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Mori, 193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Mori, 193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Mori, 1936)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Mori, 1936)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 (조기강) > Siluriformes (메기목) > Bagridae (동자개과) > Pseudobagrus (동자개속) > brevicorpus (꼬치동자개)

메기목 동자개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몸길이는 보통 6~9cm이며, 10cm 이상으로 자라기도 한다. 체형은 짧고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며, 주둥이는 짧고 둥글다. 수염은 네 쌍이 있으며, 꼬리지느러미의 가운데가 약간 안쪽으로 패여 있다. 아가미,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가 끝나는 지점에는 얕은 노란색 반점이 등에서 배 쪽으로 이어져 있으며 꼬리지느러미 시작 부분에는 반달 모양의 옅은 반점이 있다. 물이 맑고 바닥에 자갈이나 큰 돌이 있는 하천의 중상류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밤에 수서 곤충을 먹는다. 낙동강 수계에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 우리나라 고유종 [2]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낙동강의 남강, 회천, 금호강, 감천 등의 하천에서만 서식하고 있다. [2]

  • 수심 30~60cm의 물이 맑고 자갈이나 큰 돌이 있는 하천 중·상류의 유속이 느린 맑은 여울에 주로 서식한다. 야간에 수서 곤충, 갑각류, 어란 등을 주로 먹는다. 산란기는 5~6월이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