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생물종 상세정보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Okada, 192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Okada, 192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Thumbnail 1
Thumbnail 2
Thumbnail 3
Thumbnail 4
Thumbnail 5
Thumbnail 6
Thumbnail 7
Thumbnail 8
Thumbnail 9
Thumbnail 10
Thumbnail 11
Thumbnail 12
Thumbnail 13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Okada, 1928)

1/3
  • cloud_download 전체다운로드
  • file_download 다운로드
  • add_circle 확대
  • remove_circle 축소

한국산개구리 Rana coreana (Okada, 1928)

분류체계
Animalia > Chordata (척삭동물문) > Amphibia (양서강) > Anura (무미목) > Ranidae (개구리과) > Rana (개구리속) > coreana (한국산개구리)
이명정보
[원기재명]
Rana temporaria coreana Okada, 1928
[학명이명]
Rana amurensis coreana (아무르산개구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산개구리류 중에서 가장 작은 종이며, 몸 전체의 색은 진한 갈색을 띤다. 주둥이 앞부터 콧구멍과 눈을 지나 주둥이 뒷부분까지 검은 무늬가 이어져 있다. 윗입술을 따라 주둥이 전체에 흰색의 가는 줄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등에는 밝은 갈색의 가는 융기선 한 쌍이 있다. 번식기에 수컷의 복부 쪽 색은 밝은 흰색을 띠고, 암컷은 오렌지색과 붉은색이 함께 나타난다. 눈 앞쪽으로 뚜렷한 흑색 반문이 없는 북방산개구리(R. dybowskii)나 계곡산개구리(R. huanrenensis)와 잘 구별된다. 주로 고산지대에서 서식하는 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에 비하여 한국산개구리는 낮은 산지와 저지대의 습지, 연못과 같은 곳에서 서식한다. 종전에는 ‘아무르산개구리(Rana amurensis coreana Okada)’로 불리었다. 한국 고유종이다. [저작재산권자]

먹는 것이 금지되는 야생동물

포획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수출·수입등 허가대상 야생생물

인공증식 또는 재배를 위한 포획ㆍ채취 등의 허가대상 야생생물

  •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농지에 서식한다. [3]

  • 번식은 2~5월에 걸쳐 이루어지며, 번식 시기부터 월동 전까지는 산이나 계곡으로 이동하지 않고 평지의 습지에 계속 출현하는 습성이 있다. 산개구리와 함께 물이 고인 농지에 산란하거나, 계류 주변의 물 흐름이 거의 없는 웅덩이에 다수의 알로 구성된 알 덩어리를 낳으며, 그 크기는 산개구리에 비해 대단히 작다. 알의 수는 400~500개이다. 올챙이는 약 30mm까지 성장하고 4월 이후에 변태하여 상륙한다. 산란 시기에 배 부위에 붉은색 점무늬가 나타난다. 울음소리는 ‘크크크큭, 크크크큭’ 하고 드럼 소리처럼 연속적으로 낸다. [2]

  • [1] 국립생물자원관(2010), 한반도생물자원포털

    [2]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개구리소리

    [3]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집

분포지역

지도크게보기 add

dictionary icon용어 사전

출처 :