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늑대 bookmark_add Canis lupus coreanus

식육목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이다. 꼬리를 항상 밑으로 늘어뜨리고 있는 점이 개와 다르다. 다리는 길고 굵다. 코는 넓은 머리에 비하면 길고 뾰족하게 보이며 이마도 넓고 다소 경사졌다. 눈은 비스듬히 붙어 있고 귀는 항상 빳빳이 일어서 있으며 밑으로 늘어지지 않는다. 서식하고 있는 지방의 기후, 풍토에 따라 털의 밀도, 색채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나타난다. 깊은 산림보다는 개활지를 선호한다. 1회에 5~1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우리나라 북부 및 중부에 분포한 기록이 있으나 멸종한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과 몽골에 분포한다. [저작재산권자]

  • 해외에는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2]

    국내에는 한반도 중·북부지방, 황해도 평산, 경북 청송면, 지보면, 삼척, 문경, 수안보에서의 서식기록이 있다. [2]

  • 자기 몸의 크기에 비해 매우 강하여 염소와 같은 동물을 잡아 물고 달아나는데 사람이 도저히 따를 수 없을 정도로 빠르다. 먹이는 사슴류, 멧토끼, 동물의 사체, 조류 등을 즐겨 먹으며, 과실류도 취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짝짓기는 1~2월이며, 이때에는 군집하여 암컷을 추적한다. 일부일처제로 암컷은 1마리의 수컷을 선택하여 짝짓기한다. 임신 기간은 60~62일로, 4~6월에 5~10마리의 새끼를 낳는 것으로 알려졌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반도의생물다양성시스템고도화

    [2] 국립생물자원관(2018), 한눈에 보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해당 종은 분포지역 조회 서비스가 불가능합니다.

지도 예시 이미지
  •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Rank
    Status
    Distributions
    Published in
    Description
    Citation
    Scientific name
    Classification
    SpecificEpithet
    Rank
    Status
    Authorship
    Genus
    Link
  • 그림 (0건)

    등록된 그림이 없습니다.

    동영상 (1건)

    소리 (0건)

    등록된 소리가 없습니다.
  •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용재총화 기타 비공개
    고사십이집 제기품식 (祭器品式) <대사 (大祀)> 두(豆) 12개는 오른쪽에 놓는다. 나무로 만든다. 두의 높이와 깊이와 둘레직경은 모두 변(籩)처럼 만들고 덮개가 있다. 두에 구저(韭菹: 부추김치) · 육장[醢醢] · 청저(靑菹: 풋김치) · 녹해(鹿醢) · 근저(芹菹: 미나리김치) · 토해(兎醢)를 담아 남북으로 오른쪽 안쪽의 첫 번째 줄에 진열한다. 순저(筍菹) · 어해(魚醢: 생선으로 담근 젓갈) · 비탁(脾柝: 소의 처녑) · 돈박(豚拍: 돼지의 겨드랑이 살) · 이식(酏 食) · 삼식(糝食)을 남북으로 오른쪽 바깥쪽의 두 번째 줄에 진열한다. 구저(韭菹)는 뿌리와 잎을 잘라내고 가운데 4치 정도를 취하여 김치를 담근다. 육장[醯醢]은 말린 고기를 썰어 소금 밀가루와 섞어 담그고 맛좋은 술을 발라 질장구[缻 ]속에 넣어 100일이면 만들어지는 것이다. 비석 (脾析)은 우백엽(牛百葉: 소의 처녑)이다. 돈박(豚拍)의 박(拍)은 박(膊)과 통하며 돼지의 겨드랑이와 어깨를 말하는 것이다. 비석과 돈박은 모두 회[塵]를 떠서 두(豆)에 올린다. 이식(酏 食)은 속에 이리의 가슴 비계기름[狼斶 膏]을 잘게 썰어 넣고 쌀[稻米]과 함께 죽[銜]을 끓인 것이라고 한다. 지금의 기름진 고기죽[膏銜]과 같다. 삼식(糝食)은 소 · 양 · 돼지의 고기를 잘게 썰어 쌀과 섞어 과자를 만들어 지진 것이다. 문화용 비공개
    패관잡기 기타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논문명 저자 저널명 발행년도 비고
    관련된 논문정보가 없습니다.

    특허 (0건)

    특허
    출원명 발명자 출원년도 비고
    관련된 특허정보가 없습니다.

    전통지식(문헌) (1건)

    전통지식(문헌)
    문헌명 전통지식(문헌)조사내용 번역문 용도 열람등급
    용재총화 기타 비공개
    고사십이집 제기품식 (祭器品式) <대사 (大祀)> 두(豆) 12개는 오른쪽에 놓는다. 나무로 만든다. 두의 높이와 깊이와 둘레직경은 모두 변(籩)처럼 만들고 덮개가 있다. 두에 구저(韭菹: 부추김치) · 육장[醢醢] · 청저(靑菹: 풋김치) · 녹해(鹿醢) · 근저(芹菹: 미나리김치) · 토해(兎醢)를 담아 남북으로 오른쪽 안쪽의 첫 번째 줄에 진열한다. 순저(筍菹) · 어해(魚醢: 생선으로 담근 젓갈) · 비탁(脾柝: 소의 처녑) · 돈박(豚拍: 돼지의 겨드랑이 살) · 이식(酏 食) · 삼식(糝食)을 남북으로 오른쪽 바깥쪽의 두 번째 줄에 진열한다. 구저(韭菹)는 뿌리와 잎을 잘라내고 가운데 4치 정도를 취하여 김치를 담근다. 육장[醯醢]은 말린 고기를 썰어 소금 밀가루와 섞어 담그고 맛좋은 술을 발라 질장구[缻 ]속에 넣어 100일이면 만들어지는 것이다. 비석 (脾析)은 우백엽(牛百葉: 소의 처녑)이다. 돈박(豚拍)의 박(拍)은 박(膊)과 통하며 돼지의 겨드랑이와 어깨를 말하는 것이다. 비석과 돈박은 모두 회[塵]를 떠서 두(豆)에 올린다. 이식(酏 食)은 속에 이리의 가슴 비계기름[狼斶 膏]을 잘게 썰어 넣고 쌀[稻米]과 함께 죽[銜]을 끓인 것이라고 한다. 지금의 기름진 고기죽[膏銜]과 같다. 삼식(糝食)은 소 · 양 · 돼지의 고기를 잘게 썰어 쌀과 섞어 과자를 만들어 지진 것이다. 문화용 비공개
    패관잡기 기타 비공개

    특성정보 (0건)

    특성정보
    유용성명칭 효용 및 기능 분류 열람등급 열람요청
    관련된 특성정보가 없습니다.
  • 표본 (총건)

    표본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표본 데이터가 없습니다.

    소재 (총건)

    소재
    표본번호 학명/국명 채집지/채집일 표본유형 표본 점수
    소재 데이터가 없습니다.
  • 염기서열 (0건)

    염기서열
    학명 국명 마커명 프라이머세트명 출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계통수 (0건)

    계통수
    연구제목 마커명 노드수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0건)

    계통수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엽록체 유전체 (0건)

    엽록체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SNP
    학명 국명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Microsatellite (0건)

    전체
    분류 제목 설명 길이
    조회된 자료가 없습니다.
    • 조회된 데이터가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