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bookmark_add Lagenaria siceraria (Molina) Standl.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0건)

    등록된 동영상이 없습니다.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24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소문사설 돼지 살찌우는 법[肥猪法] 길이가 3~4배인 표주박의 속도 괜찮다. 농사용, 기타 비공개
    농정서 이아: “호(瓠)는 서판(棲瓣)이다.” 「천금월령(千金月令)」: “동짓날에 호로(葫蘆)를 가져다 파뿌리와 줄기에서 즙을 내어 그릇에 담아서 뜰 가운데 묻어두었다가 하지에 열어보면다 물이 되어있다. 여기에 금(金)․옥(玉)․은(銀)․석청(石靑: 푸른 물감)을 각각 3푼씩 담그면 저절로 녹는다. 이 물을 햇볕에 쬐어 엿처럼 말린다. 음식을 먹지 않고 오래 복용해도 된다. 이것을 금액장(金液漿)이라고 부른다.” 범승지서「박 심는 법」: “3월에 좋은 밭 10묘를 갈아서 구덩이[區]를 만든다. 구덩이는 사방 1자, 깊이 1자로 파서, 바닥을 달구[杵]로 다져서 단단하게 쌓아서 수분을 지니게 한다. 구덩이 사이는 1보(步) 정도 거리를 띄운다. 1구덩이마다 박씨 4알을 심고, 잠분(蠶糞) 1말을 토분(土糞: 흙과 섞은 거름)과 섞어놓는다. 구덩이마다 물 2되를 대주되 마른 곳은 다시 물을 대준다. 1그루에 열매 3개가 생기면 말채찍으로 그 덩굴가지 끝을 내리쳐서 덩굴이 뻗지 않게 하는데, 열매가 많이 열리면 가늘고 작아지기 때문이다. 마른 거적을 열매 아래에 두어서 흙에 닿아 상처가 많이 나지 않게 한다. 박을 만들 크기를 헤아려 손으로 그 열매를 꼭지에서 밑동까지 한 번 문질러 열매의 겉에 난 털을 없애면, 다시 길어지지 않고 두툼하게 자란다. 8월에 서리가 조금 내리면 거두어들인다. 땅을 1장 깊이로 파고, 구덩이 바닥과 사변을 각각 1자 두께인 거적으로 덮는다. 거두어들인 박을 그 안에 놓아두는데 밑동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박 1층에 흙을 2자 두께로 위에 덮는다. 20일 뒤에 꺼내면 황색이 되는데 다 변하면 쪼개서 표주박[瓢]을 만든다. 그 중에 하얀 속살은 돼지를 먹여 기르면 살이 찐다. 박씨로 초를 만들어 불을 밝힐 수 있다. 1그루에 열매가 셋이면 1묘에 2천 8백 80개를 얻으므로, 10묘에서 대개 5만 7천 6백 개의 표주박[瓢: 반씩 쪼개므로 2배임]을 얻는다. 표주박은 값이 10전이므로 모두 57만 6천 문이 된다. 잠분은 2백 섬을 쓰고, 소가 밭을 가는 공과 사람의 힘은 2만 6천 문의 값이 되므로 나머지는 55만 전이다. 살찐 돼지와 불 밝힌 초의 이익은 또 따로 있다.” 또,: “박 구종 법: 종자를 거둘 때는 큰 열매라야 한다. 만약 먼저 1말 분량이면 1섬을 거둘 수 있고, 1섬 분량이면 10섬을 거둘 수 있다. 먼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 때 사방과 깊이를 3자씩 파서 잠분[蠶沙]과 진흙을 서로 반씩 섞어서,만약 분이 없으면 생 우분(牛糞)을 써도 된다. 구덩이에 넣고 밟아서 단단하게 하고 물을 대준다. 물이 다 스며들기를 기다려 박씨 10알을 심고 다시 앞에 말한 거름으로 덮어준다. 싹이 나와서 길이가 2자 남짓 자라면 곧 10줄기를 한곳에 모아 묶어서 헝겊으로 감싸놓는다. 5자 남짓 자라면 다시 진흙으로 발라놓는다. 며칠 지나지 않아서 싸맸던 곳이 합해져서 1줄기가 된다. 강한 것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뽑아버린다. 덩굴을 당겨 열매가 맺혔는가 보아서, 열매를 맺지 않은 가지는 모두 뽑아버려 이리저리 뻗어나가지 않게 한다. 처음 생긴 2~3개는 좋지 않으므로 버리고 4~6번째에 달린 것을 취한다. 씨앗 3개에서 나온 줄기를 남기면 충분하다. 가물 때는 물을 대주어야 하는데, 구덩이 두둑의 둘레에 작은 도랑을 두르고 깊이를 4~5치 정도로 파서 물을 남겨서 멀리서 윤기를 주어야지, 구덩이 속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게 해서는 안 된다.” 농상통결: “대개 박을 심는 것은 오이 심는 법처럼 하여 덩굴이 자라면 시렁을 만들어 이끌어준다.” 사시류요: “대호로(大葫蘆)를 심는 것은 2월초에 땅을 파고 구덩이를 만들어, 사방 4~5자를 파고 깊이도 같은 치수로 파서 참깨나 녹두의 짚이나 썩은 풀 등으로 메운다. 분토(糞土: 썩은 흙)를 1겹 깔고 풀을 1겹 까는것으로 4~5겹을 만든다. 위에 1자 남짓 분토를 깔고 씨앗 10여 알을 심어서 싹이 나오기를 기다렸다가 기름지고 좋은 것으로 4줄기를 가려낸다. 기름진 것 2줄기끼리 서로 붙이는데 붙일 곳은 대나무 칼로 껍질의 반을 깎아내고, 깎아낸 곳을 서로 붙여서 삼 껍질로 묶고 고정시킨다. 누런 진흙으로 봉하여 싸매는데 나무 접붙이는 법처럼 한다. 서로 붙어서 살아나기를 기다렸다가 각기 머리를 하나 제거하고 또 살아있는 것 2줄기를 취하여, 앞에서 껍질을 베어내고 서로 붙였던 것을 따르되 앞의 법대로 한다. 살아나기를 기다렸다가 줄기 하나만 남겨두고 4줄기를 합하여 1그루로 만든다. 열매가 열리기를 기다렸다가 반듯하고 큰 것은 가려내고 나머지는 곧 따서 먹는다. 이처럼 1말을 심으면 1섬을 담게 된다.” 또,: “대개 거두어들이고 심는 것은 9월에 누렇게 익을 때 따서 쪼개어 물에 씻어서 건지는데 뜨는 것은 버리고 햇볕에 쬐어 말린다. 2월이 되면 아욱 심는 법처럼 심는다. 항상 윤택하게 물을 대어주고 가물면 말라죽으므로 잎이 4~5개 나와서 높이가 5치 남짓하게 되면 흙을 붙인 채로 옮겨 심는다.” 식용 비공개
    농정서 이아: “호(瓠)는 서판(棲瓣)이다.” 「천금월령(千金月令)」: “동짓날에 호로(葫蘆)를 가져다 파뿌리와 줄기에서 즙을 내어 그릇에 담아서 뜰 가운데 묻어두었다가 하지에 열어보면 다 물이 되어있다. 여기에 금(金)․옥(玉)․은(銀)․석청(石靑: 푸른 물감)을 각각 3푼씩 담그면 저절로 녹는다. 이 물을 햇볕에 쬐어 엿처럼 말린다. 음식을 먹지 않고 오래 복용해도 된다. 이것을 금액장(金液漿)이라고 부른다.” 식용 비공개
    농정서 박 층에 흙을 2자 두께로 위에 덮는다. 20일 뒤에 꺼내면 황색이 되는데 다 변하면 쪼개서 표주박[瓢]을 만든다. 그 중에 하얀 속살은 돼지를 먹여기르면 살이 찐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농정서 박씨로 초를 만들어 불을 밝힐 수 있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농_박 큰 호로를 허리에 매고 물을 건너면 익사를 면할 수 있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구급_버섯독 박속[瓠瓤] 태운 재를 물에 타서 먹인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식기(食忌 음식 금기) 토란, 복숭아, 대추〔棗〕, 씨가 여물지 않은 과일, 붕어와 돼지 간을 합해 먹는 것, 돼지 간과 오골계를 합해 먹는 것, 닭고기, 술, 국수〔麵〕, 다섯 가지 매운 향신료, 범가죽이나 표범가죽, 굽고 지지고 볶은 것, 날 것이나 기름진 것, 소고기, 양고기, 거위고기, 고니고기, 기러기고기, 참새고기, 원앙고기, 비둘기고기, 꿩고기, 노루고기, 사슴고기, 곰고기, 토끼고기, 돼지고기, 개고기, 잡어, 자라, 새우, 게, 오이, 가지, 고수, 여뀌, 겨자, 버섯, 박, 오얏, 능금, 살구, 배, 홍시, 앵두, 개암, 잣, 능금. 약용 비공개
    고사신서 버섯 독을 다스릴 때 버섯 독을 다스리는 데에는 박속(瓢子)을 태운 재를 물에 타서 마시면 매우 효험이 뛰어나다. 기타 비공개
    구급간이방 두통(頭痛)_머리 앓음이다. 쓴 조롱박 씨를 찧어 가늘게 쳐 조금 콧구멍에 불면 그 아픔이 즉시 그칠 것이니 왼쪽이 아프거든 왼쪽 코에 불고 오른쪽이 아프거든 오른쪽 코에 불라.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24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소문사설 돼지 살찌우는 법[肥猪法] 길이가 3~4배인 표주박의 속도 괜찮다. 농사용, 기타 비공개
    농정서 이아: “호(瓠)는 서판(棲瓣)이다.” 「천금월령(千金月令)」: “동짓날에 호로(葫蘆)를 가져다 파뿌리와 줄기에서 즙을 내어 그릇에 담아서 뜰 가운데 묻어두었다가 하지에 열어보면다 물이 되어있다. 여기에 금(金)․옥(玉)․은(銀)․석청(石靑: 푸른 물감)을 각각 3푼씩 담그면 저절로 녹는다. 이 물을 햇볕에 쬐어 엿처럼 말린다. 음식을 먹지 않고 오래 복용해도 된다. 이것을 금액장(金液漿)이라고 부른다.” 범승지서「박 심는 법」: “3월에 좋은 밭 10묘를 갈아서 구덩이[區]를 만든다. 구덩이는 사방 1자, 깊이 1자로 파서, 바닥을 달구[杵]로 다져서 단단하게 쌓아서 수분을 지니게 한다. 구덩이 사이는 1보(步) 정도 거리를 띄운다. 1구덩이마다 박씨 4알을 심고, 잠분(蠶糞) 1말을 토분(土糞: 흙과 섞은 거름)과 섞어놓는다. 구덩이마다 물 2되를 대주되 마른 곳은 다시 물을 대준다. 1그루에 열매 3개가 생기면 말채찍으로 그 덩굴가지 끝을 내리쳐서 덩굴이 뻗지 않게 하는데, 열매가 많이 열리면 가늘고 작아지기 때문이다. 마른 거적을 열매 아래에 두어서 흙에 닿아 상처가 많이 나지 않게 한다. 박을 만들 크기를 헤아려 손으로 그 열매를 꼭지에서 밑동까지 한 번 문질러 열매의 겉에 난 털을 없애면, 다시 길어지지 않고 두툼하게 자란다. 8월에 서리가 조금 내리면 거두어들인다. 땅을 1장 깊이로 파고, 구덩이 바닥과 사변을 각각 1자 두께인 거적으로 덮는다. 거두어들인 박을 그 안에 놓아두는데 밑동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박 1층에 흙을 2자 두께로 위에 덮는다. 20일 뒤에 꺼내면 황색이 되는데 다 변하면 쪼개서 표주박[瓢]을 만든다. 그 중에 하얀 속살은 돼지를 먹여 기르면 살이 찐다. 박씨로 초를 만들어 불을 밝힐 수 있다. 1그루에 열매가 셋이면 1묘에 2천 8백 80개를 얻으므로, 10묘에서 대개 5만 7천 6백 개의 표주박[瓢: 반씩 쪼개므로 2배임]을 얻는다. 표주박은 값이 10전이므로 모두 57만 6천 문이 된다. 잠분은 2백 섬을 쓰고, 소가 밭을 가는 공과 사람의 힘은 2만 6천 문의 값이 되므로 나머지는 55만 전이다. 살찐 돼지와 불 밝힌 초의 이익은 또 따로 있다.” 또,: “박 구종 법: 종자를 거둘 때는 큰 열매라야 한다. 만약 먼저 1말 분량이면 1섬을 거둘 수 있고, 1섬 분량이면 10섬을 거둘 수 있다. 먼저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 때 사방과 깊이를 3자씩 파서 잠분[蠶沙]과 진흙을 서로 반씩 섞어서,만약 분이 없으면 생 우분(牛糞)을 써도 된다. 구덩이에 넣고 밟아서 단단하게 하고 물을 대준다. 물이 다 스며들기를 기다려 박씨 10알을 심고 다시 앞에 말한 거름으로 덮어준다. 싹이 나와서 길이가 2자 남짓 자라면 곧 10줄기를 한곳에 모아 묶어서 헝겊으로 감싸놓는다. 5자 남짓 자라면 다시 진흙으로 발라놓는다. 며칠 지나지 않아서 싸맸던 곳이 합해져서 1줄기가 된다. 강한 것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뽑아버린다. 덩굴을 당겨 열매가 맺혔는가 보아서, 열매를 맺지 않은 가지는 모두 뽑아버려 이리저리 뻗어나가지 않게 한다. 처음 생긴 2~3개는 좋지 않으므로 버리고 4~6번째에 달린 것을 취한다. 씨앗 3개에서 나온 줄기를 남기면 충분하다. 가물 때는 물을 대주어야 하는데, 구덩이 두둑의 둘레에 작은 도랑을 두르고 깊이를 4~5치 정도로 파서 물을 남겨서 멀리서 윤기를 주어야지, 구덩이 속으로 물이 흘러 들어가게 해서는 안 된다.” 농상통결: “대개 박을 심는 것은 오이 심는 법처럼 하여 덩굴이 자라면 시렁을 만들어 이끌어준다.” 사시류요: “대호로(大葫蘆)를 심는 것은 2월초에 땅을 파고 구덩이를 만들어, 사방 4~5자를 파고 깊이도 같은 치수로 파서 참깨나 녹두의 짚이나 썩은 풀 등으로 메운다. 분토(糞土: 썩은 흙)를 1겹 깔고 풀을 1겹 까는것으로 4~5겹을 만든다. 위에 1자 남짓 분토를 깔고 씨앗 10여 알을 심어서 싹이 나오기를 기다렸다가 기름지고 좋은 것으로 4줄기를 가려낸다. 기름진 것 2줄기끼리 서로 붙이는데 붙일 곳은 대나무 칼로 껍질의 반을 깎아내고, 깎아낸 곳을 서로 붙여서 삼 껍질로 묶고 고정시킨다. 누런 진흙으로 봉하여 싸매는데 나무 접붙이는 법처럼 한다. 서로 붙어서 살아나기를 기다렸다가 각기 머리를 하나 제거하고 또 살아있는 것 2줄기를 취하여, 앞에서 껍질을 베어내고 서로 붙였던 것을 따르되 앞의 법대로 한다. 살아나기를 기다렸다가 줄기 하나만 남겨두고 4줄기를 합하여 1그루로 만든다. 열매가 열리기를 기다렸다가 반듯하고 큰 것은 가려내고 나머지는 곧 따서 먹는다. 이처럼 1말을 심으면 1섬을 담게 된다.” 또,: “대개 거두어들이고 심는 것은 9월에 누렇게 익을 때 따서 쪼개어 물에 씻어서 건지는데 뜨는 것은 버리고 햇볕에 쬐어 말린다. 2월이 되면 아욱 심는 법처럼 심는다. 항상 윤택하게 물을 대어주고 가물면 말라죽으므로 잎이 4~5개 나와서 높이가 5치 남짓하게 되면 흙을 붙인 채로 옮겨 심는다.” 식용 비공개
    농정서 이아: “호(瓠)는 서판(棲瓣)이다.” 「천금월령(千金月令)」: “동짓날에 호로(葫蘆)를 가져다 파뿌리와 줄기에서 즙을 내어 그릇에 담아서 뜰 가운데 묻어두었다가 하지에 열어보면 다 물이 되어있다. 여기에 금(金)․옥(玉)․은(銀)․석청(石靑: 푸른 물감)을 각각 3푼씩 담그면 저절로 녹는다. 이 물을 햇볕에 쬐어 엿처럼 말린다. 음식을 먹지 않고 오래 복용해도 된다. 이것을 금액장(金液漿)이라고 부른다.” 식용 비공개
    농정서 박 층에 흙을 2자 두께로 위에 덮는다. 20일 뒤에 꺼내면 황색이 되는데 다 변하면 쪼개서 표주박[瓢]을 만든다. 그 중에 하얀 속살은 돼지를 먹여기르면 살이 찐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농정서 박씨로 초를 만들어 불을 밝힐 수 있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치농_박 큰 호로를 허리에 매고 물을 건너면 익사를 면할 수 있다. 생활용, 기타 비공개
    산림경제 구급_버섯독 박속[瓠瓤] 태운 재를 물에 타서 먹인다. 약용 비공개
    의림촬요 식기(食忌 음식 금기) 토란, 복숭아, 대추〔棗〕, 씨가 여물지 않은 과일, 붕어와 돼지 간을 합해 먹는 것, 돼지 간과 오골계를 합해 먹는 것, 닭고기, 술, 국수〔麵〕, 다섯 가지 매운 향신료, 범가죽이나 표범가죽, 굽고 지지고 볶은 것, 날 것이나 기름진 것, 소고기, 양고기, 거위고기, 고니고기, 기러기고기, 참새고기, 원앙고기, 비둘기고기, 꿩고기, 노루고기, 사슴고기, 곰고기, 토끼고기, 돼지고기, 개고기, 잡어, 자라, 새우, 게, 오이, 가지, 고수, 여뀌, 겨자, 버섯, 박, 오얏, 능금, 살구, 배, 홍시, 앵두, 개암, 잣, 능금. 약용 비공개
    고사신서 버섯 독을 다스릴 때 버섯 독을 다스리는 데에는 박속(瓢子)을 태운 재를 물에 타서 마시면 매우 효험이 뛰어나다. 기타 비공개
    구급간이방 두통(頭痛)_머리 앓음이다. 쓴 조롱박 씨를 찧어 가늘게 쳐 조금 콧구멍에 불면 그 아픔이 즉시 그칠 것이니 왼쪽이 아프거든 왼쪽 코에 불고 오른쪽이 아프거든 오른쪽 코에 불라. 약용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1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VP0000854930 Lagenaria siceraria (Molina) Standl." / 박 / 2023-02-17 건조표본 1건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