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모바일

검색

  • 1990년대에 부안댐이 백천에 준공되고 상류에 소형 저수지가 생기면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했다. 또한 다른 종개류의 유입으로 인한 유전자 교란 및 먹이 경쟁 등이 개체 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 국립생물자원관 / 2018-11-15 )
  • 고유종으로 부안군 백천에만 매우 제한적으로 서식하는 저서성 소형 어류다. 1990년대에 부안댐이 준공되면서 서식지가 급격히 줄었다.
    1990년대에 부안댐이 백천에 준공되고 상류에 소형 저수지가 생기면서 서식지가 급격히 감소했다.
    환경부는 1997년 보호종으로 지정·보호했으나, 2005년 멸종위기 야생동식물법 제정 시 해제했다.
    멸종위기 평가 결과: CR B2ab(ii, iii); D2
    전라북도 부안군 백천에만 매우 제한적으로 서식하며(최 등 1990), 최근 댐 건설, 저수지 건설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어 CR B2ab(ii, iii); D2로 평가했다. ( 국립생물자원관 / 201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