진 병에 걸린 사람도 먹으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또 병을 오래 앓아 다리가 몹시 약해졌을 때 송절을 두고 술을 만들어 마시면 낫는다. 소나무나 잣나무에는 기름이 있기 때문에 겨울에도 마르지 않고 잎이 떨어지지 않으므로 좋다.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흔히 사람들은 이것을 홀시한다. (도은거) 송화를 송황이라고도 한다. 꽃을 털어서 쓰는데 마치 포황 비슷하다. 송화가루를 술에 타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병치료효과도 껍질이나 잎, 송진보다 좋다. 솔씨는 맛이 달다. (당본주) 송진은 사약으로 쓰이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벌레를 죽이는 데도 쓴다. 귀머거리도 치료하고 벌레먹은 이빨구멍에 조금 넣고 떨어지지 않게 물고 있으면 벌레가 죽는다. 또한 피고름이 나오는 여러 가지 헌데에 붙이기도 하며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쓰면 새살이 잘 살아나고 통증이 멎으며 풍이 없어진다. (약성론) 한 곳에 5잎이 나서 비녀와 같은 것을 5립송이라 하는데 도가에서는 이것을 낟알대신으로 먹었다. 씨는 파두같다. 이것은 때로 신라에서 가져온다. (소병) 송진을 쓸 때 유향처럼 맑고 덩이진 것이 좋은 것이다. 도인들은 혹 복령, 송실, 해송자, 감국을 섞어 환약을 만들어 먹었다. 법제하는 방법은 큰 솥에 물을 붓고 시루를 놓은 다음 시루밑바닥에 띠를 깔고 그 위에 모래를 1치 두께로 편다. 다음 그 위에 송진을 펴고 상목으로 불을 때어 송진이 시루밑 솥에 다 흘러내리게 한다. 이때 솥안의 물이 줄면 더 넣는다. 다 흘러내리면 이것을 꺼내어 찬물을 넣는다. 굳어지면 또 같은 방법으로 흘러내리게 한 다음 찬물에 넣기를 3번 거듭하면 옥처럼 희어진다. 이렇게 법제한 것을 약에 넣거나 이 한 가지만을 먹기도 한다. 씨와 뿌리의 속껍질도 옛날에는 먹는 법이 있었으나 지금은 흔히 솔씨로 과자를 만들어 먹을 뿐 약에 넣는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다. 송화가루를 송황이라 하는데 제철에 털어서 끓는물에 타 먹으면 몸에 좋다. 다만 오래 두지 못하기 때문에 먼 곳에 보내지 못한다. 또는 소나무가지를 태우면서 가지의 양끝에서 흘러내리는 즙을 송예라고 하는데 이것은 소나 말의 헌데에 쓴다. 껍질겉에 돋은 푸른 것을 애납향이라 하는데 이것을 여러 가지 향에 섞어서 태우면 연기가 흩어지지 않는다. 의학책들의 소나무조항에 5립이라고 쓴 것은 본래 "엽"자인데 "입"자로 잘못 된 것이다. 5갈기가 한잎으로 된다. 혹은 2갈기나 7갈기인 것도 있다. 장기간 자란 소나무에는 씨가 많을 수 있다. (도경)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식료찬요 추락타박손상 타박(打撲)으로 상처가 생긴 것을 치료하려면 송절(松節: 소나무 마디)을 술에 넣고 달여 복용한다.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207건)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Mycorrhizosphere Bacterial Communities and their Sensitivity to Antibacterial Activity of Ectomycorrhizal Fungi. Makoto Shirakawa, Iwao Uehara, Megumi Tanaka Microbes and environments 2019 조회
    Therapeutic Potential of Antimicrobial Peptide PN5 against Multidrug-Resistant E. coli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a Septic Mouse Model. Da Dam Kang, Jonggwan Park, Yoonkyung Park Microbiology spectrum 2022 조회
    Comparison analysis of metabolite profiling in seeds and bark of <i>Ulmus parvifolia</i>, a Chinese medicine species. MingLong Yin, ChuanRong Li, YuShan Wang, JunHui Fu, YangYang Sun, Qian Zhang Plant signaling & behavior 2022 조회
    Cytotoxic Effects of Plant Sap-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n Various Tumor Cell Types. Kimin Kim, Hye Ju Yoo, Jik-Han Jung, Ruri Lee, Jae-Kyung Hyun, Ji-Ho Park, Dokyun Na, Ju Hun Yeon Journal of functional biomaterials 2020 조회
    Impact of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o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i>Pinus densiflora</i> Bark Extract. Thamizhiniyan Venkatesan, Young-Woong Choi, Young-Kyoon Kim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9 조회
    Biological properties of butanol extracts from green pine cone of <i>Pinus densiflora</i>. Seoyoun Lee, Won-Baek Kim, So Hae Park, Minji Kim, Doohyun Kim, Jumin Park, Dae Youn Hwang, Heeseob Lee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2018 조회
    Does oxygen affect ageing mechanisms of Pinus densiflora seeds? A matter of cytoplasmic physical state. Davide Gerna, Daniel Ballesteros, Erwann Arc, Wolfgang Stöggl, Charlotte E Seal, Nicki Marami-Zonouz, Chae Sun Na, Ilse Kranner, Thomas Roach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2022 조회
    Extract of <i>Pinus densiflora</i> needles suppresses acute inflammation by regulating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264.7 macrophages and mice. Seul-Yong Jeong, Won Seok Choi, Oh Seong Kwon, Jong Seok Lee, Su Young Son, Choong Hwan Lee, Sarah Lee, Jin Yong Song, Yeon Jin Lee, Ji-Yun Lee Pharmaceutical biology 2022 조회
    Evaluation of <i>In Vitro</i> Antioxidant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Obtained from Dried Pine Needle (<i>Pinus densiflora</i>). Joo-Shin Kim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2018 조회
    Effects of Phenolic-Rich <i>Pinus densiflora</i> Extract on Learning, Memory, and Hippocampal Long-Term Potentiation in Scopolamine-Induced Amnesic Rats. Kwan Joong Kim, Eun-Sang Hwang, Min-Jeong Kim, Chan-Su Rha, Myoung Chong Song, Sungho Maeng, Ji-Ho Park, Dae-Ok Kim Antioxidants (Basel, Switzerland) 2022 조회

    특허 (667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OIL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XYLEM AS ACTIVE INGREDIENT KIM, Dae Wook|김대욱|KIM, Yeong Su|김영수|OH, Yu Jin|오유진|HAN, Kyung Min|한경민|KIM, Jae Woo|김재우 2022-11-14 조회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KIM, Jin-Cheol|김진철|PARK, Ae Ran|박애란|JEON, Hee Won|전희원|SUNG, Min Jeong|성민정|JEONG, Se-In|정세인|SEO, Young-Su|서영수|KIM, Nam Gyu|김남규|KIM, Jun Heon|김준헌|LEE, Sang-Hyun|이상현 2020-12-10 조회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KIM, Jin-Cheol|PARK, Ae Ran|JEON, Hee Won|SUNG, Min Jeong|JEONG, Se-In|SEO, Young-Su|KIM, Nam Gyu|KIM, Jun Heon|LEE, Sang-Hyun 2020-12-10 조회
    BACILLUS SUBTILIS JCK-1398 STRAIN INDUCING RESISTANCE IN VARIOUS PLANTS, AND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BY USING SAME Jin-Cheol KIM|Ae Ran PARK|Hee Won JEON|Min Jeong SUNG|Se-In JEONG|Young-Su SEO|Nam Gyu KIM|Jun Heon KIM|Sang-Hyun LEE 2020-12-10 조회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 OIL EXTRACTED OF XYLEM FROM PINUS DENSIFLORA SIEBOLD &amp;AMP; ZUCC. KIM, Dae Wook|김대욱|KIM, Yeong Su|김영수|OH, Yu Jin|오유진|KIM, Jae Woo|김재우|LEE, Min Sung|이민성 2022-11-14 조회
    MUSHROOM PROCESSED-FOO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IM, Young Ju|김영주 2019-04-12 조회
    PLANT HEAT RESISTANCE OR DROUGHT RESISTANCE IMPROVING AGENT, SALT TOLERANCE IMPROVING AGENT, ACTIVITY IMPROVING AGENT KIM, Jongmyong 2021-03-01 조회
    Weight Management Composition Mark Tarnopolsky 2021-11-08 조회
    HEAT TOLERANCE OR DRYING TOLERANCE IMPROVING AGENT, SALT TOLERANCE IMPROVING AGENT, ACTIVITY IMPROVING AGENT FOR PLANT Jongmyong KIM 2021-03-01 조회
    COMPOSITIONS TO REDUCE HYPERPIGMENTATION MILLÁN ORTEGA, Estrella|GARCIA GONZÁLEZ, Victor|MELLADO FUENTES, Ana Maria|COLLADO ROJAS, Juan Antonio|MUÑOZ MOLINA, Eduardo|MUNOZ BLANCO, Eduardo 2020-04-30 조회

    전통지식(문헌) (251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지봉유설 소나무는 천년이 되면 옆으로 눕는다'라고 하였다. '소나무를 심을때 가운데 큰 뿌리를 떼내고 오직 사방으로 뻗은 수염같은 뿌리만을 가지고 심으면 쓰러지지 않는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소나무는 뿌리 밑이 돌에 닿으면 곧 옆으로 눕는다'고 하였다. 꼭 그런지 알 수가 없다. . 비공개
    해동농서 연해지역이나 섬에서 난다. (증보산림경제) 이식은 춘사일 전에 흙을 그대로 묻혀서 옮기는데 1백 그루를 심고 북주면 1백그루가 다 살아난다. (사류전서) 춘분이 지난 후에 심는데 뿌리가 실한 것이 중요해 흔들어대지 않아야 저절로 살아난다. 뾰족한 큰 뿌리는 버리고 오직 가장자리에 있는 수염뿌리만 남기면 모두 무성해진다. (종수서) 바닷가에서 난 소나무 씨를 취해야 벌레의 해가 없다. 씨가 이미 여물었으나 아직 떨어지지 않았을 때 가지째 잘라내어 햇볕에 말렸다가 털어서 거두어 들인다. 8월~9월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춘분에 단물에 10일 동안 담근다. (증보산림경제) 옮길때는 반드시 3월 중에 뿌리의 흙을 넓게 남겨놓는데 1장짜리 나무 같으면 흙을 사방 3자 정도 붙여 옮겨야 하고 5장 정도면 흙을 3자나 3자 5치쯤 붙여 옮긴다. (농정전서) 꺽꽂이는 경칩 전후 5일 안에 새로 나온 가지를 베어내어 구덩이를 파고 집어넣는다. 가지 밑에 진흙을 파고 공이로 단단히 다진다. 날씨가 흐린날이면 살아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줄이거나 나누어 심는다. (농상통결) 목재(줄기)에 사영한다. (증보산림경제) 식용(잎, 꽃가루) 에 사용한다. 소나무 잎을 가늘게 자른 것을 갈아서 매일 식전에 술에 섞어 2잔씩 먹는다. 또 삶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으면 곡식을 끊을 수 있는데 배도 고프지 않고 목도 마르지 않는다. 송화는 송황이라고도 한다. 흰 설탕을 섞어서 찍어내어 떡을 만드는데 과일떡(다식)으로 먹는다. (본초강목) 목재 비공개
    해동농서 연해지역이나 섬에서 난다. (증보산림경제) 이식은 춘사일 전에 흙을 그대로 묻혀서 옮기는데 1백 그루를 심고 북주면 1백그루가 다 살아난다. (사류전서) 춘분이 지난 후에 심는데 뿌리가 실한 것이 중요해 흔들어대지 않아야 저절로 살아난다. 뾰족한 큰 뿌리는 버리고 오직 가장자리에 있는 수염뿌리만 남기면 모두 무성해진다. (종수서) 바닷가에서 난 소나무 씨를 취해야 벌레의 해가 없다. 씨가 이미 여물었으나 아직 떨어지지 않았을 때 가지째 잘라내어 햇볕에 말렸다가 털어서 거두어 들인다. 8월~9월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춘분에 단물에 10일 동안 담근다. (증보산림경제) 옮길때는 반드시 3월 중에 뿌리의 흙을 넓게 남겨놓는데 1장짜리 나무 같으면 흙을 사방 3자 정도 붙여 옮겨야 하고 5장 정도면 흙을 3자나 3자 5치쯤 붙여 옮긴다. (농정전서) 꺽꽂이는 경칩 전후 5일 안에 새로 나온 가지를 베어내어 구덩이를 파고 집어넣는다. 가지 밑에 진흙을 파고 공이로 단단히 다진다. 날씨가 흐린날이면 살아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줄이거나 나누어 심는다. (농상통결) 목재(줄기)에 사영한다. (증보산림경제) 식용(잎, 꽃가루) 에 사용한다. 소나무 잎을 가늘게 자른 것을 갈아서 매일 식전에 술에 섞어 2잔씩 먹는다. 또 삶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으면 곡식을 끊을 수 있는데 배도 고프지 않고 목도 마르지 않는다. 송화는 송황이라고도 한다. 흰 설탕을 섞어서 찍어내어 떡을 만드는데 과일떡(다식)으로 먹는다. (본초강목) 식용 비공개
    해동농서 연해지역이나 섬에서 난다. (증보산림경제) 이식은 춘사일 전에 흙을 그대로 묻혀서 옮기는데 1백 그루를 심고 북주면 1백그루가 다 살아난다. (사류전서) 춘분이 지난 후에 심는데 뿌리가 실한 것이 중요해 흔들어대지 않아야 저절로 살아난다. 뾰족한 큰 뿌리는 버리고 오직 가장자리에 있는 수염뿌리만 남기면 모두 무성해진다. (종수서) 바닷가에서 난 소나무 씨를 취해야 벌레의 해가 없다. 씨가 이미 여물었으나 아직 떨어지지 않았을 때 가지째 잘라내어 햇볕에 말렸다가 털어서 거두어 들인다. 8월~9월에 수확하여 저장하였다가 춘분에 단물에 10일 동안 담근다. (증보산림경제) 옮길때는 반드시 3월 중에 뿌리의 흙을 넓게 남겨놓는데 1장짜리 나무 같으면 흙을 사방 3자 정도 붙여 옮겨야 하고 5장 정도면 흙을 3자나 3자 5치쯤 붙여 옮긴다. (농정전서) 꺽꽂이는 경칩 전후 5일 안에 새로 나온 가지를 베어내어 구덩이를 파고 집어넣는다. 가지 밑에 진흙을 파고 공이로 단단히 다진다. 날씨가 흐린날이면 살아나고 비가 오지 않으면 줄이거나 나누어 심는다. (농상통결) 목재(줄기)에 사영한다. (증보산림경제) 식용(잎, 꽃가루) 에 사용한다. 소나무 잎을 가늘게 자른 것을 갈아서 매일 식전에 술에 섞어 2잔씩 먹는다. 또 삶아서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계속해서 먹으면 곡식을 끊을 수 있는데 배도 고프지 않고 목도 마르지 않는다. 송화는 송황이라고도 한다. 흰 설탕을 섞어서 찍어내어 떡을 만드는데 과일떡(다식)으로 먹는다. (본초강목) 식용 비공개
    해동역사 조선의 잣나무에는 두 종류가 있다. 열매를 맺는 것은 껍질이 그다지 거칠지 않으며, 솔잎이 위로 치켜 솟아 있다. 그 열매는 반드시 한 해가 지난 다음에야 딸 수가 있다. 경기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그 소나무가 있다. (조선부 주) 고려의 양주(楊州), 광주(廣州), 영주(永州) 등 세 주에는 큰 소나무가 많이 있는데, 소나무에는 두 종류가 있다. 오직 솔잎이 다섯 개인 것만이 열매를 맺는다. 나주도(羅州道)에도 역시 있으나, 세 주처럼 많이 있지는 않는다. 또 그 땅이 소나무가 자라기에 알맞으며, 복령(茯苓)이 난다. (고려도경) 조선의 소나무는 재질이 가장 단단하고 측백나무[柏]와 같이 황색이며 송진[脂]이 적은데, 어디를 가든지 있다. (조선부 주) 약용 비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주로 저창, 악창, 머리에 생긴 헌데, 백독창, 옴, 가려움증, 풍기 등을 치료하며 오장을 편안하게 하고 열을 내리며 위 속에 잠복된 열, 입이 마르는 것, 소갈, 풍비, 각점등도 치료한다. 법제하면 희어진다. 색이 붉은 것은 잘 낫지 않는 악비증을 치료하는 데 쓴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 일명 송고, 송방이라고도 한다. 산골에 있으며 음력 6월에 채취한다.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맛은 쓰고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없다. 풍비와 한기로 몸이 허해지면서 기운이 약해진 것을 치료하며 허한 것을 보한다. 음력 9월에 따서 그늘에 말린다.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성질이 따뜻하다. 온몸 관절에 생긴 오랜 풍증, 풍허증, 다리가 저리고 아픈 것 등을 치료한다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향약집성방 낟알대신 먹으면 배고프지 않는다. 송진을 법제하는 방법과 같이 송근백피(松根白皮) 법제방법이 복식방에 씌어 있다. 즉 상목 잿물이나 술에 넣고 삶은 다음 찬물에 수십 번 담가 씻어서 희고 매끈매끈하게 해서 쓴다. 저절로 흘러나온 송진이 나무에 흠집을 내서 흘러나온 송진보다 더 좋다. 송실은 많이 얻을 수 없고 송엽은낟알대신 먹을 수 있다. 즉 좁알처럼 잘게 썰어서 물이나 국수물에 타 먹거나 그늘에 말리어 가루내서 환약을 만들어 먹는다. 모진 병에 걸린 사람도 먹으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 또 병을 오래 앓아 다리가 몹시 약해졌을 때 송절을 두고 술을 만들어 마시면 낫는다. 소나무나 잣나무에는 기름이 있기 때문에 겨울에도 마르지 않고 잎이 떨어지지 않으므로 좋다.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흔히 사람들은 이것을 홀시한다. (도은거) 송화를 송황이라고도 한다. 꽃을 털어서 쓰는데 마치 포황 비슷하다. 송화가루를 술에 타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병치료효과도 껍질이나 잎, 송진보다 좋다. 솔씨는 맛이 달다. (당본주) 송진은 사약으로 쓰이며 맛은 달고 성질은 평하다. 벌레를 죽이는 데도 쓴다. 귀머거리도 치료하고 벌레먹은 이빨구멍에 조금 넣고 떨어지지 않게 물고 있으면 벌레가 죽는다. 또한 피고름이 나오는 여러 가지 헌데에 붙이기도 하며 달여서 고약을 만들어 쓰면 새살이 잘 살아나고 통증이 멎으며 풍이 없어진다. (약성론) 한 곳에 5잎이 나서 비녀와 같은 것을 5립송이라 하는데 도가에서는 이것을 낟알대신으로 먹었다. 씨는 파두같다. 이것은 때로 신라에서 가져온다. (소병) 송진을 쓸 때 유향처럼 맑고 덩이진 것이 좋은 것이다. 도인들은 혹 복령, 송실, 해송자, 감국을 섞어 환약을 만들어 먹었다. 법제하는 방법은 큰 솥에 물을 붓고 시루를 놓은 다음 시루밑바닥에 띠를 깔고 그 위에 모래를 1치 두께로 편다. 다음 그 위에 송진을 펴고 상목으로 불을 때어 송진이 시루밑 솥에 다 흘러내리게 한다. 이때 솥안의 물이 줄면 더 넣는다. 다 흘러내리면 이것을 꺼내어 찬물을 넣는다. 굳어지면 또 같은 방법으로 흘러내리게 한 다음 찬물에 넣기를 3번 거듭하면 옥처럼 희어진다. 이렇게 법제한 것을 약에 넣거나 이 한 가지만을 먹기도 한다. 씨와 뿌리의 속껍질도 옛날에는 먹는 법이 있었으나 지금은 흔히 솔씨로 과자를 만들어 먹을 뿐 약에 넣는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다. 송화가루를 송황이라 하는데 제철에 털어서 끓는물에 타 먹으면 몸에 좋다. 다만 오래 두지 못하기 때문에 먼 곳에 보내지 못한다. 또는 소나무가지를 태우면서 가지의 양끝에서 흘러내리는 즙을 송예라고 하는데 이것은 소나 말의 헌데에 쓴다. 껍질겉에 돋은 푸른 것을 애납향이라 하는데 이것을 여러 가지 향에 섞어서 태우면 연기가 흩어지지 않는다. 의학책들의 소나무조항에 5립이라고 쓴 것은 본래 "엽"자인데 "입"자로 잘못 된 것이다. 5갈기가 한잎으로 된다. 혹은 2갈기나 7갈기인 것도 있다. 장기간 자란 소나무에는 씨가 많을 수 있다. (도경) 약용-목부상품 비공개
    식료찬요 추락타박손상 타박(打撲)으로 상처가 생긴 것을 치료하려면 송절(松節: 소나무 마디)을 술에 넣고 달여 복용한다.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944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01644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경상남도 양산... 천성산 / 2008-07-16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634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강원도 인제군... 대암산 / 2007-07-2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6728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17045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고창... / 2007-05-05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399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경상북도 상주... 노음산 / 2005-05-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충청북도 영동... 백하산 / 2004-04-0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1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익산... 천호산 / 1997-07-2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익산... 천호산 / 1997-05-13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 / 1994-09-07 건조표본 1건
    NIBRVP0000035404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충청남도 태안... / 2005-10-19 건조표본 1건

    소재 (총57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0028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424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425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527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528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조직 1건
    NIBRGR000010059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동... . / 2009-03-15 DNA 1건
    NIBRGR0000100593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서울특별시 강... 대모산 / 2008-10-09 DNA 1건
    NIBRGR0000101082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강원도 강릉시... 기마산 / 2010-08-24 조직 1건
    NIBRGR0000104186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강원도 강릉시... 기마산 / 2010-08-24 조직 1건
    NIBRGR0000104560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소나무 경상남도 고성... 송구산 / 2010-05-27 조직 1건
  • 염기서열 (2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소나무 rbcL rbcL_1F/rbcL_724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이선미(SeonMi Lee), 명현호(HyeonHo Myeong) (2015) 태안해안국립공원 식생 현황과 공간분포 특성. 생태와 환경 48 (2) : 122 – 128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안기리 태안해안국립공원 ( 20140400 )
    • 이정윤(JungYun Lee), 오장근(JangGeun Oh), 정세훈(SeHoon Jung), 김하송(HaSong Kim) (2015) 월악산국립공원 금수산 및 도락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생태와 환경 48 (2) : 129 – 138

      월악산국립공원 ( 20140500 )
    • Chung Y-J, Lee J-H, Lee B-Y (1997) Distribution of pine needl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Diptera: Cecidomyiidae), infestations on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6 : 150 – 155

      한국 강원도 ( )
    • Yu J-P, Hahm K-H (1997) Breeding ecology of the black-crowned night heron in Korea..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0 : 269 – 278

      경상남도 ( )
    • Kaczmarek S, Lee JH (2000) Gamasida (Acari) in the soil of some forest habitats in South Korea..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3 : 293 – 302

      한국 ( )
    • Kim J-J, Lim YW, Breuil C, Wingfield MJ, Zhou XD, Kim G-H (2005) A new Leptographium species associated with Tomicus piniperda infesting pine logs in Korea.. Mycological Research 109 : 275 – 284

      한국 ( )
    • Choi BM, Park KS (1991)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 (Formicidea Formicidae ) in Korea (6). The vegetati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the colony density of ants in Mt. Namsan, Seoul..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0 : 65 – 79

      한국 ( )
    • Kyu Chin K, Kwang In O (1992) Bionomics, host range & analysis of damage aspects on the black pine bast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coidea), in the coastal area of southwest Kore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31 : 386 – 395

      한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