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꿩)
[학명이명]
Phasianus karpowi buturlini Clark, 1907
Phasianus karpowi Buturlin, 1904
닭목 꿩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소리는 ‘꿩, 꿩’하고 운다. 5~6월에 한배에서 보통 6~10개 산란한다. 약 21일 만에 새끼가 알에서 깨어난다. 먹이는 나무 열매와 풀씨, 곡물의 낟알, 곤충 등을 먹는다. 한국, 중국 남동부, 일본, 칠레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꼬리가 길고 뾰족한 지상형 조류로 몸 전체의 길이는 수컷이 80cm, 암컷이 60cm이다. 수컷의 눈 주위에 닭의 벼슬 같은 붉은 피부가 겉으로 드러나 있다. 선명한 흰 목테 위는 금속광택의 어두운 녹색이며 목테 아래로는 갈색과 황갈색의 바탕에 어두운 갈색과 검은색의 반점이 흩어져 있다. 발목 뒤에는 ‘며느리발톱’이라고 불리는 날카로운 발톱이 있어 번식기에 암컷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에 사용된다. 암컷은 몸 전체가 수수한 황갈색에 검은색의 얼룩무늬가 있다. 숲 가장자리의 덤불에 살며 대표적인 사냥새로서 주로 걷거나 뛰어서 도망가며, 접근하면 큰 소리를 내면서 날아오른다. 빠른 날갯짓으로 날아올랐다가 미끄러지듯이 내려앉는다. 겨울에는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놀랐을 때 매우 빠르게 달리거나 꿩! 하며 날아오른다. 4~6월경에 야산의 덤불, 숲속의 땅 위에 8~12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암컷을 따라다니며 성장한다.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흑해 연안, 소아시아, 이란, 시베리아, 우수리, 중국, 타이완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흑해 연안, 소아시아, 이란, 시베리아, 우수리, 중국, 타이완 [1]
전국 [1]
-
대표적인 사냥새로서 주로 걷거나 뛰어서 도망가며, 접근하면 큰 소리를 내면서 날아오른다. 빠른 날갯짓으로 날아올랐다가 미끄러지듯이 내려앉는다. 겨울에는 무리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놀랐을 때 매우 빠르게 달리거나 꿩! 하며 날아오른다. 4~6월경에 야산의 덤불숲, 숲속의 땅 위에 8~12개의 알을 낳는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암컷을 따라다니며 성장한다. [1]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사진 (6건)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5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Metagenomic Identification of Novel Eukaryotic Viruses with Small DNA Genomes in Pheasants. [Eszter Kaszab, Krisztina Bali, Szilvia Marton, Krisztina Ursu, Szilvia L Farkas, Enikő Fehér, Marianna Domán, Vito Martella, Krisztián Bányai] Animals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2024 2 Characterization of the pancreas of common pheasant (Phasianus colchicus): A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study. [Asreen Mohammadi, Nader Goodarzi] Microscopy research and technique 2024 3 The effects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morphological development, behavior, and welfare parameters in pheasants (Phasianus colchicus). [Ahmet Uçar] Tropical animal health and production 2023 4 Comparison of Endogenous Alpharetroviruses (ALV-like) across Galliform Species: New Distant Proviruses. [Sergio Fandiño, Esperanza Gomez-Lucia, Laura Benítez, Ana Doménech] Microorganisms 2023 5 Multiple behavioural, morpholog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changes arise from a single alteration to early life spatial environment, resulting in fitness consequences for released pheasants. [Mark A Whiteside, Rufus Sage, Joah R Madden] Royal Society open science 2016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69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구전 약용 야생에서 잡은 꿩을 삶아 먹으면 소아가 홍진에 걸렸을 때 치료 효과가 있다. 2 구전 약용 산에서 잡은 꽁(꿩)을 소아에게 홍진이 있을 때 사용한다. 3 구전 식용 산에서 잡은 꿩으로 탕을 끓여서 먹는다. 4 구전 식용 꿩의 살을 발라 장으로 해 먹거나 머리와 뼈를 푹 고은 후 국물과 된장을 넣고 조려 꿩장을 만들어 먹는다. 5 구전 약용 산에서 산꿩(꿩)을 잡아 삶아 먹이면 아이가 홍진에 걸렸을 때 열이 떨어진다. 6 구전 식용 야생에서 덫을 놓아 잡은 꿩을 뼈째 다져서 만두를 만들어 먹는다. 7 문헌 약용 산저, 치육, 백자, 진자, 포도, 미호도, 산약, 타락죽, 녹두죽 8 문헌 기타 해점, 율무, 마늘, 생강, 비늘 없는 생선, 당나귀고기, 참새고기, 양의 간, 거위, 오리, 오디, 해바라기, 배, 닭고기, 달걀, 잉어회, 찹쌀, 복숭아씨, 죽, 꿩, 자라, 자박(불에 굽거나 말린 것), 오신, 훈취(향기와 악취) 등을 피한다. 제자리가 아닌 곳에는 대변과 소변을 보지 않는다. 산후에는 술, 밀가루, 매운 것, 뜨거운 것, 닭, 양, 날것, 찬 것, 신 것, 단 것 등을 피한다. 9 문헌 식용 날 꿩고기와 도라지와 노루고기와 생선과 계란과 오이지[瓜菹], 간장을 넣고 국을 끓여 쓴다. 10 문헌 식용 냉이[羅是]와 석이버섯[石耳]과 날 꿩고기와 노루고기와 계란을 합하여 장물[醬水]에 넣어 국을 끓여 쓴다. -
표본 (총38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AV0000100064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65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66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67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68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서울특별시 동... 홍릉 / 1990-12-1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69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70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71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대한민국 / 1000-01-01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072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제주특별자치도... 수악교 / 1981-11-22 진박제표본 1건 NIBRAV0000100622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서울특별시 관... 관악산 / 2007-10-03 냉동표본 1건 소재 (총50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24286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87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88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89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90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91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92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93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94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NIBRGR0000124295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 꿩 인천광역시 서... / 2008-07-11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꿩 COI PolyLCO_F/PolyHCO_R 국립생물자원관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꿩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Phasianus colchicus Linnaeus, 1758 꿩 COI PolyLCO_F/PolyHCO_R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7) 암사동 생태경관 보전지역의 조류현황(2003-2005).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11 – 19
암사동 생태보전지역 (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7) 진관내동 생태경관 보전지역의 조류현황(2003-2005).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21 – 28
진관내동 생태보전지역 ( ) -
정훈 ( Hoon Chung ) , 권영수 ( Young Soo Kwon ) (2007) 팔당호 일대의 조류 분포 및 번식 실태.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37 – 42
팔당호 (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권영수 ( Young Soo Kwon ) (2004) 한강하류에 서식하는 조류의 분포 및 서식처 연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9 (1) : 35 – 47
한강하류 ( ) -
권영수 ( Young Soo Kwon ) , 이현숙 ( Hyun Sook Lee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2004)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대의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9 (1) : 49 – 57
한강 (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4) 진관내동 생태계보전지역의 조류 현황.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9 (1) : 59 – 66
진광내동 생태계보전지역 ( ) 진광내동 생태계보전지역 ( 20020000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4) 암사동 생태계보전지역의 조류 현황.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9 (1) : 67 – 75
암사동 생태계보전지역 ( 20030000 ) -
김정수(Jung Soo Kim),김성지(Sung Ji Kim),구태회(Tae Hoe Koo) (2002) 광덕산 일대의 서식지에 따른 조류분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8 (1) : 35 – 42
광덕산 ( ) -
원병오(Won Pyong Oh),박진영(Park Jin Young),김은영(Kim Eum Young),김화정(Kim Hwa Jung) (1993) 한강의 수조류 조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4 (0) : 83 – 94
밤섬 ( ) -
Kim J-H, Nam H-K, Fulton GR, Yoo J-c (2006) Egg retrieval as a source of nests with supernormal and mixed egg clutch in little terns Sterna albifrons..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 : 545 – 550
충남 홍성군 서부면 간월호 내의 모래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