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종 상세정보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뻐꾸기)
[학명이명]
Cuculus canorus telephonus Heine, 1863
두견목 두견과에 속하는 조류이다. 몸길이는 32-36cm이다. 암수의 색깔은 비슷하고, 수컷이 암컷보다 약간 크다. 눈과 눈테가 노란색이다. 윗면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띤 회색이며, 날개 끝과 꼬리는 옅은 검은색이다. 아랫면은 머리에서 가슴까지 검은색을 띤 회색이며, 배와 그 아랫부분은 흰색 바탕에 옅은 검은색의 가는 가로줄 무늬가 있다. 낮은 지대의 산지, 넓게 트인 개활지, 농경지, 주택지에 살며, 1년에 10~20개의 알을 낳으며, 다른 종의 둥지에 1개씩 탁란한다. 탁란할 때는 숙주의 알 1개를 먼저 제거하고, 자신의 알을 탁란한다. 한국에 도래하는 뻐꾸기 알의 색깔은 파란색이기 때문에, 붉은머리오목눈이의 흰색 알의 둥지와 파란색 알의 둥지 중, 주로 파란색 알의 둥지에 탁란한다.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유라시아의 온대-아한대, 아프리카 중부-남부, 동남아시아, 수마트라, 보르네오, 일본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유라시아의 온대-아한대, 아프리카 중부-남부, 동남아시아, 수마트라, 보루네오, 일본 [3]
전국 [3]
-
뻐꾸기가 주로 탁란하는 종은 붉은머리오목눈이, 멧새로 알려져 있다. 5월 초부터 울기 시작하며, 나무꼭대기나 전깃줄에 앉아 울거나 날아가면서 울기도 한다. 흔히 알려져 있는 ‘뻐꾹 뻐꾹’하는 소리를 반복한다. 울음소리 초입부나 사이에 ‘꾸 꾸루룩’하는 소리를 작게 내기도 한다. [2]
1년에 10~20개의 알을 낳으며, 다른 종의 둥지에 1개씩 탁란한다. 탁란할 때는 숙주의 알 1개를 먼저 제거하고, 자신의 알을 탁란한다. 한국에 도래하는 뻐꾸기 알의 색깔은 파란색이기 때문에, 붉은머리오목눈이의 흰색 알의 둥지와 파란색 알의 둥지 중, 주로 파란색 알의 둥지에 탁란한다. [3]
-
[1] 국립생물자원관(2022), 생물다양성 디지털 정보 구축 및 관리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새소리
[3]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GBIF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
효능예측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화학기호 효능예측정보 화학식 CAS번호 분자량 관련된 효능예측정보가 없습니다. 효능실험정보 (총 0건)
효능실험정보 No. 효능분류 시험분류 실험제목 관련된 효능실험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총 2건)
논문 No.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1 Quintuple parasitism of a great reed warbler nest by common cuckoos. [Attila Marton] Ecology and evolution 2021 2 Egg rejection in blackbirds Turdus merula: a by-product of conspecific parasitism or successful resistance against interspecific brood parasites? [Francisco Ruiz-Raya, Manuel Soler, Gianluca Roncalli, Teresa Abaurrea, Juan Diego Ibáñez-Álamo] Frontiers in zoology 2016 특허 (총 0건)
특허 No. 출원명 발명자 출원일자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구전) (총 1건)
전통지식(문헌/구전) No. 구분 이용용도 이용지식 1 문헌 문화용 5월 5일에 뻐꾹새를 잡아 다리와 머리뼈를 차고 다니면 불화한 자가 서로 사랑하게 된다. -
표본 (총2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AV0000100577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광주광역시 광... 어등산 / 2007-06-10 냉동표본 1건 NIBRAV0000102676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인천광역시 중... / 2012-05-20 가박제표본 1건 소재 (총34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NIBRGR0000128462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3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4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5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6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7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8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69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70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NIBRGR0000128471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 뻐꾸기 충청북도 옥천... / 2011-02-22 조직 1건 -
염기서열 (3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뻐꾸기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뻐꾸기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Cuculus canorus Linnaeus, 1758 뻐꾸기 COI jgLCO1490/COI-E 국립생물자원관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0건)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7) 진관내동 생태경관 보전지역의 조류현황(2003-2005).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10 (1) : 21 – 28
진관내동 생태보전지역 ( ) -
권영수 ( Young Soo Kwon ) , 이현숙 ( Hyun Sook Lee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2004) 한강 강서습지생태공원 일대의 조류.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9 (1) : 49 – 57
한강 ( ) -
유정칠 ( Jeong Chil Yoo ) , 최유성 ( Yu Seong Choi ) (2004) 진관내동 생태계보전지역의 조류 현황.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9 (1) : 59 – 66
진광내동 생태계보전지역 ( ) 진광내동 생태계보전지역 ( 20020000 ) -
김정수(Jung Soo Kim),김성지(Sung Ji Kim),구태회(Tae Hoe Koo) (2002) 광덕산 일대의 서식지에 따른 조류분포. Bulletin of Korea Institute of Ornithology 8 (1) : 35 – 42
광덕산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